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4주간 운동이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4 weeks of Training program on Aerobic Capacity,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uscular strength in High School Sprint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1, 2010년, pp.4360 - 4366  

문태영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인동 (서울체육고등학교) ,  한건수 (아칸소 주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심폐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그리고 각 부위별 근력이 24주간 운동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D 고등학교에 재학중이며 운동경력이 최소 4년이상된 남자 단거리 선수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운동 전 후 연구대상자들의 심폐능력, 신체조성, 근력 그리고 기초체력을 측정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 그리고 체수분량 모두 훈련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 $VO_2$max와 aerobic threshold는 운동전보다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p<0.05). 근력 및 기초체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 변화을 보였다 (p<0.05.) 본 연구결과 24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은 남자 고등학교 단거리 선수들의 총체적 체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단거리 훈련 프로그램 작성 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훈련을 계획하고 실천하기 보다는 경기력 향상 및 부상 예방을 위하여 훈련 전 종합적인 신체검사 및 체력 검사를 전문가와 같이 실시 및 평가하여 이를 토대로 개인의 체력에 맞게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 실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ssible for all athletes to be satisfied with a single training program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differen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However, paucity studies have been introduced a specific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printer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격적인 시즌 전 훈련 프로그램에 앞서 신체적 운동처방 검사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개인별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육상 단거리 선수들의 심폐 능력, 기초체력, 신체조성, 각 부위별 근력이 24주간 훈련을 통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운동처방에 따른 트레이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력이란 무엇인가? 운동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요인은 종목의 특수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체력과 기술이 뛰어나야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 수 있다. 체력은 환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강건함을 의미하므로[1-2], 운동 선수의 경기력뿐만 아니라 발전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모든 운동 경기는 달리고 , 뛰고, 그리고 던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육상경기를 이루는 핵심이다[3].
단거리 달리기에서 중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따라서 육상경기는 모든 운동의 기본이며 좋은 기록을 위해서 다른 어떤 종목보다도 체력의 중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경기이다. 그 중에서도 단거리 달리기는 짧은 시간내에 승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민첩한 운동신경과 폭발적인 순발력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4].
성공적인 단거리 달리기를 위해 필요한 것은? 따라서 성공적인 단거리 선수의 조건으로 타고난 신체적 특성과 폭발적인 근력과 파워뿐만 아니라 적절한 에너지 이용 그리고 효율적인 달리기 기술이 필요하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극로, "중학교 운동선수의 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과학회 논문지, 제7권, 제2호, 207-220, 1998. 

  2. 장경택, "트레이닝 방법론", 서울 : 대한미디어. 2002. 

  3. Zamper, E. D. "Track and field injuries", Medicine and Sport Science, Vol. 48, pp. 138-151, 2005. 

  4. 김기영, "육상경기총론", 서울 : 보경문화사, 1991. 

  5. 체육과학연구원, "국가대표 선수들의 종목별 체격 및 체력 기준", 1998. 

  6. 김만호, 최민동, "남?여고등학교 육상경기선수의 체격과 체력의 특성이 경기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논문지, 제5권, pp. 10-25, 1997. 

  7. J. Bangsbo, et al., "Dissociation between lactate and proton exchange in muscle during intense exercise in man", Journal of Physiology, Vol. 504, pp. 489-499, 1997. 

  8. 박준기, 김성수 역. "실전육상경기", 한국육상진흥회, 1994. 

  9. 은선덕, "100m 달리기시 최고속도 구간과 감속 구간의 동작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6. 

  10. 장영섭, "육상 단거리 차렷동작의 고관절 높이와 출발동작의 운동학적 요인과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1. A. Nummela, et al., "Important determinants of anaerobic running performance in male athletes and non-athletes",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7, pp. S91-96, 1996. 

  12. N. A. S. Taylor, et al., "Exercise-induced skeletal muscle growth: Hypertrophy or hyperplasia?", Sports Medicine, Vol. 3, pp. 190-200, 1986. 

  13. R. Enoka, "Neuromechanics of human movement (3r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pp. 413, 2002. 

  14. Y. Tamura, et al., "Short-term effects of dietary fat on intramycellular lipid in sprinters and endurance runners", 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Vol. 57, pp. 373-379, 2008. 

  15. A. H. Kissebah,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 of obesit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 54, pp. 254-260, 1982. 

  16. H. L. Olesen, "Maximal oxygen deficit of sprint and middle distance runner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69, pp. 140-146, 1995. 

  17. F. Landry, et al., "Cardiac dimension changes with endurance training: indication of a genotype dependenc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54, pp. 77-80, 1985. 

  18. J. D. MacDongall, "The anaerobic threshold: its significant for the endurance athletic",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Vol. 2, pp. 137-140, 1977. 

  19. K. Berg, et al., "Oxygen cost of sprinting training',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Vol. 50, pp. 25-31, 2010. 

  20. F. Bosch, et a., "Runnings: Biomechanics and exercise physiology in practice", Netherlands: Churchill Livingstone, pp. 29-33, 2005. 

  21. 백형훈, 성봉주. "육상 단거리 선수의 주기화 트레이닝이 근파워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과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pp. 513-524, 2004. 

  22. A. Cristea, et al., "Effects of combined strength and sprinting training on regulation of muscle contraction at the whole-muscle and single-fibre levels in elite master sprinters", Acta Physiologica, Vol. 193, pp. 275-289, 2008. 

  23. Y. Meckel, et 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100 meter sprinters different performance level",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Vol. 35, pp. 169-175, 1995. 

  24. D. M. Bazett-Jones, et al., "Sprint and vertical jump performances are not affected by six weeks of static hamstring stretch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 22, No. 1, pp. 25-31, 2008. 

  25. J. B. Winchester, et al., "Static stretching impairs sprint performance in college track and field athlet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제22권, 제1호, pp. 13-18, 2008. 

  26. I. M. Fletcher, et al., "The acute effects of combined static and dynamic stretch protocols on fifty-meter sprint performance in track and field athlet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 21, No. 3, pp. 784-78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