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2 no.1, 2010년, pp.29 - 39
김흥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 김형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실) , 전현규 (GS건설(주) 기술연구소) , 염광수 (GS건설(주) 기술연구소)
In this study, experimenta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fiber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The fir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that couldn't be obtained through the test due to specific requirements and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실물 고온 화재 실험의 어려움은? | 화재관련 선진국들은 최근 30여 년간 성능기반 화재안전 내화 설계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 실험과 함께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왔으나, 국내에서의 연구 실적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실물 고온 화재 실험의 경우, 실험에 소요되는 고 비용으로 인해 실험의 반복적인 수행이 어려워4) 구조물의 다양한 단면 내에서의 온도 분포 특성 및 열응력 분포 등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구조물의 성능기반 내화설계법을 제시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 |
폭렬저감재의 혼입 유·무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폭렬 효과를 고찰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내화 성능을 예측한 결과는? | 1) 콘크리트 폭렬 저감을 위해 폭렬저감재(PP-0.5 kg/m3, 강섬유 0.5%/VOL)을 혼합할 경우 50, 60 MPa의 고강도 기둥의 폭렬을 평균 20~40 mm까지 제어할 수 있다. 2) 폭렬저감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 무 혼입 콘크리트에 비해 표준화재조건에서 약 25~55% 정도의 기둥 변형량이 제어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었다. 3) 폭렬저감재의 사용으로 인한 내화성능의 향상은 PP섬유의 녹는점이 낮은 특성으로 인해 고온가열시 열기류 및 수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미세균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며, 이와 동시에 강섬유의 적정한 혼입은 미세균열을 제어함과 동시에 폭발성 폭렬로 인한 파단응력을 상쇄하여 단면결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4) 비재하조건 온도에 따른 내화 성능을 추정하는 기준은 부재 내부의 온도가 한계기준(649oC)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이 기준에 의해 해석 모델에 따른 내화 성능을 분석한 결과 MODEL-V, VII, IX는 180분 기준의 경우 한계온도를 초과하였다. 5) 해석 결과 Model-V, VI과 Model-VII, VIII의 화재거동 경향은 표준화재노출시간 140분까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MODEL-VII의 기둥 변형량이 증가하여 최대 96.8 mm까지 기둥의 축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
고강도 콘크리트의 문제점은? |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술 개발로 인해, 대형 화재 발생 시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화재안전성능 확보 방안으로서 성능적 내화 설계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보통 콘크리트보다 낮은 투수성 및 고밀도 특성으로 인해 고온 노출 시,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 차에 의한 열응력과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폭렬이 발생함으로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한 초고층 건축물의 구조적 내화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성능적 내화 설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1-3)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 7974 Application of fire Safety Engineering Principles to the Design of Building-Code of Practice,"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2001, pp. 12-23.
Philip, J. Dinenno, P. E. et al.,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ociety Fire Protection Engineers (SFPE) & National Fire Protection Agency (NFPA), 1988, pp. 180-184.
Patrick, V. H. and Heimo, T., "Description of Swedish System of Fire Performance Based Regulation and Temperature Analysis of Structural Sections," Swedish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3, pp. 18-38.
Kirby, B. R., "Natural Fires in Large Scale Compartments-A British Steel Technical," Fire Research Station Collaborative Project, 1994, pp. 3-4.
Hertz, K. D.,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2003, pp. 103-116.
Harada, T., "Strength, Elasticity and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Subjected to Elevated Temperatures," ACI SP-34, Vol. 1, 1972, 393 pp.
CEN,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 Part 1.2: General Rules Structural Fire Design," CEN, 1995, pp. 15-2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ENV 1994 -1-2: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Part 1.2: General Rules: Structural Fire Design," Brussels, 1994, pp. 38-45.
Purkiss, J. A., "Fire Safety Engineering Design of Structures," Butterworth-Heinemann, 1966, pp. 89-92.
Morris, W. A.,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Fireresisting Structural Elements,"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 Report, 1998, pp. 24-45.
Anderberg, Y., "Spalling Phenomena of HPC and OC," NIST Workshop on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Gaithersburg, 1997, pp. 69-73.
Franssen, J. M., "Failure Temperature of a System Comprising a Restrained Column Submitted to Fire," Fire Safety Journal, Vol. 34, No. 2, 2000, pp. 191-207.
Jumpannen, U. M., "Effect of Strength on Fire Behaviour of Concrete," Nordic Concrete Research, 1989, pp. 34-45.
Kodur, V. K. R., "Design Equations for Evaluating the Fire Resistance of SFRC Filled Steel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24, No. 6, 1998, pp. 671-677.
Lie, T. T., "Fire Resistance of Circular Steel Columns Filled with Bar-reinforced Concrete,"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20, No. 5, 1994, pp. 1489-1509.
Phan, L. T., "High-strength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an Overview," Proceedings of 6th International Symposiumon Utilization of High Strength/High Performance Concrete, Leipzig, Germany, 2002, pp. 501-518.
Bailey, C. G., "Simulation of the Structural Behaviour of Steel-Framed Buildings in Fire," PhD Thesis, University of Sheffield, 1995, pp. 58-84.
Cai, J., "Developments in Modelling of Composite Building Structures in Fire," PhD thesis, University of Sheffield, 2002, pp. 56-68.
KAL, J., "Modelling of Asymmetric Cross-section Members for Fire Conditions," Department of Civil and Structural Studies, The university of Sheffield, 2001, pp. 391-396.
김흥열, 채한식, 전현규, 염광수,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시 변형성 및 모델시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권, 2호, 2007, pp. 877-880.
김흥열, 채한식, 전현규, 염광수,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시 압축강도특성 및 모델제시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권, 2호, 2007, pp. 605-608.
김흥열, 채한식, 전현규, 염광수,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온시 탄성계수특성 및 모델제시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권, 2호, 2007, 609-612.
김흥열, "고온가열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권, 118호, 2002, pp. 77-84.
김흥열, 전현규, "포렬저감재 혼입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권, 1호, 2007, pp. 513-516.
김흥열, 채한식, 김형준, 전현규, 염광수, "표준화재 표준화재 재하조건에서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별 전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권, 1호, 2008, pp. 397-400.
김흥열, 채한식, 김형준, 전현규, 염광수, "표준화재 재하조건에서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별 화재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권, 1호, 2008, pp. 377-38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