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various industrial machinery has come into being by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the productivity of the basic industrial machinery has improved. However, at the same time, noise from various industrial machinery disturbs the quiet environment. There are 35 kinds of the noise emi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able 2는 이 연구에서 조사한 소음배출시설들이며 산업체 현장에서 음향탐지기(B&K, Type-3599)로 2007.3~10에 음향세기를 측정하여 음향파워레벨을 산출하였다.
  • 한편, 같은 크기의 소음이라 해도 저주파 소음은 소음원으로부터 먼 지역까지 영향을 주고 고주파 소음은 작업자의 청력장해 및 작업집중 저하 등을 일으키는 등 소음발생 주파수 영역에 따라 환경 및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르고 이에 대한 소음방지 대책도 달라진다. 따라서 소음배출시설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파워레벨을 분석하여 저주(200 Hz 이하) 소음이 강한 기계류와 고주파(4,000 Hz 이상) 소음이 강한 기계류를 분류하였다. 이렇게 조사 및 분류된 소음배출시설의 음향파워레벨 정보는 첫째, 소음배출시설 분류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둘째, 공장지역에서의 소음방지대책 수립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셋째, 소음지도 구축시 공장지역에서의 소음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고주파(4,000 Hz 이상) 소음이 주 소음원인 경우 음향투과율이 낮아 장애물이 존재할 시 소음이 멀리 떨어진 주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으나 작업장에 있는 사람의 청력 손실이 가장 먼저 발생하는 주파수 구간(4,000 Hz근방)의 소음이므로 작업자의 작업환경 개선 시 고려해야 하는 소음이다. 따라서 소음배출시설의 주파수별 소음 특성을 분석하여 저주파 소음이 강한 시설과 고주파 소음이 강한 시설로 분류하였다.

대상 데이터

  • (1,2) 따라서 기존의 소음배출시설에 대한 분류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신규 소음배출시설의 소음배출시설 분류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압축기, 송풍기, 단조기 등 동력기준 시설 21종 137대, 공업용 제봉기, 시멘트 벽돌 및 블록 제조기계 등 대수기준 시설 11종 51대, 신규 시설 1종 11대 등 총 32종 199대 기계류의 음향파워레벨을 조사하였다

이론/모형

  • 각 시설의 음향세기는 스캐닝에 의한 방법(KS AISO 9614-2)(4)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소음 · 진동분석장비인 B&K社의 Pulse System을 이용하여 각 기계류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파워레벨 특성 및 전체음향파워레벨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조기의 경우는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가? 국내의 소음배출시설은 동력기준 시설과 대수기준 시설 및 기타 시설로 분류되어 있으며 동력수에 비해 소음이 큰 압축기, 송풍기, 단조기, 금속절단기, 프레스, 탈사기, 분쇄기, 기계체, 연탄제조용 윤전기는 10 마력 이상으로 분류되고, 앞의 시설보다는 소음의 크기는 작으나 비교적 동력수 대비 큰 소음을 배출하는 원심분리기, 제재기, 목재가공기계, 콘크리트관 및 파일의 제조기계, 펌프는 20마력 이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변속기, 제분기, 도정시설, 주조기계, 금속가공용 인발기, 초지기는 30마력 이상으로 분류되고, 동력수에 비해 비교적 소음이 작은 혼합기, 공작기계, 인쇄기계, 압연기, 성형기는 50마력 이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동력기준으로 분류하기 곤란한 시설들은 대수기준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단조기의 경우는 동력기준(10마력 이상)과 낙하해머 무게기준(0.5톤 이상) 두 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위의 동력기준 미만이더라도 전체 시설의 동력합계가 50마력 이상인 경우는 소음배출 시설로 신고를 해야 하며, 여기서 말하는 동력합계 50마력 이상이라 함은 동력기준이 10마력인 시설 등은 1, 20마력인 시설 등은 0.
조사 및 분류된 소음배출시설의 음향파워레벨 정보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따라서 소음배출시설의 주파수 대역별 음향파워레벨을 분석하여 저주(200 Hz 이하) 소음이 강한 기계류와 고주파(4,000 Hz 이상) 소음이 강한 기계류를 분류하였다. 이렇게 조사 및 분류된 소음배출시설의 음향파워레벨 정보는 첫째, 소음배출시설 분류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둘째, 공장지역에서의 소음방지대책 수립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셋째, 소음지도 구축시 공장지역에서의 소음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떤 점의 순간 입자속도 방향에 수직인 단위 단면적을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음향에너지를 나타내는 음향세기 성분의 총합은? 음향세기는 어떤 점의 순간 입자속도 방향에 수직인 단위 단면적을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음향에너지(W/m2)를 나타낸다. 따라서 측정 단면적을 지나는 음향세기 성분의 총합은 부분 음향파워레벨이 되며, 부분 음향파워레벨의 총합은 측정 대상으로 하는소음원의 전체 음향파워레벨이 된다. 즉,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향파워는 음원을 둘러싼 폐곡면에서의 음향세기 벡터와 면요소 벡터의 스칼라적을 폐곡면 전체에 걸쳐서 적분한 것과 같다. 음향세기에 의한 소음원의 음향파워레벨 측정방법은 시험 환경의 배경소음에 의한 영향이 작고, 실제로 음원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자유음장(free field)조건이 충족되기 어려운 산업현장에서도 정확한 음향파워레벨 측정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ang, D. J., et al., 1990, "Sound Power Level of New and used Machinery(I),"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Vol. 12, Seoul, Korea. 

  2. Kang, D. J., et al., 1991, "Sound Power Level of New and used Machinery(II),"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Vol. 13, Seoul, Korea. 

  3.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08,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4. KS A ISO 9614-2, 2004, Acoustics - Determination of Sound Power Levels of Noise Sources using Sound Intensity - Part 2 : Measurement by Scanning. 

  5. Kang, D. J., et al., 2007, "Survey on Sound Power Level of the Noise Emission Machinery,"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Vol. 29, Seoul, Korea. 

  6. Lyon, R. H., Cann, R. G. and Bowen, D. L., 1991, "Measurement and Analysis of Machinery Noise," Ch.38 of Handbook of Acoustical Measurements and Noise Control(3rd ed.), C. M. Harris, ed., McGrow Hill, New York, U.S.A. 

  7. Diehl, G. M., 1973, Machinery Acoustics, John Wiley & Sons, Inc. 

  8. Faulkner, L. L., 1976, Handbook of Industrial Noise Control, Industrial Press Inc. 

  9. Irwin, J. D., 1979, Industrial Noise and Vibration Control, Prentice-Hall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