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인형영화의 캐릭터 디자인 : 1985년경 특징적 변화를 중심으로
Character Design of North Korean Puppet Animation : focused on Change of Distinct Feature Around 1985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1, 2010년, pp.113 - 124  

문재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홍주옥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초록

북한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빈약하며, 특히 기법이나 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형영화의 캐릭터 디자인에 주목하되 북한 인형영화가 양적인 면과 조형의 질적인 면이 눈에 띄게 향상된 1985년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한과는 달리 북한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 초창기부터 인형 영화에 대해 국가적으로 꾸준한 지원이 있었고, 인형영화의 전통이 강한 유럽의 사회주의 국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했기 때문에 북한의 인형 영화는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1985년부터는 매 해 꾸준히 제작되었다. 1985년에 제작된 캐릭터 디자인에는 구조적인 특징과 표현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데, 구조적으로는 철제골격을 사용하여 실험적인 형태와 정확한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했고, 표현적으로는 조선화기법을 캐릭터 디자인에 적용하여 북한 인형영화 캐릭터 디자인에 간결함과 명확함, 섬세함이라는 나름의 미학을 정립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haracter design of North Korea's puppet animation around 1985. At that time North Korea's puppet animation are improved glaringly in quantitative side and qualitative side of modeling. There has been constant support nationalistically to puppet animation from the init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5년 제작된 인형영화의 구조적[26]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1985년에 제작된 과 두 작품을 살펴보자.
  • 그런데 너구리 캐릭터를 비교한 1974년과 1986년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다면, 이번에는 1983년의 의 토끼 캐릭터와 이후 작품에 등장하는 토끼 캐릭터를 비교해 보기로 하자.
  •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85년 이후 북한 애니메이션 중 인형영화의 캐릭터 디자인에 주목해 보려고 한다. 특별히 1985년경을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것은 이해를 중심으로 북한의 인형영화가 양적인 증가와 조형적인 면에 있어서 질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논문은 우선 북한에서 인형영화가 초창기부터 꾸준히 제작되어 1985년에 양적 질적 수준이 높아질 수 있었던 배경을 남한과 비교하여 고찰해보고,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캐릭터 디자인의 특징을 논하고자 한다. 특히 3장에서는 1985년도에 제작된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디자인의 제작 기술적 특징을 이전과 이후 시기의 작품들과 비교하여 논의해 보고, 4장에서는 이들 캐릭터 디자인의 표현적인 특징이 지닌 의미를 다른 시기의 작품들과 비교함으로써 현대 북한 인형영화의 캐릭터 디자인 미학을 이해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 애니메이션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중파를 타고 방영된 것은 언제인가? 북한 애니메이션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중파를 타고 방영된 것은 1999년 1월 5일 iTV(인천방송)의 신년 특집 방송을 통해서였다. 물론 그 전에도 북한 애니메이션이 소개되기도 했었으나 작품 전체를 보여준 것은 인천방송이 처음이었다.
북한에서 인형영화가 애니메이션 초창기부터 2000년대 이후까지 꾸준히 제작될 수 있었던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북한에서 인형영화가 애니메이션 초창기부터 2000년대 이후까지 꾸준히 제작될 수 있었던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국가적인 지원 때문이다. 1960년에 제작된 <신기한 복숭아>는 북한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이자 북한 최초의 인형영화인데, 1950년대 한국전쟁 후 재건 사업에 힘을 쏟고 있을 때, 김일성은 아무리 돈이 들어도 아이들을 위한 영화는 꼭 만들어야 한다고 하며 많은 자금을 내어 만화영화와 인형영화를 만들기 위한 자재와 설비들을 일일이 마련하고 창작집단을 모아 첫 아동영화인 <신기한 복숭아>와 <흥겨운 들판>들이 나오게 해 주었다고 한다[12].
국립중앙도서관의 검색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북한 애니메이션 자료는 어느 정도 있는가? 하지만 그 연구의 양은 빈약하다. 2010년 10월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검색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로는 논문의 경우는 학위 논문과 연구 논문을 포함하여 7편[3]이고, 단행본 및 연구서는 겨우 3권[4] 뿐이다. 이외 북한 애니메이션에 관한 잡지 기사나 국내 전시 혹은 상영에 관한 언론 기사들[5]이 있을 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이정, 이상구, 1999-2004 남북 애니메이션 교류백서, 영화진흥위원회, pp.13-14, 2004. 

  2. 서정남, "애니메이션을 통해 본 북한 아동문화의 이해", 統一論叢-淑明女子大學校統一問題硏究所. 淑明女子大學校 出版部. 18호, 2000 

  3. 김현주, "북한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 남북한 문화산업 교류협력을 중심으로", 마산, 경남대학교, 2004 

  4. 박윤성, "북한 애니메이션 영상문화의 동향분석", 한국디지털 컨텐츠학회, 5권 4호 2004년 12월 

  5. 정찬우, 남.북한 아동용 애니메이션 비교 연구, 대전, 충남대학교, 2005 

  6. 서정남, "북한 아동영화에서 전래동화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32호, 영화연구, 2007 

  7. 채수정, "북한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서울, 연세대학교, 2008 

  8. 류민우, 북한애니메이션 에 나타난 국가주의 연", 서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9. 

  9. 이정, 이상구, 1999-2004 남북 애니메이션 교류백서, 영화진흥위원회, pp.13-14, 2004. 

  10. 이대연, 김경임, 북한 애니메이션, 살림, 2005 

  11. 문화관광부 편, 북한 애니메이션산업 : 현황조사연구 보고서, 서울, 문화관광부, 2005. 

  12. 전영선, “북한 아동영화의 대가 김광성, 손종권”, 북한, 북한연구소, 1999년 6월호 

  13. 홍지연, “북한 애니메이션 아하 그렇구나: 애니메이션 박물관 북한 애니메이션 특별전”, 오마이뉴스, 2007. 04. 29. 

  14. 조선대백과사전 26권, p.285 

  15. 조선중앙년감 1961, p.226. 

  16. 조선영화년감 1993, p.73 

  17. 조선중앙년감 1965, p.176. 

  18. 조선중앙년감 1976, p.351. 

  19. 조선중앙년감 1961-1985, 1988, 1994-1997 

  20. 조선영화년감 1986-1987, 1989-1993 

  21. 조선문학예술년감 1998-2007 

  22. 북한 애니메이션산업 : 현황조사연구 보고서 

  23. 조선영화년감 1993, p.73. 

  24. 조선영화년감 1993, p.75. 

  25. 허인욱, 한국애니메이션영화사, 신한미디어, pp.43-45, 2002, 

  26. 허인욱, 한국애니메이션영화사, 신한미디어, pp.65-66, 2002, 

  27. 조선영화년감 1986, pp.573-574. 

  28. 조선영화년감 1986, pp.575. 

  29. 조선영화년감 1986, pp.42. 

  30. 조선영화년감 1987 

  31. 국민일보 쿠키뉴스, '첫 개인전 탈북화가 조용씨 “15년 방랑... 나를 찾아가는 여정”', 2009.08.11. http://news2.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1383101&cpnv. 

  32. Leona Beatrice & Francois Martin, Ladislas Starewitch, JICA DIFFUSION, 1991. 

  33. Olivier Cotte, ... Il etait une fois le dessin anime, Dreamland, pp.231-238, 2001, 

  34. Olivier Cotte, ... Il etait une fois le dessin anime, Dreamland, pp.239, 2001 

  35. Olivier Cotte, ... Il etait une fois le dessin anime, Dreamland, pp.241, 2001 

  36. http://www.imdb.com/name/nm2792786/ 

  37. Olivier Cotte, Il etait une fois le dessin anime, Dreamland, p.230, 2001. 

  38. 조선영화년감 1986, p.42. 

  39.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20, 32, 2009. 

  40.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32, 2009. 

  41. Stop Motion,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RWY4ISEERTAJ:www.videos4download.com/Stop_motion.html+1985+ball+and+socket+armature&cd6&hlko&ctclnk&glkr 

  42.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20, 2009. 

  43.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32, 2009. 

  44.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33, 2009. 

  45. 김탁훈,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위한 캐릭터 제작, 한울, pp.32-33, 2009. 

  46. 조선영화년감 1986, pp.41-42. 

  47. 조선대백과사전 19권, p.94. 

  48.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6171 

  49. 조선대백과사전 19권, p.95. 

  50. 조선대백과사전 19권, p.94. 

  51. 단원미술제, http://www.danwon.org/new/flash/Gallery07/body_02_07;htm;http://www.danwon.org/new/flash/Gallery15/body_02_15.htm 

  52. 조선영화년감 1986, p.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