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도시 서울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지역적 예측을 위한 GIS 기반의 공간 구역화
GIS-based Spatial Zonations for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in Seoul Metropoli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지반공학, 터널공학, v.30 no.1C, 2010년, pp.65 - 76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천성호 (대림산업(주) 기술연구소) ,  정충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진 발생 사례들에서는 암반보다는 대부분 토사 퇴적층으로 구성된 부지에서의 심각한 지진 피해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지진지반 운동의 증폭을 야기하는 부지 효과가 기반암 위 토사의 공간적 분포 및 동적 특성에 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자료에 관한 통합적 GIS 기반의 정보 시스템을 국내 대표적 대도시 지역인 서울에서의 지진 운동에 대한 지역적 종합 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구축하였다. 서울 지역에 대한 GIS 기반 지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영역 및 인근에 대한 기존 지반 조사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 졌고 지표 지반-지식 자료의 확보를 위한 부지 방문 조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관심 대상 영역의 부지 효과 평가를 위한 지반 정보 시스템의 실질적 적용 목적으로, 지반지진공학적 변수인 기반암 심도 및 부지 주기에 관한 지진재해 구역 지도를 작성하고 지진 유발 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종합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서울 지역 내 임의 부지 및 하위 행정 단위에서의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부지 증폭계수의 결정 수단으로 부지 분류의 지진재해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서울 지역에서의 지진재해 구역화 사례 연구로부터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의 대도시에 대한 지진재해의 지역적 예측 뿐만 아니라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earthquake events revealed that severe seismic damages were concentrated mostly at sites composed of soil sediments rather than firm rock. This indicates that the site effects inducing the amplific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are associated mainly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yn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대표적 대도시이자 수도인 서울 지역에 대한 지반지진공학적 지진재해 예측 그리고 내진 활용 및 지진 대응을 위한 공간 정보 제공 목적으로, GIS 기법 토대의 지반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부지고유 지진 응답 특성 지표인 부지 주기에 관한 공간 구역화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에서는 세계 선도적 국내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복합 활용하여 시범적 성격의 도시 일부 영역에 대한 지진재해 예측 정보를 공간 구역화(spatial zonation)의 삼차원 가시화로 구현하기도 하였다(선창국 등, 2007a; 선창국, 2009). 본 연구에서는 지반공학 및 지진공학 관점의 국내외 GIS 적용 및 부지 효과 평가 기법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수행하고(AnastasiaDis et al., 2001; Codermatz et al., 2003; Sun, 2004; Kolat et al., 2006; 선창국과 정충기, 2006; Sun et al., 2008; 선창국, 2009), 최신 기법들을 토대로 광범위한 대도시 영역 전체에 대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지진재해 구역화의 모범 절차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지향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진 발생 시 다른 대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서울을 지진재해 구역화(seismic zonation) 대상으로 선정하고, 행정 구역 상 서울 전체를 포괄하는 영역에 대해 여러 지반공학 및 지진공학 특성 변수에 관한 신뢰성 높은 공간 구역화 정보를 제시하였다.
  • ) 분포를 파악하고 수치적 접근으로서의 부지 응답 해석을 수행하여 지역 고유 지반 특성을 고려한 부지 분류 조건별 부지 증폭 계수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지질과 지반 특성이 다른 미국 서부의 부지 분류 체계 및 부지 증폭 계수에 기반한 현행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의 체계 및 계수 대신에(선창국 등, 2005b; Sun et al., 2005), 국내 지반 특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Sun(2004)에 의해 제시된 부지 효과 정량화 기법으로서의 부지 분류 체계 및 부지 증폭 계수를 도입 적용하였다. 현행 국내 부지 분류 기준으로 우선 고려되고 있는 지표면부터 30m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mean VS to a depth of 30m, VS30)는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반암 심도(depth to bedrock, H)가 깊은 미국 서부 지역의 100ft까지의 경험적 분류 기준으로서(선창국 등, 2005b; 선창국 등, 2007b), 현실적으로는 부지고유 지진 응답 특성이 흙의 동적특성 뿐만 아니라 기반암 심도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분류 기준이 될 수 있다.
  • 37 정도로 예측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진 신속 대응을 위한 활용 기저 정보로서의 서울시 행정 동 단위별 평균적 부지 분류에 관한 공간 구역화 정보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도시 서울에 대한 부지 주기의 지진재해 구역화와 그에 따른 다각적 부지 분류의 구역화 기법은 국내 주요 대도시 지역에서의 지진재해 예측과 예비적 내진 활용이나 지진 대응을 위한 정보 제공 목적의 차별적 지진재해 구역화 적용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부지 주기를 이용한 부지고유 지진 응답 예측 기법은 부지 응답 해석과 같은 수치적 기법 없이 구조물의 지진 취약도를 포함한 지역적 지진재해의 예측과 더불어 부지별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통한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에도 직접 활용될 수 있다(선창국, 2009). 이러한 개념적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 서울의 행정 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연구 영역에 대해 지역적 지진재해 예측과 내진 활용을 목적으로 공간 GIS 프레임 기반으로 구축된 지반 정보를 토대로 부지 주기에 대한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 즉, 그림 8과 같은 연속적인 분포 양상의 부지 분류 정보가 관심 영역 내 임의의 위치에서의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와 같은 개방적 활용성이 우수할 수는 있지만, 지진 시 신속한 의사 결정 및 즉각 이행과 같은 대응적 유용성은 확보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적용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지진 신속대응을 위한 실질적 정보 제공 및 적용성 확보를 목적으로 대상 연구 영역 내의 서울 행정 구역을 대상으로 행정 단위(동)별로 공간 평면상에서 각 해당 영역 폴리곤(polygon)에 대해 부지 주기의 평균 값을 연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도시에서 부지 효과 평가 예측을 위해서는,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영역적으로 광범위한 면적을 가지는 대도시의 경우, 영역 전체에 걸친 부지 효과 평가 예측을 위해서는 역시 영역 전체의 지반 특성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반 특성은 본질적으로 조사 자료로부터 파악이 가능하므로 대도시 전체에 걸쳐 산재한 광범위한 자료를 초대한 많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반공학 및 지진공학 관점의 유용성이 확보되는 자료 형태로 가공 및 관리해야 한다.
최근 지진 발생 사례들에서 암반보다는 토사 퇴적층으로 구성된 부지에서의 심각한 지진 피해가 나타나는 이유는? 최근 지진 발생 사례들에서는 암반보다는 대부분 토사 퇴적층으로 구성된 부지에서의 심각한 지진 피해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지진지반 운동의 증폭을 야기하는 부지 효과가 기반암 위 토사의 공간적 분포 및 동적 특성에 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자료에 관한 통합적 GIS 기반의 정보 시스템을 국내 대표적 대도시 지역인 서울에서의 지진 운동에 대한 지역적 종합 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구축하였다.
지반 특성은 본질적으로 무엇으로부터 파악이 가능한가? 영역적으로 광범위한 면적을 가지는 대도시의 경우, 영역 전체에 걸친 부지 효과 평가 예측을 위해서는 역시 영역 전체의 지반 특성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반 특성은 본질적으로 조사 자료로부터 파악이 가능하므로 대도시 전체에 걸쳐 산재한 광범위한 자료를 초대한 많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반공학 및 지진공학 관점의 유용성이 확보되는 자료 형태로 가공 및 관리해야 한다. 관심 지역에 대한 지반지진공학적 자료 관리 및 처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공간 상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가 필요하며, 삼차원 공간 지리 좌표 기반의 대규모 자료 처리를 위한 효율적 기법으로 지반공학이나 지진공학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최근 지리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이 효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Kunapo, 2005; 선창국과 정충기, 2006; Su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건설교통부(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2. 김동수, 이세현, 윤종구(2008)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 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C호, pp. 63-74. 

  3. 서울대학교(2002) 웹기반 지반정보시스템의 지반공학적 기능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4. 서울특별시(2008) SIS 지반정보시스템, http://soil.seoul.go.kr, 2008년 2월 12일 접속. 

  5. 선창국(2009) 공간 GIS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 구축을 통한 대전 지역의 부지 응답에 따른 지진재해 구역화,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5권 제1호, pp. 5-19. 

  6. 선창국, 양대성, 정충기(2005a) 서울 평야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증폭 특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9권 제4호, pp. 29-42. 

  7. 선창국, 정병선, 임인섭(2009) 항만 시설물 적용을 위한 국내 시설물 가속도 계측 기반의 지진 대응 시스템 고찰, 2009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CD-ROM,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pp. 2358-2361. 

  8. 선창국, 정충기(2006) GIS를 이용한 지반-지식 기반 지반 정보화 시스템 구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2권 제2호, pp. 55-68. 

  9.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5b) 국내 내륙의 설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지반 증폭 계수 및 지반 분류 체계 제안,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21권 제6호, pp. 101-115. 

  10. 선창국, 정충기, 김동수(2007a) 얕은 심도 전단파속도 분포를 이용한 30m 심도 평균 전단파속도의 결정,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11권 제1호, pp. 45-57. 

  11. 선창국, 천성호, 장의룡, 정충기(2007b) GIS를 이용한 서울 시범지역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정밀구역화,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7권 제5호, pp. 11-22. 

  12. 천성호, 선창국, 정충기(2005) 지반 정보화를 위한 지구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2C호, pp. 103-115. 

  13. Anastasiadis, A., Raptakis, D., and Pitilakis, K. (2001) Thessaloniki $^{\circ}$ Os detailed microzoning: subsurface structure as basis for site response analysis, Pure and Applied Geophysics, Vol. 158, No. 12, pp. 2597-2633. 

  14. Borcherdt, R.D. (2002) Empirical evidence for site coefficients in building code provisions, Earthquake Spectra, Vol. 18, No. 2, pp. 189-217. 

  15. Chang, S.W., Bray, J.D., and Seed, R.B. (1996) Engineering implications of ground motions from the Northridge earthquak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6, No. 1B, pp. 270-288. 

  16. Codermatz, R., Nicolich, R., and Slejko, D. (2003) Seismic risk assessment and GIS technology: applications to infrastructures in the Friuli-Venezia Giulia region (NE Italy),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2, No. 11, pp. 1677-1690. 

  17. Dobry, R., Borcherdt, R.D., Crouse, C.B., Idriss, I.M., Joyner, W.B., Martin, G.R., Power, M.S., Rinne, E.E., and Seed, R.B. (2000) New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recent building seismic code provisions, Earthquake Spectra, Vol. 16, No. 1, pp. 41-67. 

  18. ISSMGE (1999) Manual for Zonation on Seismic Geotechnical Hazards (Revised Version), Technical Committee 4, International Society for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19. Jian, X., Olea, R.A., and Yu, Y.S. (1996) Semivariogram modeling by weighted least squares, Computers & Geosciences, Vol. 22, No. 4, pp. 387-397. 

  20. Kim, D.S., Chung, C.K., Sun, C.G., and Bang, E.S. (2002) Sit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atial earthquake ground motion of Kyeongju,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22, No. 5, pp. 371-387. 

  21. Kim, D.S. and Yoon, J.K. (2006) Development of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Vol. 10, No. 3, pp. 187- 208. 

  22. Kiremidjian A.S. (1997) Spatial analysi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Spatial Analysis in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67, ASCE, pp. 1-14. 

  23. Kolat, C., Doyuran, V., Ayday, C., and Suzen, M.L. (2006) Preparation of a geotechnical microzonation mode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Engineering Geology, Vol. 87, No. 3-4, pp. 241-255. 

  24. Kunapo, J., Dasari, G.R., Phoon, K.K., and Tan, T.S. (2005) Development of a web-GIS 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19, No. 3, pp. 323-327. 

  25. Lin, C.C.J. and Chai, J.F. (2008) Reconnaissance report on the China Wenchuan earthquake May 12 2008, NCREE Newsletter, Vol. 3, pp. I1-I5. 

  26. Rodriguez-Marek, A., Bray, J.D., and Abrahamson, N. (1999) Characterization of Site Response General Categories, PEER Report 1999/03,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7. Seed, H.B., Romo, M.P., Sun, J., Jaime, A., and Lysmer, J. (1987) Relationships between soil conditions and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Mexico City in the earthquake September 19, 1985, Report UCB/EERC-87/15,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8. Sugito, M., Oka, F., Yashima, A., Furumoto, Y., and Yamada, K. (2000) Time-dependent ground motion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t reclaimed land after the 1995 Hyogoken Nambu earthquake, Engineering Geology, Vol. 56, No. 1-2, pp. 137-150. 

  29. Sun, C.G. (2004)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nd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for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0. Sun, C.G., Chun, S.H., Ha, T.G., Chung, C.K., and Kim, D.S.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tool for earthquake-induced hazard prediction,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 35, No. 3, pp. 436-449. 

  31. Sun, C. G. and Chung, C. K. (2008) Assessment of site effects of a shallow and wide basin using geotechnical information-based spatial characterization,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 28, No. 12, pp. 1028-1044. 

  32. Sun, C.G., Kim, D.S., and Chung, C.K. (2005)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Vol. 81, No. 4, pp. 446-469. 

  33. Tokimatsu, K., Arai, H., and Asaka, Y. (1998) Two-dimensional shear wave structure and ground motion characteristics in Kobe based on microtremor measurements,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III,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75, ASCE, pp. 703-713. 

  34. Tsai, Y.B. and Huang, M.W. (2000) Strong ground 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Chi, Taiwan earthquake of September 21, 1999, Earthquake Engineering and Engineering Seismology, Vol. 2, No. 1, pp.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