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of Self Consolidating Concrete Using Lightweight Aggregate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구조공학, 원자력공학, 콘크리트공학, v.30 no.6A, 2010년, pp.573 - 580  

김용직 ((주)대우건설 기술연구원) ,  최연왕 (세명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을 활용하여 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평가는 굳지 않은 상태의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충전성을 검토하였고, 성능평가 기준은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능평가 기준을 적용하였다. 또한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과 함께 건조수축 및 탄산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경량굵은골재와 경량잔골재를 동시에 100%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목표 성능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재료분리저항성은 경량굵은골재 및 경량잔골재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에 성능기준을 만족하였고, 충전성의 경우는 경량잔골재를 100%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의 경우 모든 배합에서 30 MPa 이상 발현 되었으며, 압축강도와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관계는 기존의 연구 경향과 유사하였다. 또한 자중감소 효과는 기준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최대 26% 감소하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탄산화 특성은 기준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 (SCC) using lightweight aggregates. SCC using Lightweight aggregate properties have been evaluated in terms of flowability, segregation resistance and filling capacity of fresh concrete as per the standards of the Japanese Socie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경량골재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제조는 기준 배합의 골재 체적을 계산하여 경량굵은골재 및 경량잔골재를 대체하여 혼합하였다. 표 4는 경량골재를 이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표를 정리한 것이다.
  • 본 연구에 사용한 경량굵은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조건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경량굵은골재의 표면건조 포화 상태는 콘크리트 배합 24시간 전에 pre-wetting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에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자기충전성 평가는 Slump-flow, Slump-flow 500 mm 도달시간, V-funnel 유하시간 및 U-box 충전시험을 콘크리트 믹싱 후에 바로 측정하였다.
  • 경량굵은골재의 표면건조 포화 상태는 콘크리트 배합 24시간 전에 pre-wetting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에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자기충전성 평가는 Slump-flow, Slump-flow 500 mm 도달시간, V-funnel 유하시간 및 U-box 충전시험을 콘크리트 믹싱 후에 바로 측정하였다.
  • 그리고 온도 20±2℃, 상대습도 60±5% 및 CO2 농도 10±0.5%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촉진 탄산화 시험기에 투입하고 재령별 탄산화 깊이를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은 예비 배합설계 실험을 통하여 기준 배합을 결정하였다. 기준 배합 결정시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기준은 일본 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기준 중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2등급을 선정하여 결정하였다. 표 3은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기준안 이다(JSCE, 199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 배합을 통하여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에 압축강도 30 MPa을 발현할 수 있는 기준 자기 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였다. 기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적용하여 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경량골재의 혼합은 체적을 고려하여 경량골재를 대체하여 사용 하였다.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는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 배합을 통하여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에 압축강도 30 MPa을 발현할 수 있는 기준 자기 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였다. 기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적용하여 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경량골재의 혼합은 체적을 고려하여 경량골재를 대체하여 사용 하였다.
  • 또한, 촉진 탄산화 시험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용 공시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28일간 수중 양생을 실시한 후 Ø100×200 mm의 공시체를 반으로 절단하여 절단면 및 타설면에 에폭시 수지로 공극이 없도록 두께 1 mm 이상으로 마감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은 예비 배합설계 실험을 통하여 기준 배합을 결정하였다. 기준 배합 결정시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기준은 일본 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기준 중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2등급을 선정하여 결정하였다.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시험은 KS F 2424에 따라서 실시 하였고, 시험용 공시체는 100×100×400 mm의 각주형 공시체의 양 끝단에 콘크리트 길이변화용 게이지 플러그를 삽입하고 다짐작업 없이 공시체를 제작 하였다. 제작된 공시체는 건조되지 않도록 습윤 상태에서 1일 후 콘크리트의 몰드를 제거하고 즉시 초기 길이를 1/1,000 mm 감도의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초기 길이 측정 후 건조수축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7일간 20±3℃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하고, 그 이후 온도 20±2℃, 습도 60±5%로 유지할 수 있는 항온·항습실에 공시체를 보관하여 보관된 시점에서의 재령별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 초기 길이 측정 후 건조수축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7일간 20±3℃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하고, 그 이후 온도 20±2℃, 습도 60±5%로 유지할 수 있는 항온·항습실에 공시체를 보관하여 보관된 시점에서의 재령별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시험은 KS F 2424에 따라서 실시 하였고, 시험용 공시체는 100×100×400 mm의 각주형 공시체의 양 끝단에 콘크리트 길이변화용 게이지 플러그를 삽입하고 다짐작업 없이 공시체를 제작 하였다.
  •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검토를 위한 시험용 공시체는 다짐작업 없이 Ø 100×200 mm로 제조하였으며, 제작된 공시체는 24시간 후에 몰드를 제거한 다음 시험 전 까지 20±3℃에서 표준양생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KS F 2403 및 2405에 따라서 재령 3, 7 및 28일에서 측정하였으며, KS F 2423에 의한 쪼갬 인장강도, 탄성계수 및 기건 단위용적질량은 재령 28일에 측정하였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시험은 KS F 2424에 따라서 실시 하였고, 시험용 공시체는 100×100×400 mm의 각주형 공시체의 양 끝단에 콘크리트 길이변화용 게이지 플러그를 삽입하고 다짐작업 없이 공시체를 제작 하였다.

대상 데이터

  • 55 g/cm3인 강모래(이하 NS로 약함)를 사용하였다. 경량골재(이하 LA로 약함)는 유문암계 미분말을 주원료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화학성분은 표 1과 같다. 또한, 경량굵은골재(이하 LC로 약함)의 최대치수는 20 mm, 밀도는 1.
  • 15 g/cm3 및 비표면적 3,539 cm2/g인 국내 S사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이하 OPC로 약함)를 사용하였다. 굵은골재는 최대치수(이하 Gmax로 약함) 20 mm, 밀도 2.72 g/cm3인 부순골재(이하 NC로 약함)를 사용하였고, 잔골재는 밀도 2.55 g/cm3인 강모래(이하 NS로 약함)를 사용하였다. 경량골재(이하 LA로 약함)는 유문암계 미분말을 주원료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화학성분은 표 1과 같다.
  • 경량골재(이하 LA로 약함)는 유문암계 미분말을 주원료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화학성분은 표 1과 같다. 또한, 경량굵은골재(이하 LC로 약함)의 최대치수는 20 mm, 밀도는 1.58 g/cm3 이고, 경량잔골재(이하 LS로 약함)의 밀도는 1.87 g/cm3, 0.08 mm 통과 미립분 양 5%인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표 2와 같다.
  • 본 연구에 사용한 경량굵은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조건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경량굵은골재의 표면건조 포화 상태는 콘크리트 배합 24시간 전에 pre-wetting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에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 시멘트는 밀도 3.15 g/cm3 및 비표면적 3,539 cm2/g인 국내 S사의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이하 OPC로 약함)를 사용하였다. 굵은골재는 최대치수(이하 Gmax로 약함) 20 mm, 밀도 2.
  •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 H사의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이하 HRWR로 약함) 및 공기연행제(이하 AEA로 약함)를 사용하였다. HRWR의 밀도는 1.
  •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검토를 위한 시험용 공시체는 다짐작업 없이 Ø 100×200 mm로 제조하였으며, 제작된 공시체는 24시간 후에 몰드를 제거한 다음 시험 전 까지 20±3℃에서 표준양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기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적용하여 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경량골재의 혼합은 체적을 고려하여 경량골재를 대체하여 사용 하였다.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성능평가는 일본토목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경화 콘크리트의 품질은 재령별 압축강도, 쪼갬 인장강도, 탄성계수, 기건 단위용적질량, 건조수축 및 탄산화를 측정하여 검토하였다(Chandra, 200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최성, 이광명, 정상화, 김주형(2009) 급속촉진 탄산화 시험을 통한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탄산화 특성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Vol. 20, No. 4, pp. 449-455. 

  2. 최연왕, 김용직, 최욱, 이상호, 조선규(2004) 경량 굵은골재 비중 및 혼합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자기충전성,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747-750. 

  3. 최연왕, 정문영, 정지승, 문대중, 안성일(2002) 골재 채움율과 잔골재 용적비를 고려한 자기충전형 콘크리트의 최적배합,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549-554. 

  4. 최연왕, 조선규, 최욱, 김경환, 안성일(2003) 간편 배합설계방법을 통한 중간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pp. 83-88. 

  5. ACI Building Code 318M-08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e concrete and commentary, ACI Committee 318. 

  6. Aitcin, P.C. (1998) High-Performance Concrete, E&FN Spon, London. 

  7. CEB-FIP Model code (1993) Committee Euro-International du Beton(CEB-FIP), Thomas Telford, London. 

  8. Chandra, S. and Berntsson, L. (2002)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Noyes, New York. 

  9. Haque, M.N., AI-Khaiat, H., and Kayali, O. (2003) Strength and durability of lightweight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Elsevier, Vol. 26, Issue 4, pp. 307-314. 

  10. JSCE (1998) Japanese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Guide to Construction of high FLowing Concrete, Gihoudou Pub., Tokyo. 

  11. Kilic, A., Atis, C.D., Yasar, E., and Ozcan, F. (2003)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made with scoria aggregate containing mineral admix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Issue 10, pp. 1595-1599. 

  12. Kim, Y.J., Choi, Y.W., and Lacjemi, M. (2010) Characteristics of self-consolidating concrete using two types of lightweight coarse aggrega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Elsevier, Vol. 24, pp. 11-16. 

  13. Lo, T.Y. and Cui, H.Z. (2004) Effect of porous lightweight aggregate on strength of concrete, Materials Letters, Elsevier, Vol. 58, Issue 6, pp. 916-919. 

  14. Lo, T.Y., Cui, H.Z., and Li, Z.G. (2004) Influence of aggregate prewetting and fly ash on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Waste Management, Elsevier, Vol. 24, Issue 4, pp. 333-338. 

  15. Okamura, H. (1999) Self-compacting high performance concrete, Social System Institute, Tokyo. 

  16. Okamura, H., Maekawa, K., and Ozawa, K. (1998) High performance concrete, Gihoudou Pub., Tokyo. 

  17. Rossignolo, J.A. and Agnesini, M.V.C. (2002)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Elsevier, Vol. 32, Issue 9, pp. 329-334. 

  18. Rossignolo, J.A., Agnesini, M.V.C., and Morais, J.A. (2003)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LWAC for precast structures with Brazilian lightweight aggrega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Elsevier, Vol. 25, Issue 1, pp. 77-82. 

  19. Su, N. and Miao, B. (2003) A new method for the mix design of medium strength flowing concrete with low cement content,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Elsevier, Vol. 25, Issue 2, pp. 215-222. 

  20. Su, N., Hsu, K.C., and Chai , H.W. (2001) A simple mix design method for self-compacting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Elsevier, Vol. 31, Issue 12, pp. 1799-1807. 

  21. Turkmen, I. and Kantarci, A. (2007) Effect of expanded perlite aggregate and different curing conditions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lf compacting concrete, Build Environ, Elsevier, Vol. 42, pp. 2378-2383. 

  22. Yasar, E., Atis, C.D., Kilic, A., and Gulsen, H. (2003) Strength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made with basaltic pumice and fly-ash, Materials Letters, Elsevier, Vol. 57, Issue 15, pp. 2267-2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