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 도시숲의 입지에 따른 식생 및 토양특성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as Geological Location in Daejeo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5, 2010년, pp.566 - 574  

이호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김은식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손요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박관수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시숲을 대상으로 산림식생과 토양특성을 분석하여 도시숲의 현황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도시숲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대전시의 대표적인 도시숲 3곳을 조사하여 도시숲의 입지에 따라 식생 및 토양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남선공원, 도시 내부에 위치하지만 비교적 보전이 양호한 월평공원, 도시 외곽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교란을 덜 받은 보문산 순으로 종다양도 및 최대종다양도가 증가하는 등 생태적 건강성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간섭의 강도가 큰 남선공원의 경우 토양 유기물층의 두께가 0.5cm로 매우 낮고, 답압에 의한 토양의 경도 또한 $0.5{\sim}3.7kg/cm^2$로 다른 두 곳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인간의 간섭이 도시숲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분석 결과에서 는 월평공원의 아까시나무림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5.0 이하의 $pH_{1:5}$ 값을 보였고, 세 곳 모두에서 낮은 치환성양이온 값을 보여 토양의 산성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치환성양이온의 용탈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유기물 및 유효인산의 함량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치보다 낮은 값을 보여 식생에 대한 영양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전시 도시숲은 산림 식생과 토양이 회복될 수 있는 방향의 적절한 도시숲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urban forest and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a proper manag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three representative urban forests of Deajeo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환경을 고려한 종합적인 도시숲 조사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전시에 위치한 3곳의 도시숲을 대상으로 도시숲 산림식생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도시숲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녹지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시녹지는 생물자원 보존의 측면에서 유전자 자원 보존 기능, 야생생물 보존기능, 생태계 유지기능, 토지 보전기능, 대기 보존기능, 물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어메니티(Amenity) 유지 측면에서 거주환경의 보전 및 보건 휴양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Oh, 1992, recited). 도시녹지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도시숲이다. 도시숲은 도시의 녹지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시민의 여가활동과 도시환경조절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용이한 접근성으로 도시민들에게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도시녹지가 생물자원 보존의 측면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도시녹지는 생물자원 보존의 측면에서 유전자 자원 보존 기능, 야생생물 보존기능, 생태계 유지기능, 토지 보전기능, 대기 보존기능, 물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어메니티(Amenity) 유지 측면에서 거주환경의 보전 및 보건 휴양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Oh, 1992, recited). 도시녹지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도시숲이다.
도시숲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도시숲의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시민들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도시숲 내부로의 진입이 잦아지고 있어 도시숲에 대한 훼손이 심해지고 있다. 또한 도시 내부에 있거나 도시와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배기 가스, 공장 매연 등 도시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산성비로 인하여 토양의 산성화와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상황이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시 중심에 위치하는 남산의 경우 도심 외곽의 산림 토양과 비교했을때 낮은 pH 값을 보였으며, 토양완충능력 또한 도심구역이외곽 구역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Kim and Hwang,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2.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Forest Soil Characteristic and Properties by Regional Groups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1(6): 694-700. 

  3. Kim, D.Y. and I.C. Hwang(1998) Soil Acidification and Soil Buffer Capacity Change in Urban Forests of Seoul Area. Jour. Korean For. Soc. 87(2): 188-193. 

  4. Lee, C.B.(2003) Korean Pictorial Book of Flora. Hyangmunsa. 

  5. Lee, I.S., O.K. Kim, K.S. Cho and J.S. Park(1998) Studies on the Enzyme Activities and Heavy Metals of Forest Soil in Mt. Nam, Seoul. Korean Journal of Ecology 21(5-3): 695-702. 

  6. Lee, Y.H., K.W. Kim, W.H. Byun(2009) Visitors' Characteristics of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Urban Forest. Korean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Association 13(1): 53-61. 

  7. Oh, C.H.(1992) Studies on Ecological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Green Openspace. master thesis of Univ. of Seoul, Seoul, Korea, pp. 1-2. 

  8. Park, H.K. and C.W. Yun(2009) A Study on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in Urban Forest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n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Association 13(4): 33-41. 

  9.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John Wiley, 165pp. 

  10. Shannon, C.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11. Yim, K.B., I.H. Park and K.J. Lee(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 Korean For. Soc. 50: 56-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