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액의 수분 및 나트륨 균형
Water and Sodium Balance of Body Fluid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4 no.2, 2010년, pp.111 - 119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나트륨은 세포외액의 유효삼투압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용질이며, 수분 밸런스의 이상은 혈중 삼투압의 변화와 혈중 나트륨농도의 이상(hyponatremia, hypernatremia)으로 발현된다. 2. 수분의 출입의 조절에 의하여 체액의 농도변화에 대처하는 과정을 수분 밸런스(water balance) 혹은 수분 대사(water metabolism)라 하며, 세포외 액량 특히 유효혈장량의 변화에 대처하여 체내 총 나트륨량의 출입을 조절하는 과정을 나트륨 밸런스($Na^+$ balance) 혹은 나트륨 대사($Na^+$ metabolism)라 하고 그 차이점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3. 수분 밸런스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요소는 갈증반응에 의한 수분섭취와 항이뇨호르몬(AVP)에 의한 소변으로의 수분 배출이며, AVP의 분비의 강력한 자극은 삼투압의 변화와 유효혈장량의 변화이다. 4. 나트륨 밸런스는 나트륨 섭취욕구에 의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며, 주로 신장에 의한 염분배출조절에 의하며 이루어지고, 사구체 여과율알도스테론 분비가 신장의 나트륨 배설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tenance of the osmolality of body fluids within a very narrow physiologic range is possible by water balance mechanisms that control the intake and excretion of water. Main factors of this process are the thirst and antidiuretic hormon arginine vasopressin (AVP), secretion regulated by osm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분과 나트륨의 균형이 유지되지 못할 경우 체내용질 대비 수분의 과다는 항이뇨호르몬부적절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ADH)과 같은 삼투압의 저하 및 저나트륨혈증 동반하는 질환, 체내 용질 대비 수분의 부족은 요붕증(diabetes insipidus, DI)과 같은 삼투압의 상승과 고나트륨혈증 동반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4]. 그러나 이러한 질환들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나트륨의 농도변화와 유효혈장량의 변화가 신장에 의한 나트륨 밸런스, 수분출입을 조절하는 수분 밸런스와 어떻게 연관되어 조절되는지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체내 수분의 분포와 이동, 체액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체내 수분 및 나트륨조절 기전의 의미와 그 차이점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수분 및 나트륨 조절 이상으로 동반되는 여러 질환들의 병태생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몸 전체의 총체내수분량의 비율은? 몸 전체의 총체내수분량(total body water, TBW)은 체중의 55-65%를 차지하며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만삭인 신생아의 태아의 경우 출생당시 체중의 75%가 수분으로 구성되며, 미숙아는 만삭아보다 높은 수분비율을 보인다.
삼투현상은? 삼투현상(osmosis)은 반투막(용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수분만 통과) 양쪽에 존재하는 수분이 반투막 양쪽의 삼투압이 같아질 때 까지, 용질의 농도가 낮은 곳(삼투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하며, 삼투압(osmolality)은 일정량의 수분에 존재하는 모든 용질의 농도로 결정되므로, 혈장에서의 삼투압은 아래 공식에 의하여 결정된다[6].
수분의 체액의 섭취와 배설의 균형을 설명하면? 수분 밸런스는 수분의 체액의 섭취와 배설의 균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수분의 섭취는 체액의 변화에 따른 갈증에 의하여 시작되며, 수분의 배설은 땀, 호흡, 체내대사 등에 의하여 소모되는 불감수분소실(insensible water loss)과 신장에서 일어나는 소변으로의 수분배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수분대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가지 요소는 갈증반응에 의한 수분섭취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신장의 수분배설을 조절하는 항이뇨호르몬(arginine vasopressin, AVP)에 의한 소변으로의 수분배출이다[4]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l T, Schrier RW. Disorders of water metabolism. In : Schrier RW, editor. Renal and Electrolyte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7;54. 

  2. Vokes T. Water homeostasis. Ann Rev Nutr 1987;7:383-406. 

  3. Fanestil DD. Compartmentation of body water. In : Narins RG, editor. Clinical Disorders of Fluid and Electrolyte Metabolism. New York: McGraw-Hill, 1994;3-20. 

  4. Verbalis JG. Disorders of body water homeostasi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03;17:471-503. 

  5. Ruth JL, Wassner SJ. Body composition salt and water. Pediatr Rev 2006;27:181-7. 

  6. Verbalis JG. Body water and osmolality. In: Jamison RL, Wilkinson R, editors. Nephrology. London: Chapman & Hall Medical, 1997;89-94. 

  7. Simpson FO. Sodium intake, body sodium, and sodium excretion. Lancet 1990;2:25-9. 

  8. Fitzsimons JT. Physiology and pathophysio logy of thirst and - sodium appetite. In : Seldin DW, Giebisch G, editors. The kidne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New York: Raven Press, 1992;1615-48. 

  9. Stricker EM, Verbalis JG. Water intake and body fluids. In : Zigmond MJ, et al. editors. Fundamental Neuroscience. San Diego: Academic Press, 1999;1111-26. 

  10. Robertson GL. Thirst and vasopressin function in normal and disordered states of water balance. J Lab Clin Med 1983;101:351-71. 

  11. Thompson CJ, Bland J, Burd J, Baylis PH. The osmotic thresholds for thirst and vasopressin release are similar in healthy man. Clin Sci (Lond) 1986;71:651-6. 

  12. Nielsen S, Kwon TH, Christensen B. Frokiaer J, Marples D.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renal aquaporins. J Am Soc Nephrol 1990;10:647-63. 

  13. Knepper MA. Molecular physiology of urinary concentrating mechanism: regulation of aquaporin water channels by vasopressin. Am J Physiol 1997;272:F3-F12. 

  14. Phillips PA, Rolls BJ, Ledingham JG. Angiotensin II-induced thirst and vasopressin release in man. Clin Sci(Lond) 1985,68: 669-74. 

  15. Robertson GL. Posterior pituitary. In: Felig P, et al. editor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New York: McGraw-Hill, 1995;385- 432. 

  16. Rowe JW, Shelton RL, Helderman JH. Influence of the emetic reflex on vasopressin release in man. Kid International 1979;16: 729-35. 

  17. Robertson GL. The regulation of vasopressin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Recent Prog Horm Res 1976;33:333-85. 

  18. Dunn FL, Brennan TJ, Nelson AE, Robertson GL. The role of blood osmolality and volume in regulating vasopressin secretion in the rat. J Clin Invest 1973;52:3212-9. 

  19. Verbalis JG. Body sodium and extracellular fluid volume. In: Jamison R, Wilkinson R, editors. Nephrology. London: Chapman & Hall Medical, 1997;95-101. 

  20. Wilkins L, Richter CP. A great craving for salt by a child with cortico-adrenal insufficiency. JAMA 1940;114:866-8. 

  21. Orth DN, Kovacs WJ. The adrenal cortex. In: Wilson JD, et al. editors.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1998;517-664. 

  22. Baylis C, Lemley KV. Glomerular filtration. In: Jamison RL, Wilkinson R, editors. Nephrology. London: Chapman & Hall, 1997;25-33. 

  23. Kirchner KA, Stein JH. Sodium metabolism. In: Narins RG. editor. Clinical Disorders of Fluid and Electrolyte Metabolsim. New York: McGraw-Hill, 1994;45-80. 

  24. Reeves WB, Andreoli TE. Tubular sodium transport. In: Schrier RW, editor. Diseases of the Kidney and Urinary Trac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1; 135-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