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도에 따른 제주 습지 수서곤충의 종풍부성 변화 : Rapoport 법칙의 검정
Species Richness of Aquatic Insects in Wetland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in Jeju, Korea : Test of Rapoport's Rul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9 no.3, 2010년, pp.175 - 185  

정상배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동순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물산업부 식물자원환경) ,  전형식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양경식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김원택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다양성(또는 종풍부성)에 미치는 고도 또는 위도 효과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생물지리학자들의 최대관심사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 한라산 24개 습지에 발생하는 수서곤충을 대상으로 고도구배에 따른 출현 종수(종풍부성)의 변화특성을 구명하고 Rapoport의 법칙을 검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습지의 면적 효과를 제거하지 않았을 때 해발고도가 증가 할수록 수서곤충 출현 종수는 단조적으로(monotonical) 감소하였고 상관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r = -0.64). 고도와 출현 종수의 관계에서 출현 종수를 면적 대비 표준화하여 면적 효과를 제거한 결과 고도의 증가에 따라 처음에는 출현 종수가 증가하다가 최고점을 지나서는 감소하는 전형적인 고봉형 양상(hump-shaped pattern)을 나타냈다. 각 종의 평균 서식고도(수직분포의 중위값)와 수직서식분포 범위와의 관계는 평균 서식고도가 높을수록 분포범위가 증가하는 Rapport의 법칙을 따랐다. 노린재목을 제외하고 평균 서식고도와 수직분포 범위 간에는 정상관을 보였다(잠자리목: r = 0.75, 노린재목: r = -0.22, 딱정벌레목: r = 0.72, 전체: r = 0.55). 또한 상위영역 종은 평균 분포범위가 904.3m로 하위영역 종의 469.5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포범위가 넓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고도별 한라산 습지 수서곤충의 종풍부성 분포는 Rapoport의 법칙에 잘 일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ltitude and latitude on biodiversity (or species richness) has been a topic of great interest for many biogeographers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ynamics of species richness of aquatic insect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in 24 wetlands on Mt. Halla, 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까지 한라산에서 생물 수직분포에 대한 이론적인 해석 연구는 미미하였다 한라산에는 현무암 화산지형과 관련하여 고도별 다양한 습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적 및 고도가 서로 다른 24개 습지에서 수서곤충을 조사하였으며 고도구배에 따른 출현 종수(종다양성 종풍부성)의 변화 특성을 구명하고 Rapoport의 법칙을 검정하고자 실시하였다.
  • 각 해당 영역에 속한 종의 수직분포범위 크기의 통계적 차이 유무를「검정을 이용 분석하였다. 분석은 하위영역 종의 분포범위가 좁고 반면 상위영역 종의 분포범위가 넓다는 Ropoport 법칙을 검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즉 상위고도 영역 종의 분포범위가 하위고도 영역 종의 분포범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다면 이 가설은 수락된다.

가설 설정

  • Lomolino(2001)는 산지생물지리학(montane biogeography)에서 나타나는 종다양성의 고도구배 현상은 고도에 따른 이용 가능한 면적, 기후구배 고도에 따른 산지 군집의 격리 특성(즉 인위적 교란 종형성 멸종 이주 등에서연속변아), 지역군집 간 피드백 등 4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고 정리하였다 해발고도에 따른 생물종다양성의 생태적 양상을 설명하는 이론 중 가장 원론적인 것은 고도와 생물 종의 분포범위 간에는 정상관 관계가 성립한다는 이론으로 Rapoport의 법칙 (Stevens, 1992) 또는 효과(Blackburn and Gaston, 1996)라 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산의 정상과 같이 상위 고도에서는 기후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 종은 기후에 대한 내성범위가 커서 넓은 분포범위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반대로 하위고도 종은 비교적 안정된 기상 변이에 적응하기 때문에 기후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아서 분포범위도 좁다 이와 같이 하위고도 종들은 상위 고도에서 생존할 수 없고 주로 서식하는 저위고도에서 각 종들간 분포범위 중심의 근접성 때문에 고도에 따른 종 풍부 성은 저위 고도에서 높게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onymous. 1994.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In Korean). 744 pp.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 Konkuk Univ. Publisher, Seoul. 

  2. Asahino, S., T. Ishihara and K. Yasumatsu. 1973. Iconographia insectorum japonicorum Colore naturali edita, Volumen III. Hokuryukan. pp. 103-108. 

  3. Blackbum T.M. and K.J. Gaston. 1996. Spatial ptterns in the geographic range sizes of bird species in the New World. Philos. Trans. R. Soc. Lond. B 351: 897-912. 

  4. Brown, J.H. and A. Kodric-Brown. 1977. Turnover rates in insular biogeography: effect of immigrarion on extinction. Ecology 58: 445-449. 

  5. Brown, J.H., G.C. Stevens and D.M. Kaufman. 1996. The geographical range: size, shape, boundaries, and internal structure. Annu. Rev. Ecol. Syst. 27: 597-623. 

  6. Chatzaki, M., P. Lymberakis, G. Markakis and M. Mylonas. 2005. The distribution of ground spiders (Araneae, Gnaphosidae) along the altitudinal gradinal of Crete, Greece: species richness, activity and altitudinal range. J. Biogeogr. 32: 813-831. 

  7. Colwell, R.K. and D.C. Lees. 2000. The mid-domain effect: geometric constraints on the geography of species richness. Trends Ecol. Evol. 15: 70-76. 

  8. Colwell, R.K. and G.C. Hurtt. 1994. Nonbiological gradients in species richness and a spurious Rapoport effect. Am. Nat. 144: 570-595. 

  9. Fernandes, G.W. and P.W. Price. 1988. Biogeographical gradients in galling species richness. Oecologia 76: 161-167. 

  10. Fleishman, E., G.T. Austin, and A.D. Weiss. 1998. An empirical test of Rapoport's rule: elevational gradients in montane butterfly communities. Ecology 79: 2482-2493. 

  11. Hogg, I.D. and D.D. Williams. 1996. Response of stream invertebrates to a global-warming thermal regime: an ecosystemlevel manipulation. Ecology 77: 395-407. 

  12. Jandel Scientific. 1996. TableCurve 2D. Automated curve fitting and equation discovery: Version 4.0. Jandel Scientific, San Rafel, CA. 

  13. Kawai, D. 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East Sea Univ. Publish group. 658 pp. 

  14. Lawton, J.H., M. MacGarvin and P.A. Heads. 1987. Effects of altitude on the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insect herbivores on bracken. J. Anim. Ecol. 56: 147-160. 

  15. Lomolino, M.V. 2001. Elevation gradients of species-density: historical and prospective views. Global Ecol. Biogeogr. 10: 3-13 

  16. Rahbek, C. 1997. The relationship among area, elevation, and regional species richness in neotropical birds. Am. Nat. 149: 875-902. 

  17.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An illustrated book for aquatic invertebrate in rice ecosystem. 416 pp.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angmoon-dang, Suwon. 

  18. Sanders, N.J. 2002. Elevational gradients in ant species richness: Area, geometry, and Rapoport's rule. Ecography 25: 25-32. 

  19. Schoener, T.W. 1976. The species-area relation within archipelagoes: models and evidence from island land birds. In: Firth, H.J. and Calaby, J.H. (eds), Proc. of the XVI Int. Ornithol. Congr. Australian Acad. of Sci., pp. 629-642. 

  20. Southwood, T.R.E. 1978. Ecological methods. Halsted Press, Capman and Hall. London. 524 pp 

  21. Stevens, G.C. 1992. The elevational gradient in altitudinal range: an extension of Rapoport's latitudinal rule to altitude. Am. Nat. 140: 893-911. 

  22. Takehiko N., O. Kazuo, N. Shizumu and K. Yoshihiko. 2007. Iconographia Insectorum Japonicorum Colore Naturali Edita Vol. II. Hokuryukan. 526 pp. 

  23. Ueno, S., Y. Kurosawa and M. Sato. 1985.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515 pp. 

  24. Ward, J.V. and J.A. Stanford. 1982. Thermal responses in the evolutionarγ ecology of aquatic insects. Annu. Rev. Entomol. 27: 97-117. 

  25. Won, D.H. S.J. Kwon and Y.C. Jeon.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Ecological Survey Team Press, 415 pp. 

  26. Yoon, I.B. 1995. An explanatory diagram and identification key, of aquatic insects. Junghaengsa, Seoul, 237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