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릿대 잎 분획 추출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Sasa borealis) Leaves Fraction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745 - 1752  

박연옥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임현숙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의 70% ethanol 조추출물과 이의 분획추출물 5종이 식품부패균과 식중독균 7종에 대해 나타내는 항균활성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억제효과를 수행하였다. 70% ethanol 조추출물과 분획추출물 모두 1% 농도에서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5% 농도에서는 aqueous분획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즉 70% ethanol 추출물과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및 n-butanol 분획은 본 연구에서 실험한 7종의 모든 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chloroform 분획은 5종의 균에 대해, ethyl acetate 분획은 3종의 균에 대해 그리고 70% ethanol 추출물은 1종에 대해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반면에 n-hexane 분획은 M. luteus와 B. subtilis 2종의 균에 대해서만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들 조릿대 잎 추출물이 항균작용을 나타낸 최소저해농도는 70% ethanol 추출물은 S. aureus를 제외한 6종의 균에 대해 $50{\mu}L$/disc이었고, n-hexane 분획은 항균활성을 나타낸 M. luteus와 B. subtilis에 대해서만 $100{\mu}L$/disc의 최소저해농도를 보였으며, chloroform 분획은 3종의 균에 대해서는 $35{\mu}L$/disc의 낮은 최소저해농도를 보였고 나머지 4종에 대해서는 $50{\mu}L$/disc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은 7종 모든 균에 대해 $50{\mu}L$/disc가 최소저해농도이었다. 한편 n-butanol 분획은 S. aureus에 대해서는 $35{\mu}L$/disc가 그리고 나머지 6종에서는 $50{\mu}L$/disc가 최소저해농도이었다. 항균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aqueous 분획은 S. aureus와 L. monocytogens에 대해 $200{\mu}L$/disc의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의 생육저해효과는 0.1% 처리 시에는 2종의 균만 생육을 8시간 이상 저해하였고, 0.25% 처리는 2종에 대해서는 8시간까지 그리고 5종의 균에 대해서는 12시간까지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0.5% 처리는 7종 모든 균의 생육을 24시간까지 저해하였다. 이러한 생육저해효과는 용매로 사용된 70% ethanol의 기여도 있었지만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에 함유된 항균물질의 작용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조릿대 잎이 천연 항균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70% ethanol (EtOH) extract and the five fractions of the crude extract from Sasa borealis leaves against seven food poisoning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처리한 경우는 7종의 모든 균에 대해 24시간까지 생육 저해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을 이용해 식중독균의 생육을 저해하고자 할 때 균주에 따라 또는 억제시키고자 하는 시간에 따라 각기 다른 농도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한편 ethyl acetate 분획추출물 0.
  • 그러나 아직 조릿대 잎 추출물이 식중독균에 대해 갖는 항균력에 대한 자료는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에는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 잎의 70%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의 항균작용이 우수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초해 조릿대 잎의 70% ethanol 추출물과 이의 분획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최소저해농도 및 생육억제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Concentration of test samples and benzoic acid was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릿대는 한방에서 어떤 효과가 있기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는가? 잎과 줄기와 뿌리 모두 약으로 쓰이며 꽃이 피지 않은 것은 언제든지 채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릿대의 성질은 차가우며 약간 단맛이 있고 알칼리성이고 독이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해열, 소갈, 소담, 강정, 억균 및 항암 효과가 있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16-18).
조릿대의 줄기와 잎의 ethanol 조추출물은 어떤 세균에 항균활성을 보이는가? 조릿대 잎에는 페놀성 물질과 플라본 배당체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고(19-21), 조릿대 잎의 열수와 70% ethanol 조추출물이 항산화작용을 나타낸다는 점 또한 증명되었으며(22), 조릿대의 줄기와 잎의 ethanol 조추출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P seudomonas fluorescens 등 식중독 및 부패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인다는 점도 확인되었고(23), 이외에 조릿대 잎의 분획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이 김치 초기 숙성균, 산패 및 연부균 등에 대해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E. coli, B.
조릿대의 외형적 특징은? 조릿대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걸쳐 산중턱 밑에 큰 나무 아래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상록 식물로 토종 약초로 분류되어 있다. 키는 1~2 m로 자라고 줄기의 지름은 6 mm쯤으로 대나무 가운데 가장 작은 종류이다. 산죽(山竹), 지죽(地竹), 조죽(鳥竹), 입죽(立竹)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담죽엽, 임하죽, 토맥동 등으로 불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 EM, Kim BY.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epsilon-polylysine$ mixtur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05-710. 

  2. Jung JH, Cho SH. 2003. Effect of steeping treatment in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olution on the quality control of processed tofu. Korean J Food Preserv 10: 41-46. 

  3.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4. Lee KS, Kim MG, Lee K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o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5. Kong YJ, Kang TS, Lee MK,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8-343. 

  6. Kim HT, Kim JW, Lim MK, Yeo SG, Jang KH, Oh TH, Lee KW. 2007. Antimicrobial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pathogenic bacteria in vitro. J Vet Clin 24: 130-136. 

  7.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8. Cho SY, Choi JH, Ham SS, Oh DH.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E. coli O157:H7. J Fd Hyg Safety 20: 48-52. 

  9. Hughuey VL, Johnson EA. 1987. Antimicrobial activity of lysozyme against bacteria involved in food spoilage and food borne disease. Appl Environ Microbial 53: 2165-2170. 

  10. Orman JD, Reiter B. 1968. Inhibition of bacteria by lactoferrin and other iron chelating agents. Biochem Biophys Acta 170: 351-354. 

  11. Oh SW, Hong SP, Kim HJ, Choi YJ. 1999. Antimicrobial effects of chitosans on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nd Candida albic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12. Sakanara S, Aizawa M, Kim M, Yamamoto T. 1996.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growth and cellular adherence of an oral bacterium, Prophyromonas gingivali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745-749. 

  13. Tirillini B. 2000. Grapefruit: the last decade acquisitions. Fitoterapia 71: 29-37. 

  14. Shima S, Matsuoka H, Iwamoto T, Sakai H. 1984. Antimicrobial action of $\epsilon-poly-L-lysine$ . J Antibiotics 37: 1449-1455. 

  15. Jack RW, Wan J, Gorden J, Harmark K, Davidson BE, Hiller AJ, Wettenhall RE, Hickey MW, Conventry MJ. 1996. Characterization of the chem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isciolin 126. a bacteriocin produced by Carnobacterium piscicola JG126. Appl Environ Microbiol 62: 2897-2903. 

  16. Her J. 2005. Dongeuibogam. 3 turn revision. Yeogang publisher, Seoul, Korea. p 3059-3061. 

  17. Choi JG. 2005. Effect of wild grass. The Korea Native Medicinal Herb Study of Society, Seoul, Korea. p 145-149. 

  18. Her CG. 2000. North Dongeuibogam medicinal. Creation culture, Seoul, Korea. p 288-291. 

  19. Jeong YH, Chung SY, Han AR, Sung MK, Jang DS, Lee J, Kwon YJ, Lee HJ, Seo EK. 2007. P-glycoprotein inhibitory activity of two phenolic compounds, (-)-syringaresinol and tricin from Sasa borealis. Chem Biodivers 4: 12-16. 

  20. Yoon KD, Kim CY, Huh H. 2000. The flavone glycosides of Sasa borealis. Kor J Pharmacogn 31: 224-227. 

  21. Park HS, Lim JH, Kim HJ, Choi HJ, Lee IS. 2007. Antioxidant flavone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Sasa borealis. Arch 

  22. Park YO, Lim H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40-1648. 

  23. Ko MS. 2008. Chemical components in stalks and leaves of Sasa borealis makino and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125-132. 

  24. Chung DK, Yu R.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25. Kim MJ, Byun MW, Jang MS. 1996.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5: 135-142. 

  26. Kim MJ, Kwon OJ, Jang MS. 1996.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dongchi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41-746. 

  27. Bauer AW, Kibby MM, Sherria JC, Turck M. 196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28. Baek JW, Chung SH,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29. Kim NK, Cho SH, Lee SD, Ryu JS, Shim KH. 2001.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llostachys sp.)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