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향종자(Foeniculum fructus)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Foeniculum fructus Water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1, 2010년, pp.1604 - 1610  

서동주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  김정미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  김태혁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  백종미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  김태우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  김현숙 (강원대학교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지역혁신센터) ,  최면 (강원대학교 생명건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회향종자 물 추출물을 급여한 후 체중, 간과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중 지질 함량,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 및 지방대사 관련 효소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 (ND),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HFD), 고지방식이+0.05% orlistat군(HFDO), 고지방식이+0.5%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군(HFDF)으로 분류하였다.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무게, 혈장 지질 및 혈당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회향종자 물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과 비교하여 체중 26.56%, 간 무게 22.56%,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29.19%, 혈당 16.58% 감소시켰으며, orlistat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장 총콜레스테롤중성지방의 수준은 유사하였다. 이로써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는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줄여 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는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에서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방세포 크기 증가는 orlistat와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에 의해 억제되었다. 지방세포내로 지방산의 유입을 억제하는 LPD 효소 활성은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과 비교하여 일반식이군은 27.27%, orlistat 섭취군은 44.12%,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군은 33.41%로 억제되었으며, 지방이용을 자극하는 ACS 효소 활성은 일반식이군 330.99%, HFDO군 232.14%, 회향종자 물추출물 섭취군 187.39%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는 체중 증가,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LPL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고, ACS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Foeniculum fructu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epididymal adipocyte size, plasma lipid levels and activities of key enzymes such as lipoprotein lipase (LPL), acyl-CoA synthetase (AC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Experimental groups were norma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회향종자 물 추출물을 급여한 후 체중, 간과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중 지질 함량,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 및 지방대사 관련 효소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ND),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HFD), 고지방식이+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떻게 발생되는가?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생활이 편리해지고 노동을 비롯한 활동량 감소에 의하여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 들이 관여하는 복합적 증후군으로, 과도한 에너지 섭취 후체내 대사활동으로 소비되고 남은 것이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 축적되어 발생된다(1,2). 비만은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개인을 위축시키는 외모상의 문제뿐 아니라 고혈압, 동맥 경화증,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만성 대사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3).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는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줄여 줄 것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장 지질 및 혈당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회향 종자 물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과 비교하여 체중 26.56%, 간 무게 22.56%,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29.19%, 혈당 16.58% 감소시켰으며, orlistat 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장 총콜레스테롤과중성지방의 수준은 유사하였다. 이로써 회향종자 물 추출물 섭취는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줄여 줄 것으로 추정된다.
비만은 어떤 질환들을 유발시키는가?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 들이 관여하는 복합적 증후군으로, 과도한 에너지 섭취 후체내 대사활동으로 소비되고 남은 것이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 축적되어 발생된다(1,2). 비만은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개인을 위축시키는 외모상의 문제뿐 아니라 고혈압, 동맥 경화증,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만성 대사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3). 이러한 비만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만 치료제의 개발과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인공적으로 합성된 항비만 약물들은 대부분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부작용이 없는 완전한 치료제는 시판 되지 않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lbu J, Allison D, Boozer CN, Heymsfield S, Kissileff H, Kretser A, Krumhar K, Leibei R, Nonas C, Pi-Sunyer X, Vanltallie T, Wedral E. 1997. Obesity solutions: report of a meeting. Nutr Res 55: 150-156. 

  2. Grundy SM. 1998.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67: 563S-572S. 

  3. Naderali EK. 2009. Obesity and cardiovascular dysfunction: A role for resveratrol? Obes Res Clin Prac 3: 45-52. 

  4. Kim YS. 2001. The update of anti-obesity drug. Kor Endocrine Soc 16: 9-15. 

  5. Park HS. 2001. Pharmacological therapy of obesity. Kor J Soc Study Obes 10: 118-127. 

  6. Ballinger A, Peikin SR. 2002. Orlistat: its current status as an anti-obesity drug. Eur J Pharmacol 440: 109-117. 

  7. Zacour AC, Sliva ME, Cecon PR, Bambirra EA, Vieira EC. 1992. Effect of dietary chitin on cholesterol absorption and metabolism in rats. J Nutr Sci Vitaminol 38: 609-613. 

  8. Burns AA, Livingstone MB, Welch RW, Dunne A, Rowland IR. 2002. Dose response effects of a novel fat emulsion (Oliibra) o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up to 36 h post-consumption. Eur J Clin Nutr 56: 368-377. 

  9.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10. Kim YS, Byun SH, Kim SC, Kum M, Cho EH. 2000. Effect on cure and prevention of an obesity. Kor J Herbology 15: 37-43. 

  11.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5-381. 

  12. Oktay M, Gulcin I, Kufrevioglu OI. 2003. Determination of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funnel (Foeniculum vulgare) seed extracts. Lebensm Wiss Technol 36: 263-271. 

  13. Choi EM, Koo SJ. 2004.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by Foeniculum vulgare fruit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505-510. 

  14. Hwang HY, Choi YS, Jung BH, Lim BW, Kim JD. 2007. Effect of Foeniculum vulgare Gaertner extracts on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Crop Science. p 161-162. 

  15. Lee HS, Mun HC, Park JH, Kim DH, Yoo JE, Park YS, Ryu LH, Choi KP, Lee HY. 2003.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Foeniculum vulgare Mill, Boswellia carteli Birew and J uniperus rigida Sieb, by a supercritial fluid extraction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15-121. 

  16. Lee JC, Lee E, Lee YC, Oh H, Yoon HS, Ha TK, Hong EH. 2007. Effects of Fructus foeniculi extract on recovering liver function. Kor J Herbology 22: 213-218. 

  17. Farooq A, Muhammad A, Abdullah I, Muahmmad S.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Mill.) seeds from Pakistan. Favour Fragr J 24: 170-176. 

  18. Choe M, Kim DJ, Lee HJ, You JK, Seo DJ, Lee JH, Chung MJ. 2008. A study on the 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2-547. 

  19. Ryu JM, Lee TH, Seo IK, Lee SH, Jang YH, Kim YB, Wang SY. 2006. Anti-obesity effects of Misaengtang in rats fed on a high-fat diet or normal diet. Toxicol Res 22: 339-348. 

  20. Singh B, Kale RK. 2008. Chemomodulatory action of Foeniculum vulgare (Fennel) on skin and forestomach papillomagenesis, enzymes associated with xenobiotic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murine model system. Food Chem Toxicol 46: 3842-3850 

  2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2. Seo DJ, Chung MJ, Kim DJ, Choe M. 2009. Antiobese effects of diet containing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22-1527. 

  23. Lee JJ, Chung CS, Kim JG, Choi BD. 2000. Effects of fasting-refeeding on rat adipo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influence of food restriction during refeed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1-478. 

  24. Mela DJ, Cohen RS, Kris-Etherton PM. 1987. Lipoprotein metabolism in a rat model of diet-induced adiposity. Am J Nutr 117: 1655-1662. 

  25. Quinn DM, Shirai K, Jackson RL, Harmony JK. 1982. Lipoprotein lipase catalyzed hydrolysis of water-soluble p-nitrophenyl esters inhibition by apolipoprotein C-I. Am J Biochem 21: 6872-6879. 

  26. Shirai K, Jackson RL. 1982. Lipoprotein lipase-catalyzed hydolysis of p-nitrophenyl butyrate. J Biochem 257: 1253-1258. 

  27. Shimizu S, Inoue K, Tani Y, Yamada H. 1979. Enzymatic microdetermination of serum free fatty acids. Anal Biochem 98: 341-344. 

  28. Jayasooriya AP, Sakono M, Yukizaki C, Kawano M, Yamamoto K, Fukuda N. 2000.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e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free and cholesterol 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72: 331-336. 

  29. Lee JJ, Shin HD, Lee YM, Kim AR, Lee MY. 2009. Effect of broccoli sprouts on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09-318. 

  30. Park YS, Yoon Y, Ahn HS. 2007.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represses up-regulated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triggered by a high fat feeding in obese rats. World J Gastroenterol 13: 3493-3499. 

  31. Kim HS, Kim TW, Kim DJ, Hwang HJ, Lee HJ, Choe M. 2007. Effects of natural plants supplementation on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pad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19-423. 

  32. Shin JH, Lee SJ, Sung NJ. 2002. Effects of Zingiber mioga, Zingiber mioga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79-684. 

  33. Kang SA, Jang KH, Park SK, Lim JP, Jeon H, Cui X, Leem KH. 2003. Effects of herbal composition o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Kor J Herbology 18: 59-64. 

  34. Cho YS, Shon MY, Lee MK. 2007. Lipid-lower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extract of mulberry leaves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05-410. 

  35. Lee HJ, Chung MJ, Kim DJ, Choe M. 2009. Effects of Oenanthe J avanica, Coicis lachryma-jobi L. var., and Plantaginis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key enzymes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16-1521. 

  36. Park SH, Ko SK, Chung SH. 2005. Euonymus alatus prevents th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duced by high-fat diet in ICR mice. J Ethnopharmacol 102: 326-335. 

  37. Wat E, Tandy S, Kapera E, Kamili A, Chung RWS, Brown A, Rowney M, Cohn JS. 2009. Dietary phospholipid-rich dairy milk extract reduces hepatomegaly, hepatic steatosis and hyperlipidemia in mice fed a high-fat diet. Atherosclerosis 205: 144-150. 

  38. Park HS, Lee YS, Choi SJ, Kim JK, Lee YL, Kim HG, Koo SH, Ku DH, Ki SI, Lim SS. 2009. Effects of herbal complex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in mic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Kor J Pharmacogn 40: 196-204. 

  39. Moon GA, Choi SM, Kim SH, Kim SS, Kang JY, Yoon Y. 2003. Human and animal study on the natural food fo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94-1400. 

  40. Lee JJ, Choe MS, Chung CS, Choe B. 2003. Effect of food restriction on rat adipotise tissu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and lipogenesis. Kor J Exercise Nutr 7: 135-141. 

  41. Sememkovich CF, Colemen T, Daugherty A. 1998. Effects of heterozygous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on diet-induced atherosclerosis in mice. J Lipid Res 39: 1411-1488. 

  42. Chiu KM, Schmidt MJ, Shug AL, Binkley N, Gravenstein S. 1997. Effect of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on carnitine acetyl transferase activity and L-carnitine levels in oophorectomized rats. Biochim Biophys Acta 1344: 201-209. 

  43. Ryu MH, Daily JW, Cha YS. 2005. Effect of starvation on hepatic acyl-CoA synthetase,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I, and acetyl-CoA carboxylase mRNA levels in rats. Nutrition 21: 537-5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