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생산에 의한 CO2 배출량 평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of CO2 Emission in the Production of Concrete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2 no.6, 2010년, pp.787 - 796  

김태형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태성호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의 주요원인인 $CO_2$ 발생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반 환경산업으로 인식되는 건설 산업의 주요자재로서 다량의 $CO_2$를 배출하는 콘크리트는 생산과정에서 발생된 $CO_2$ 배출량 감소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를 기초로 하여 자재생산, 운송, 제조단계에서 발생하는 $CO_2$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CO_2$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하고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평가결과, 대부분의 $CO_2$ 배출량은 자재생산단계에서 발생했으며, 자재, 운송, 제조단계에서 배출된 $CO_2$ 배출량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더욱이, $CO_2$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여 평가가 가능한 이 평가시스템은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_2$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국내 레미콘생산업체는 $CO_2$ 배출량 평가를 하기 위해 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reason of the earth global warming is $CO_2$ and the regulation about it in the whole world has been reinforced to reduce $CO_2$ emission. It is needed that we should reduce it in the process at the production of concrete generated much of $CO_2$ emission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콘크리트 생산과정의 단계를 자재, 운송, 제조단계로 구분한 후 각 단계별로 CO2 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기법을 제안하여 콘크리트 생산에 의한 CO2 배출량 평가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를 현장에 출하 전 단계까지의 CO2 배출량에 대한 산출기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CO2배출량이 산출 가능하고 동시에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의 친환경 기술 적용에 따른 CO2 배출저감 평가가 가능한 콘크리트 CO2 평가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 연구에서는 실제 레미콘 업체에서 5월(하절기)에 생산된 콘크리트에 대한 단위 당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의 종류는 해당업체에서 연간 생산량이 가장 많은 24 MPa 보통 콘크리트로 선정하였으며, 배합 비는 Table 8과 같다.
  • 이 평가 시스템은 단계별로 구분된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 배출하는 CO2의 정량적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Fig.
  •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산업 환경부하(CO2) 평가 및 최적설계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콘크리트의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CO2의 정량적 평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콘크리트 생산에 의한 CO2 배출량 평가시스템에서는 각 단계별로 CO2 배출저감기술 적용에 의한 CO2 배출량의 저감성능이 평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Table 6에 각 단계별 CO2 저감기술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연관분석법은 무엇을 이용하여 국내 각 산업부문별 단위 산출액 당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량을 산정하나? 산업연관분석법은 에너지 투입산출(energy input-output)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각 산업부문별 단위 산출액 당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량을 산정한다. 에너지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원단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산업연관표의 에너지원별 투입금액이 계산되면 산업연관표의 부속표인 부문별· 품목별 공급액 표와 통계청 자료에 나타나 있는 단가를 적용하여 에너지원별 투입물량을 계산하게 된다.
CO2 배출량 및 에너지 절약형 콘크리트 생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이유는? 미국 내 건축물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소모량 및 CO2 배출량이 미국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70%, CO2 배출량의 38%를 차지한다는 미국 환경보호청의1) 보고에서도알 수 있듯이 건축분야는 다량소비/대량폐기와 같이 반환경 산업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는바, 이를 지구환경 보존을 위한 친환경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2) 특히, 건설 산업의 주요자재인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혼화재료 등의 자재 생산과정에서부터 제조에 이르기까지 다량의 CO2를 배출할 뿐만 아니라 향후 레미콘의 자재승인공급서 내의 CO2 배출량 표기 등이 예상되는 바 콘크리트 생산에 따른 CO2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환경 선진국에서는 저탄소 콘크리트 조달 시스템3) 등 CO2 배출량 및 에너지 절약형 콘크리트 생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산업연관분석이 산업연관표에 들어있는 항목에 관한 공업제품과 기술을 분석하기에는 불충분한 이유는? 산업연관분석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부문 간 가격을 기준으로 원자재와 에너지가 조사대상 제품으로 분배된 경과와 이유를 역으로 분석해 가는 방법이기 때문에 산업연관표에 들어있는 항목에 관한 공업제품과 기술을 분석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또한, 신기술이나 재활용같이 아직 산업연관표에 들어있지 않은 항목 및 제조 인프라가 없는 경우에는 분석이 불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에너지전망보고서, 2009, pp. 27-31. 

  2. 태성호, 신성우, 이강희, “고강도 콘크리트 적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환경부하 저감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건축학회, 8권, 2호, 2008, pp. 61-66. 

  3. Hironori Nagai, Takafumi Noguchi, Resource-flow Simulation in Concrete Related Industries by using “ecoMA,”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B07 SEOUL), 2007, pp. 287-292. 

  4. 김종엽, 이승언, 손장열,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량 및 $CO_2$ 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권, 10호, 2004, pp. 319-326. 

  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정보망, http://www.edp.or.kr. 

  6. 이강희, 양재혁,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원 단위 산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권, 6호, 2009, pp. 43-50. 

  7. 日本土木學會, コンクリト構造物の 環境性能照査指針(試案), 2005, pp. 48-52. 

  8. 이승우, 건축물의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4, pp. 148-152. 

  9. John Gale, Sources of $CO_2$ ,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2006, pp. 92-94. 

  10. 이명규, 김광서, 이근호, 정상화, “순환골재 및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증기양생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7권, 4호, 2005, pp. 613-620. 

  11. 이종찬, 박용호, 김병선, 이상호, “신.재생에너지 군 시설 적용을 위한 설계지침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6권, 1호, 2010, pp. 87-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