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Analysis on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Erosion and Deposit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11, 2010년, pp.995 - 1009  

이기하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유완식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장창래 (충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의해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지속적인 유역개발에 따른 토지이용의 증가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로 인한 재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은 대부분 대상유역내의 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출하는 총량적 개념의 경험식이므로 호우기간동안의 침식 및 퇴적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모의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유역규모의 강우-유사-유출 메카니즘 해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집중형 모의기법을 대체하고 다양한 기상학적/지형학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유출모의 모듈과 단위수류력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유사유출 모의모듈을 결합한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확장개발하고, 용담댐 상류부의 천천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재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문곡선의 모의 결과 모형의 재현성은 우수하였으며, 유사량곡선의 경우 첨두부분에서 과소선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지표면 유동거리국부경사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를 분석한 결과, 침식된 토사는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하천주변에 퇴적되었으며, 강우량과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의 분석결과, 강우량의 증가에 따라 침식량이 증가하였으며, Thiessen망 유역별로 침식 및 퇴적 분포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elerated soil erosion due to extreme climate change, such as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and human-induced environmental changes, is a widely recognized problem. Existing soil erosion models are generally based on the gross erosion concept to compute annual upland soil loss in tons per acre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sen 망별로 총 강우량의 큰 차이가 없는 ‘매미’의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Fig. 9(b))에서 볼 수 있듯이 침식은 유역의 상류(산간지역)에서 대부분 발생한 반면, 퇴적의 경우 하류(하천부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본 절에서는 두 가지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지표면 유동거리)와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국부경사(local slope)란 흐름도(flow direction)에 따른 격자별 최급경사(steepest slope)(김주철과 김재한, 2007)를 의미하며, 지표면 유동거리(overland flow length)란 흐름도를 따라 하천선을 기준으로 각 격자가 떨어져 있는 거리(Tucker et al.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개발된 사면의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유출모의 모듈(Tachikawa et al., 2004)과 단위수류력(unit stream power)(Yang, 1972)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사유출모의 모듈(Sayama, 2003)을 결합하여 raster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확장개발하고 비교적 유량과 유사량 실측자료가 풍부한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재현성을 평가하고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강우-유출 모듈에서 지표류는 운동파 근사해를 위하여 사각형 단면으로 가정하고 지표하 흐름과 지표흐름의 유선은 경사와 평행하고 동수경사 역시 경사와 평행하다고 가정한다. 강우 입력 자료 r(x,t)는 격자의 수심에 따라서 지표하 흐름과 지표 흐름에 직접적으로 더해지며, 유출 생성과 추적을 모의하기 위한 1차원 운동파 방정식의 수치해석 방법은 Lax-Wendroff 유한차분기법(Lax and Wendroff, 1960)을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침식현상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실측에 의한 토양침식량의 산정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 측정이 어렵고, 인력과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경험식이나 집중형 토양침식모형(lumped erosion model)을 사용하여 토양침식량을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토양침식현상은 지형, 지질, 기상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기 위한 회귀식 모형이나 집중형 토양침식 모형을 완벽히 신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회귀식 모형의 경우 수집된 자료들이 제한된 공간 및 시간에 대한 자료이므로 장기간 또는 적용범위를 벗어난 회귀식의 응용 결과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내포되어있고(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1998), 집중형 모형의 경우 공간적으로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학적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적용성에 한계가 있다.
단위수류력이론은 무엇으로부터 응용되고 발전되어 왔는가? 단위수류력이론은 토사이송에 사용된 에너지의 소산율이 토사운송량과 관계있다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Yang(1972)에 의하여 하천형태학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이후 단위수류력 이론은 하천이나 개수로에서의 유사이송과 지표면 침식분야로부터 응용되고 발전되어왔다. 단위수류력은 유속과 경사의 곱(VS)으로서 개수로에서 토사와 유수의 운송에 사용되는 단위중량당 유수의 에너지(Y)의 변화로 나타낼 수 있으며 Eq.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의해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지속적인 유역개발에 따른 토지이용의 증가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로 인한 재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은 대부분 대상유역내의 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출하는 총량적 개념의 경험식이므로 호우기간동안의 침식 및 퇴적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모의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유역규모의 강우-유사-유출 메카니즘 해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집중형 모의기법을 대체하고 다양한 기상학적/지형학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갈병석(2008). SWAT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량 및 부유사량 변동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pp. 51-77. 

  2. 권혁현(2002). GIS를 이용한 토양손실량 산정기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pp. 36-52. 

  3. 김웅태, 윤용남, 박무종, 유철상(2001). "분포형 개념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2호, pp. 131-140. 

  4. 김주철, 김재한(2007). "DEM을 이용한 수로망의 형태학적 표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4호, pp. 287-297. 

  5. 박상식, 이종태(2008). "토지피복도와 분류체계를 이용한 적정 지표면 조도계수의 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566-569. 

  6. 손광익(2001a). "해외 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RUSLE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3호, pp. 199-207. 

  7. 손광익(2001b). "해외 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 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3호, pp. 209-216. 

  8. 예령, 윤성완, 정세웅(2008). "대청댐 유역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SWAT 모델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2호, pp. 149-162. 

  9. 유완식(2010).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강우-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pp. 67-69. 

  10. 이근상, 김유리, 예령, 이을래(2009). "GIS 기반 SWAT 모델을 이용한 동향.천천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2호, pp. 82-98. 

  11. 조영진(2004).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토사의 유출 및 퇴적분포 예측모형 개발. 공학석사 학위논문, 영남대학교, pp. 48-63. 

  12. 한국수자원공사(2002). 용담댐 일원 하천유량측정 등 수문조사 보고서. 

  13. 한국수자원공사(2003). 용담댐 일원 하천유량측정 등 수문조사 보고서. 

  14. 한국수자원공사(2007). 용담댐 일원 수자원.환경기초 조사 보고서. 

  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물환경 관리전략 및 정책방향 I. 

  16.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1998). 개발에 따른 토사유 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I). 

  17. Bagnold, R.A. (1960). Sediment discharge and stream power, a preliminary announcement. USGS Circ. 421. Washington, DC. 

  18. De Roo, A.P.J., Wesseling, C.G., and Ritsems, C.J. (1996a). "LISEM: a single-event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and soil erosion model for drainage basins. I: Theory, input and output." Hydrological Processes, Vol. 10, pp. 1107-1117. 

  19. De Roo, A.P.J., Offermans, R.J.E., and Cremers, N.H.D.T. (1996b). "LISEM: a single-event physically based hydrological and soil erosion model for drainage basins. II: sensitivity analysis, validation and applic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10, pp. 1119-1126. 

  20. Downer, C.W., and Ogden, F.L. (2006). Gridded surface subsurface hydrologic analysis (GSSHA) user's manual. Coastal and Hydraulic Laboratory (CHL), Engineering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ERDC), US Army Corps of Engineers, pp. 1-13. 

  21. Duan, Q., Gupta, V.K., and Sorooshian, S. (1993). "Shuffled complex evolution approach for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minimization." Journal of Optimiz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Vol. 76, No. 3, pp. 501-521. 

  22.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K. (1992). "Effective and efficient global optimization for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4, pp. 1015-1031. 

  23.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K. (1994). "Optimal use of the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for calibrating watershed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58, pp. 265-284. 

  24. Flanagan, D.C., and Nearing, M.A. (1995).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SERL Report No. 10, USDA-ARS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West Lafayette, Indiana. 

  25. Hjelmfelt, Jr.A.T. (1986). "Estimating peak runoff form field-size watershed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2, No. 2, pp. 267-274. 

  26. Johnson, B.E., Julien, P.Y., Molnar, D.K., and Watson, C.C. (2000). "The two dimension-upland erosion model CASC2D-SED." Journal of the AWRA, Vol. 36, No. 1, pp. 31-42. 

  27. Lax, P.D., and Wendroff, B. (1960). "Systems of consercation laws."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Vol. 13, pp. 217-237. 

  28. Lee, G., Tachikawa, Y., and Takara, K. (2009). "Interaction between topographic and process parameters due to the spatial resolution of DEMs in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ing."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4, No. 10, pp. 1059-1069. 

  29. MacCormack, R.W. (1969). The effect of viscosity in hypervelocity impact cratering. AIAA Paper, pp. 69-354. 

  30. Miyazaki, T. (2006). Soil and water in water flow in soils (Second Edition), Chapter 1: The Taylor and Francis Group. 

  31. Morgan, R.P.C., Quinton, J.N., and Rickson, R.J. (1992). EUROSEM documentation manual, silsoe College, Silsoe, Bedford, UK. 

  32. Morgan, R.P.C., Quinton, J.N., Smith, R.E., Govers, G., Poesen, J.W.A., Chisci, G., and Torri, D. (1998). "The european soil erosion model (EUROSEM): a dynamic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transport from fields and small catchments." Earth Surface Process and Landforms Vol. 23, pp. 527-544. 

  33. Morris, G.L., and Fan, J. (1997). Reservoir sedimentation handbook, McGraw-Hill, New York. 

  34. Nearing, M.A., Page, D.I., Simanton, J.R., and Lane, L.J. (1989). "Determining erodibility parameters from rangeland field data for a process-based erosion model."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32, No. 3, pp. 919-924. 

  35. Prosser, L.R., and Rustomji, P. (2000). "Sediment transport capacity relations for overland flow."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ol. 24, No. 2, pp. 179-193. 

  36. Sayama (2003).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complexity of rainfall-sediment-runoff models. Master's Thesis, Kyoto University, pp. 5-10. 

  37. Singh, V.P. (2001). "Kinematic wave modeling in water resources: a historical perpective." Hydrological Process, Vol. 15, pp. 671-706. 

  38. Sorooshian, S., and Gupta, V.K. (1995). "Model calibration,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edited by Singh, V.P., pp. 23-68. 

  39.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Highland Ranch. Tachikawa, Y., Nagatani, G., and Takara, K. (2004). "Develpment of stage-discharge relationship equation incorporating saturated-unsaturated flow mechanism." Annua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JSCE, Vol. 48, pp. 7-12.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0. Tarboton, D.G., Bras, R.L., and Rodriguez-Iturbe, I. (1989). "Scaling and elevation in river network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5, No. 9, pp. 2037-2051. 

  41. Torri, D., Sfalanga, M., and Del Sette, M. (1987). "Splash detachment: runoff depth and soil cohesion." Catena, Vol. 14, pp. 149-155. 

  42. Tucker G.E., Catani F., Rinaldo A., and Bras R.L. (2001). "Statistical analysis of drainage density from digital terrain data." Geomorphology, Vol. 36, pp. 187-202. 

  43. Vieux, B.E. (2004).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4. Woolhiser, D.A., Smith, R.E., and Goodrich, D.E. (1990). KINEROS, a kinematic runoff and erosion model: documentation and user manual, USDA, ARS-77. 

  45. Yang, C.T. (1972). "Unit stream power and sediment transport."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8, No. 10, pp. 1805-1826. 

  46. Yang, C.T. (1973). "Incipient motion and sediment transport."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9, No. 10, pp. 1679-17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