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을 고려한 하수처리수 재이용 관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Water Reuse System under Uncertainty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2, 2010년, pp.131 - 138  

정건희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김태웅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 ,  이정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김중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화되는 물 수요와 기상 이변 등의 영향으로 극심해지는 가뭄에 대비하여 대체 수자원의 확보는 수자원 연구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다양한 대체 수자원 중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양호한 수질과 비교적 예측이 가능한 방류량으로 인해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혹은 공공용수를 대체할 안정적인 수원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해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 수요량을 고려한 최소의 공사비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이진변수를 가지는 2단계 추계학적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현재 설계하는 하수처리수 재이용 모형은 미래의 용수 수요량까지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미래에 용수수요가 증가할 경우, 기존의 관에 평행한 다른 관을 추가로 건설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2단계에 걸쳐 공사가 가능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미래의 물 사용량까지를 모두 고려하여 현재 큰 직경의 관로를 건설하는 경우와 작은 직경의 관로를 두 번에 걸쳐 건설하는 대안 사이의 비용차이를 고려한 모형이 제안되었으며, 가상의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그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하수 처리수 재이용 네트워크 계획 시 경제적인 관로 설계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물 공급 계획을 수립할 시 여러 가지 설계 대안들에 대한 비교를 위해도 사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increased water demand and severe drought as an effect of the global warming, the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ecome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water source to supply agricultural, industrial, and public (gardening) water demand. The effluent from the wastewater treat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체 수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공업용수, 공공용수로의 재사용을 위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최소의 공사비용으로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수요량까지 고려하는 설계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재사용이 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되던 처리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수지상형 관망 네트워크를 설계한다는 가정 하에 최적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 가상의 시스템에는 하나의 하수처리장이 수원으로 존재하며, 총 10개의 농업지역, 공업지역, 공공지역의 사용자가 존재한다.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관로의 경로는 수지상형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고, 미래의 불확실한 사용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물 공급을 위한 관경의 결정을 목적으로 한다(Fig. 1). 가상 시스템의 가능한 관로는 총 10개로 수원에서부터 사용자까지 수지상형으로 연결된다(Tables 1 and 2).

가설 설정

  • 최적의 시스템 설계는 미래 물수요의 예측을 수반하므로,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시스템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설계 시 현재 수요량을 기반으로, 미래 물수요량은 현재 수요량을 평균(m)으로 하고, 평균의 두 배를 총 범위[0.5m, 1.5m]로 가지는 대칭의 삼각형 확률분포함수를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Fig.
  • 각 관로는 2단계에 의해 건설(연도 0와 6)이 가능하며, 건설 시기는 최적 설계 결과에 의해 좌우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들은 기존에 하수처리수가 아닌 다른 수원에서 물 수요를 공급받고 있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첫 번째 건설기간(연도 0) 전에는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기반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므로 각 관로는 첫 번째 건설기간에 모두 건설되어, 모든 물 사용자가 필요한 물 수요량을 두 번째 건설기간까지 공급받도록 하여야 한다.
  • 본 연구는 대체 수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공업용수, 공공용수로의 재사용을 위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최소의 공사비용으로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수요량까지 고려하는 설계를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재사용이 되지 않고 하천으로 방류되던 처리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수지상형 관망 네트워크를 설계한다는 가정 하에 최적화 모형을 구축하였다. 제안된 모형에서 관로는 2단계로 건설이 가능하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 알고 있는 물수요량과 미래에 발생 가능한 불확실한 수요량을 고려하여 최적관로의 건설을 제안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건설한 관로가 미래의 물수요량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추가로 기존의 관로에 평행하게 건설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건설 가능한 관경이 해당 관로에 건설되었을 때의 에너지 손실은 Hazen-Williams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제안된 하수처리수 재이용 모형의 목적함수는 총 공사비의 최소화이며, 관의 건설은 총 2 단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즉, 현재의 하수처리수 사용자들의 용수사용량을 알고 있을 때, 공사가 진행될 수 있고, 미래의 물 사용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고려하여 다시 확장이 가능하다.
  • 제안된 처리수 재이용 모형을 네트워크 G=(I, J)로 나타낼 때, I는 전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관로를 나타내며, J는 각 관로의 건설관경을 나타낸다. 처리수 재이용 모형은 대부분 기존의 하천으로 방류되어 유실되는 유량을 재이용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기존의 관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관로의 네트워크는 수지상형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수 처리 수의 장내 재이용이란 무엇인가?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크게 장내 재이용과 장외 재이용으로 나누어지는데, 장내 재이용은 유출수를 다시 하수처리장의 공정에 재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여, 장외재이용은 유출수를 이용하여 공업용수나 농업용수 혹은 하천유지용수로 재이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하수 처리 수의 장외 재이용 시스템은 재오염 방지를 위해 개수로 보다는 관로를 이용하여 구축하며, 경제성을 고려하여 수지상형으로 구축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모색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나 지역 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의 대안으로 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를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재이용하는 방안도 모색될 수 있다. 실제로 연간 64억 톤씩 거의 일정한 양이 방류되고 있고, 고도처리 등을 거쳐 양호한 수질을 가진 하수처리수가 안정적인 대체수자원으로 사용이 매우 높으며, 현재 환경파괴논란 및 수몰지역 주민들의 반대여론에 부딪혀 주춤하고 있는 댐이나 저수지에 의한 수자원 확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자원으로서 그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수 처리 수의 장외 재이용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어떤 식으로 구축하는가?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크게 장내 재이용과 장외 재이용으로 나누어지는데, 장내 재이용은 유출수를 다시 하수처리장의 공정에 재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여, 장외재이용은 유출수를 이용하여 공업용수나 농업용수 혹은 하천유지용수로 재이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하수 처리 수의 장외 재이용 시스템은 재오염 방지를 위해 개수로 보다는 관로를 이용하여 구축하며, 경제성을 고려하여 수지상형으로 구축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러므로 수지상형의 처리수 재이용 시스템 건설시 공사비를 최소화하면서 필요한 물 수요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정건희, 김중훈, 김태웅 (2009). “혼합정수 계획법을 이용한 처리수 재이용 모형의 개발.” 2009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292-296. 

  2. Alperovits, E., and Shamir, U. (1977). “Design of optimal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3, No. 6, pp. 885-900. 

  3. Bhave, P., and Sonak, V. (1992). “A critical study of the linear programming gradient method for optimal design of water supply network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6, pp. 1577-1584. 

  4. Boulos, P., Lansey, K., and Karney, B. (2006). Comprehensive Water Distribution Systems Analysis Handbook for Engineers and Planners. MWHsoft. 

  5. Eusuff, M.M., and Lansey, K.E. (2003). “Optimizatio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design using the shuffled frog leaping algorithm.”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9, No. 3, pp. 210?225. 

  6. Gupta, I. (1969). “Linear programming analysis of a water supply system.” Transactions of Americ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ing, Vol. 1, No. 1, pp. 56-61. 

  7. Gupta, I., and Hassan, M.Z. (1972). “Linear programming analysis of a wat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supply points.” Transactions of Americ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ing, Vol. 4, No. 3, pp. 200-204. 

  8. Quindry, G.E., Brill, E.D., and Liebman, J.C. (1981). “Optimization of looped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07, No. 4, pp. 665-679. 

  9. Samani, H.M. and Mottaghi, A. (2006). “Optimizatio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integer linear programming.”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32, No.5, pp. 501-509. 

  10. Savic, D.A., and Walters, G.A. (1997). “Genetic algorithms for least-cost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3, No. 2, pp. 67-77. 

  11. Simpson, A., Dandy, G., and Murphy, L. (1994). “Genetic algorithms compared to other techniques for pipe optimization.”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0, No. 4, pp. 423-4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