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300-기반 숨긴정보검사에서 자극유사성이 P300의 진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imulus similarity on P300 amplitude in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3 no.3, 2010년, pp.541 - 550  

엄진섭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한유화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박광배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300-기반 숨긴정보검사(P300 CIT)에서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P300 진폭과 검사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사고를 당하여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허위로 주장하는 허위기억상실을 가정한 상황에서, 실험참여자의 이름을 숨긴정보(관련자극)로 사용하여 P300 CIT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에서 실험참여자의 과제는 목표자극과 나머지 자극을 변별하는 것이었다.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은 목표자극과 관련자극, 무관련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낮은 조건(저난도 조건)에서 검사를 받았으며, 다른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들은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높은 조건(고난도 조건)에서 검사를 받았다.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측정치로 사용한 경우, 난이도 조건과 자극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alpha$=.10 수준에서 유의하였다(p=.052). 저난도 조건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 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였으며, 고난도 조건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 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측정치로 사용한 경우, 난이도 조건과 자극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모두에서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간의 P300 진폭차이가 유의하였다.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개인별 판단결과,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개인별 판단결과도 저난도 조건과 고난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난이도 조건 간의 정확판단율 차이가 기저선-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경우보다 정점-정점 P300 진폭을 이용한 경우에 더 작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높을 때에도 P300 CIT의 효율성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physical similarity of test stimuli affects P300 amplitude and detection accuracy for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CIT). As the participant pretended suffering from memory impairment by an accident, own name was used as a concealed inform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300 CIT에서 목표자극과 관련자극, 무관련자극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각 자극의 P300 진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높은 고난도 조건의 반응시간이 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낮은 저난도 조건의 반응 시간 보다 긴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유사성을 통한 과제 난이도의 조작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거짓말 탐지를 위한 P300 CIT에서 검사자극들 간의 물리적 유사성이 사건관련자극과 사건무관련자극의 P300 진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글자 자극을 이용하여 자극 유사성이 P300의 진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사진 자극에 대해 일반화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추후에 사진 자극을 이용하여 자극 유사성이 P300 CIT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파검사는 무엇인가? 폴리그라프 검사(polygraph test)라고 부르는 거짓말 탐지검사는 조사대상자의 피부전도수준과 호흡, 혈압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관찰하여 조사대상자가 거짓을 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1900년대 초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뇌파검사는 조사대상자의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관찰하여 거짓을 말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약 20년 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거짓말 탐지 방법이다(Mastroberardino & Santangelo, 2009).
CQT는 어떤 질문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는가? 조사대상자가 거짓을 말하는지 혹은 진실을 말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검사기법으로 두 가지가 널리 사용된다. 한 가지 기법은 비교질문검사(comparison question test: CQT)로, CQT는 조사대상자가 거짓을 말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 중인 사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질문(예; 당신이 ○○에서 돈을 훔쳤습니까?)에 대한 반응과 조사 중인 사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질문(예; 당신은 과거에 다른 사람의 물건을 훔친 적이 있습니까?)에 대한 반응을 서로 비교한다. 다른 한 가지 기법은 숨긴정보검사(concealed information test: CIT) 혹은 유죄지식검사(guilty knowledge test: GKT)이다.
숨긴정보검사 또는 유죄지식검사는 어떤 자극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는가? 다른 한 가지 기법은 숨긴정보검사(concealed information test: CIT) 혹은 유죄지식검사(guilty knowledge test: GKT)이다. CIT 혹은 GKT는 조사대상자가 조사 중인 사안과 관련된 특정 사실(예; 도난당한 돈의 액수인 150만 원)을 알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 중인 사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극(예; 150만 원)에 대한 반응과 조사 중인 사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자극(예; 100만 원, 200만 원 등)에 대한 반응을 서로 비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엄진섭, 음영지, 손진훈, 박광배 (2010). 고역통과필터 값이 P300의 파형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13(1), 179-186. 

  2. 엄진섭, 한유화, 박광배, 손진훈 (2008). P300 숨긴 정보 검사의 민감도: 목표자극을 이용하는 측정 패러다 임과 두 자극에 대한 범주판단 및 재인검사를 이용 하는 측정 패러다임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653-673. 

  3. Abootalebi, V., Moradi, M. H., & Khalilzadeh, M. A. (2006). A comparison of methods for ERP assessment in a P300-based GK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2, 309-320. 

  4. Azizian, A., Freitas A. L., Watson, T. D., & Squires, N. K. (2006). Electorphysiological correlates of categorization: P300 amplitude as index of target similarity. Biological Psychology, 71, 278-288. 

  5. Ben-Shakhar, G. (2002). A Critical review of the control questions test (CQT). In Murray Kleiner (Ed.), Handbook of Polygraph Testing. San Diego: Academic Press. 

  6. Ben-Shakhar, G. & Elaad, E. (2002). The guilty knowledge test (GKT) as an application of psychophysiology: Future prospects and obstacles. In Murray Kleiner (Ed.), Handbook of Polygraph Testing. San Diego: Academic Press. 

  7. Ben-Shakhar. G. & Dolev, K. (1996). Psychophysiological detection through the guilty knowledge technique: the effects of mental counter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273-281. 

  8. Farwell, L. A. & Donchin, E. (1991). The truth will out: Interrogative polygraphy ("Lie detection") with eventrelated potentials. Psychophysiology, 28, 531-547. 

  9. Honts, C. R., Devitt, M, K., Winbush, M., & Kircher, J. C. (1996). Mental and Physical countermeasures reduce the accuracy of the concealed knowledge test. Psychophysiology, 33, 84-92. 

  10. Johnson, R. (1986). A triarchic model of P300 amplitude. Psychophysiology, 23, 367-384. 

  11. Kok, A. (2001). On the utility of P3 amplitude as a measure of processing capacity. Psychophysiology, 38, 557-577. 

  12. Magliero, A., Bashore, T. R., Coles, M. G. H., & Donchin, E. (1984). On the dependence of P300 latency on stimulus evaluation processes. Psychophysiology, 21, 171-186. 

  13. Mastroberardino, S. & Santangelo, V. (2009). New perspectives in assessing deception: The evolution of the truth machine. European Journal of Cognitive Psychology, 21, 1085-1099. 

  14. Polich, J. & Comerchero, M. D. (2003). P3a from visual stimuli: Typicality, task, and topography. Brain Topography, 15, 141-152. 

  15. Rosenfeld, J. P., Angell, A., Johnson, M., & Qian, J. (1991). An ERP-based, control-question lie detector analog: Algorithms for discriminating effects within individuals' average waveforms. Psychophysiology, 38, 319-335. 

  16. Rosenfeld, J. P., Biroschak, J. R., & Furedy, J. J. (2006). P300-based detection of concealed autobiographical versus incidentally acquired information in target and non-target paradigm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0, 251-259. 

  17. Rosenfeld, J. P., Shue, E., & Singer, E. (2007). Single versus multiple probe blocks of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s for self-referring versus incidentally obtained information. Biological Psychology, 74, 396-404. 

  18. Semlitsch, H. V., Anderer, P., Schuster, P., & Presslich, O. (1986). A solution for reliable and valid reduction of ocular artifacts, applied to the P300 ERP. Psychophysiology, 23, 695-703. 

  19. Seymour, T. L., & Kerlin, J.R. (2008). Successful detection of verbal and visual concealed knowledge using an rt-based paradigm.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2, 475-490. 

  20. Soskins, M., Rosenfeld, J. P., & Niendam, T. (2001). The case for peak-to-peak measurement of P300 recorded at .3 Hz high pass filter settings in detection of dece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40, 173-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