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웅석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ongseokbong in the Jirisan(Mt.)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5, 2010년, pp.547 - 555  

안현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에 인접한 웅석봉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밤머리재-웅석봉구간에 방형구($400m^2$) 25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떡갈나무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다음으로 떡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작아지는 반면에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져 전형적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혼효림으로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나무와 산초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쪽동백나무와 철쭉, 쇠물푸레와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과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와 히어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떡갈나무와 신갈나무, 비목나무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낙엽송, 굴참나무, 노린재나무와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09832~1.1102 범위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ammeorijae to Woongseokbong, 25 plots($400m^2$) sele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Q. dentata community and Q. mongolica - Q. dentata community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식물상을 조사한지 오래 세월이 흘러 산림이 더욱 울창해지고 다양한 식생을 갖는 형태로 발달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웅석봉의 식물생육현황과 식생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단기적으로 공원편입에 대한 지초자료와 장기적으로는 이 지역의 생태 모니터링 및 식생관리대책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웅석봉의 위치는? 웅석봉은 지리산의 동남부지역에 위치하고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내리와 삼장면 홍계리 그리고 단성면 청계리 등의 경계에 놓여 있는 지리산 줄기이다. 해발고는 1,099m이고 1983년에 산청군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Sancheonggun, 1996).
종다양성은 무엇인가? )를 계산하였다. 종 구성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측도인 종다양성은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 H'), 균재도(Evenness, J'), 우점도(Dominance, D')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Shannon의 수식(Pielou, 1975)을 적용하였다.
웅석봉 지역의 식생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극양수인 소나무가 참나무류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와의 상호 경쟁에서 밀려 소나무림이 쇠퇴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이 지역의 식생은 외부의 간섭이 없으면 당분간 아극상 상태의 참나무림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으로 유지될 것으로 사료된다. 웅석봉 지역의 식생 구조는 다른 국립공원 등에서 보고한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사-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 Society of Korea National Park(1985) Park resources and status of Woongseokbong -Vegetation and beautiful landscape of Jiri range-. National park 29: 24-32. 

  2. Brower, J.E. and J.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mpany Publ. Iowa. pp. 1-184. 

  3. Choo, G.C. and G.T. Kim(2005)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Bubong to Poamsan in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9(2): 83-89. 

  4. Choo, G.C., G.T. Kim and H.S. Cho(2006)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0(2): 114-121. 

  5. Choo, G.C., H.C. An, H.S. Cho, I.K. Kim, E.H. Park and S.B. Park(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3(1): 22-29. 

  6.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 in southeast Texas forest. For. Sci. 24(2): 153-166. 

  7. Hatsusima(1934) Research of Jirisan(Mt.) vascular Plant. Bulletin of the Kyushu University Forests, Japan 5: 1-263. 

  8. Kim, B.G. and T.W. Um(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Ridge Area of Naesosa in the Byunsan Peninsula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3(2): 135-142. 

  9. Kim, G.T. and G.C. Choo(2003)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ac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6(4): 441-448. 

  10. Kim, G.T. and G.C. Choo(2005) 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9(2): 75-82. 

  11. Kim, G.T.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397-406. 

  12. Kim, G.T., G.C. Choo and G.J. Baek(200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 Abies koreana Forest -. Kor. J. Env. Eco. 13(4): 299-308. 

  13. Kim, G.T., G.C. Choo and J.O. Kim(2006)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0(2): 122-129. 

  14. Kim, G.T., G.C. Choo and T.W. Um(1996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1): 151-159. 

  15. Kim, G.T., G.C. Choo and T.W. Um(1996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ngdaesan, Turobong, 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9(2): 147-155. 

  16. Kim, G.T., G.C. Choo and T.W. Um(199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Soch ongb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2): 240-250. 

  17. Kim, G.T., J.S. Kim and G.C. Choo(1992)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osolbong Area in Sobaeksan. Kor. J. Env. Eco. 6(2): 127-133. 

  18. Lee, E.B. and K.Y. Chung(1993) A Floristic Study of the Northern Part of Mt. Chiri The Report of the KACN, No. 31: 37-79. 

  19. Lee, K.J., C.H. Ryu and S.H. Choi(1991b)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Abies nephrolepis Forest on Subalpine Zone in Mt. Chiri, Korea. Kor. J. App. Eco. 5(1): 32-41. 

  20. Lee, K.J., G.H. Goo, J.S. Choi and H.S. Cho(1991a)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Daewon Vally in Mt. Chiri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 J. App. Eco. 5(1): 54-67. 

  21. Lee, K.J., J.Y. Kim and D.W. Kim(1998)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aekdam - Valley in Sol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50-461. 

  22.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77pp. 

  23. Oh, K.K. and S.G. Park(2002)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5(4): 330-343. 

  24. Park, I.H., K.J. Lee and J.C. Jo(1988)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1): 1-8. 

  25.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168pp. 

  26. Um, T.W. and G.T. Kim(2008)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ongchu to Do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2): 106-112. 

  27. Whittaker, R.H.(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