$\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병증으로 추정되는 비증(痺證) 치험 1례
A Case of Treating the Paresthesia Suggested from Peripheral Neuropath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0 no.3, 2009년, pp.648 - 655  

최창원 (동신대학교 간계내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pheral neuropathy is a disease of multiple Peripheral nerves. Tingling, pins-and needles, numbness, burning and raw sensation are symptoms of peripheral neuropathy. These symptoms are frequently complained by patients who suffered from obstructive syndrome of Ki and blood (痺證). This case was rep...

주제어

참고문헌 (20)

  1. 아담스신경과학 편찬위원회. PRINCIPLE OF NEUROLOGY 신경과학. 서울: 정담; 1998, p. 827, 833, 1061, 1157-9, 1202, 1204. 

  2. 이대희. 임상 신경학 총론. 서울: 고려의학; 1999, p. 136. 

  3.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파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p. 343-4, 346, 448, 450-3, 457-8. 

  4.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서원당; 1999, p. 436. 

  5. 양유걸. 황제내경소문석해. 서울: 성보사; 1980, p. 36, 95-6, 209, 268-9, 328-35. 

  6. 남효익, 김희영, 김진원, 최은영. Guillan-Barre Syndrome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비증 치험 2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3):743-50. 

  7. 정석희 외. 비증의 분류와 치료에 대한 고찰. 동의물리요법과학회. 1992;181-90. 

  8. 김상수, 고성규,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비증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4;15(1):116-27. 

  9. 임장신, 김영석, 문상관, 고창남, 조기호, 배형섭, 이경섭. 중풍(뇌졸중)환자의 이상감각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내과학회지. 1999;19(2별책부록):29-40. 

  10. Huskisson EC. Measurement of pain. Lancet. 1974;2:1127-31. 

  11. 김영석. 임상중풍학. 서울: 서원당; 1997, p. 489-91, 538. 

  12. 흥원식. 정교황제내경소문.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1985, p. 20, 54, 92, 162. 

  13. 신곡태 . Steps to Internal Medicine 9 내분비질환. 서울: 정담; 2002, p. 155. 

  14. 이동원. 동원십종의서. 서울: 대성문화사; 1996, p. 37-8. 

  15. 강효신. 동양의학개론. 서울: 고문사; 1977, p. 61-2. 

  16.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성보사; 1988, p. 33. 

  17. 정상현, 노기환, 강경숙, 문상관, 조기호, 배형섭. 말초신경병증으로 추정되는 비증 치험 1례. 대한한의학학회지. 2000;22(1):242-47. 

  18. 주영승. 운곡 본초학 각론. 서울: 서림제; 2004, p. 27, 49, 356, 482, 521, 527, 533, 536. 

  19. 대한침구학회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서울: 집문당; 2008, p. 507. 

  20. 이진선, 권기록, 최호영. HPLC를 이용한 봉약침의 주요 성분에 관현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17(4):12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