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 내 탈황을 위한 CaCO3 흡착제 입자의 분위기 기체와 체류 시간의 변화에 따른 특성
Characteristics of CaCO3 Sorbent Particles for the In-furnace Desulfurization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4 no.2 = no.293, 2010년, pp.121 - 127  

이강수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정재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  길상인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자원연구실) ,  이형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단) ,  김상수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추가적인 챔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로 내 탈황 기술은 순산소 연소 기술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때, 수 나노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넓은 사이즈 분포를 가지는 $CaCO_3$ 입자가 흡착제로써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순산소 연소 시스템을 모사하는 랩스케일의 실험 장치를 구축하였다. $CaCO_3$ 흡착제 입자는 $1200^{\circ}C$로 설정된 고온 반응로에 각각 공기 분위기와 CO2 분위기에서 노출되게 된다. 이때 고온 반응로에서의 체류 시간을 0.33 ~ 1.46 초로 변화시켜 가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흡착제 입자는 고온 반응로의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포집되어 주사형 이동도 입자계수기, X-선 회절장치, 열중량 분석기,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온 반응로에서의 체류 시간과 분위기 기체성분이 흡착제 입자의 하소 반응률, 반응 메커니즘 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urnace desulfuriz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O_2/CO_2$ combustion system for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process because this combustion system does not need an additional chamber for the desulfurization. $CaCO_3$ sorbent particles, which have a wide 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반응로에 CaCO3 흡착제 입자가 노출되었을 때, 분위기 기체의 종류와 체류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착제 입자의 반응로 내에서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흡착제 입자의 기하 평균 입경의 감소 속도는 응집 시간과 반응 시간에 의해 조절되어 공기 분위기 조건에 비해 CO2 분위기 조건에서 천천히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2, CH4, H2O 등의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시키는 기술 중 발전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발전, 자동차, 철강 등의 분야에서 CO2, CH4, H2O 등의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CO2가스를 고농도의 상태로 포집하여 유전이나 바다 밑 염대수층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O2 Capture & Storage) 기술이 대두되게 되었고, 특히 발전 분야에서는 연소 전 탈탄소화(pre-combustion decarbonization), 순산소 연소(O2/CO2 combustion), 연수후 포집(post-combustion capture) 기술로 나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이 중, 순산소 연소 기술은 높은 산소 제조비용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발전 설비에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순산소 연소 기술의 사용 비용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CO2가스를 고농도의 상태로 포집하여 유전이나 바다 밑 염대수층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O2 Capture & Storage) 기술이 대두되게 되었고, 특히 발전 분야에서는 연소 전 탈탄소화(pre-combustion decarbonization), 순산소 연소(O2/CO2 combustion), 연수후 포집(post-combustion capture) 기술로 나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이 중, 순산소 연소 기술은 높은 산소 제조비용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발전 설비에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2) 산화제로서 기존의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공기 대신 공기분리시스템(ASU: Air Separation Unit)을 통해 얻어진 순수한 산소만을 사용하게 되는 순산소 연소는 배가스의 재순환을 통해 고농도의 CO2를 얻게 되어 (> 95%) 높은 순도의 CO2 회수가 가능하다.
지구 온난화 문제를 경감 시키기 위해 발전, 자동차, 철강 등의 분야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발전, 자동차, 철강 등의 분야에서 CO2, CH4, H2O 등의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CO2가스를 고농도의 상태로 포집하여 유전이나 바다 밑 염대수층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CO2 Capture & Storage) 기술이 대두되게 되었고, 특히 발전 분야에서는 연소 전 탈탄소화(pre-combustion decarbonization), 순산소 연소(O2/CO2 combustion), 연수후 포집(post-combustion capture) 기술로 나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igueroa, J. D., Fout, T., Plasynski, S., Mcllvried, H. and Srivastava, R. D., 2008, "Advances in $CO_2$ Capture Technology - The U.S. Department of Energy's Carbon Sequestration Program," Int. J. Greenh. Gas Con., Vol. 2, No. 1, pp. 9-20. 

  2. Buhre, B. J. P., Elliott, L. K., Sheng, C. D., Gupta, R. P. and Wall, T. F., 2005, "Oxy-Fuel Combustion Technology for Coal-fired Power Generation," Prog. Energ. Combust., Vol. 31, No. 4, pp. 283-307. 

  3. Liu, H. and Okazaki, K., 2003, "Simultaneous Easy $CO_2$ Recovery and Drastic Reduction of $SO_X$ and $NO_X$ in $O_2/CO_2$ Coal Combustion with Heat Recirculation," Fuel, Vol. 82, No. 11, pp. 1427-1436. 

  4. Okazaki, K. and Ando, T., 1997, " $NO_X$ Reduction Mechanism in Coal Combustion with Recycled $CO_2$ ," Energy, Vol. 22, No. 2/3, pp. 207-215. 

  5. Liu, H., Katagiri, S., Kaneko, U. and Okazaki, K., 2000, "Sulfation Behavior of Limestone under High $CO_2$ Concentration in $O_2/CO_2$ Combustion," Fuel, Vol. 79, No. 8, pp. 945-953. 

  6. Chen, C. M. and Zhao, C. S., 2006, "Mechanism of Highly Efficient In-Furnace Desulfurization by Limestone under $O_2/CO_2$ Coal Combustion Atmosphere," Ind. Eng. Chem. Res., Vol. 45, No. 14, pp. 5078-5085. 

  7. Hu, G., Dam-Johanson, K., Wedel, S. and Hansen, J. P., 2007, "Direct Sulfation of Limestone," AIChe J., Vol. 53, No. 4, pp. 948-960. 

  8. Fuertes, A. B., Velasco, G., Fernandez, M. J. and Alvarez, T., 1994, "Analysis of the Direct Sulfation of Calcium Carbonate," Thermochim. Acta, Vol. 242, pp. 161-172. 

  9. Tullin, C. and Ljungstrom, E., 1989, "Reaction between Calcium Carbonate and Sulfur Dioxide," Energ. Fuel., Vol. 3, No. 3, pp. 284-287. 

  10. Mahuli, S. K., Agnihotri, R., Jadhav, R., Chauk, S. and Fan, L. S., 1999, "Combined Calcination, Sintering, and Sulfation Model for $CaCO_3-SO_2$ Reaction," AIChE J., Vol. 45, No. 2, pp. 367-382. 

  11. Rahmani, M. and Sohrabi, M., 2006, "Direct Sulfation of Calcium Carbonate Using the Variable Diffusivity Approach," Chem. Eng. Technol., Vol. 29, No. 12, pp. 1496-1501. 

  12. Chen, C., Zhao, C., Liang, C. and Pang, K., 2007, "Calcination and Sintering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under $O_2/CO_2$ Combustion Atmosphere," Fuel Process. Technol., Vol. 88, No. 2, pp. 171-178. 

  13. Garcia-Labiano, F., Abad, A., De Diego, L. F., Gayan, P. and Adanez, J., 2002, "Calcination of Calcium-based Sorbents at Pressure in a Broad Range of $CO_2$ Concentrations," Chem. Eng. Sci., Vol. 57, No. 13, pp. 2381-2393. 

  14. Szekely, J., Evans, J. W. and Sohn, H. Y., 1976, Gas-Solid Reactions, Academic Press, 1st ed., pp. 1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