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 해남군 모이산 금광상에서 지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모이산 지표 및 갱내, 대산 지표에서 채취한 총 140개 시료에 대한 지구화학분석결과를 상관분석, 요인분석 그리고 군집분석 등 다변수 통계처리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금의 함량이 100 ppb 미만인 비광화대와 100 ppb 이상인 광화대에서 동시에 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원소는 Ag, Cu, Bi, Te 등이며, 이는 연구지역에서 수반되는 함금 은 광석광물들(엘렉트럼, 실바나이트, 칼라버라이트 및 스퉤자이트)과 기타광석광물들(황동석, 텔룰로비스무타이트 및 비스무시나이트)의 산출과 일치된 결과로 인지된다. Mo은 비광화대(0.269)에서 보다 광화대(0.615)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므로 금광화작용에 의해 그 함량이 강하게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Mn, Cs, Fe, Se 등은 비광화대에서는 금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광화대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금광화작용 시 모암으로부터 용탈되는 원소군으로 해석된다. Sb은 광화대에서 금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지만 비광화대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금광화작용 시 부화되는 원소로 지시될 수 있다. 요인분석결과, 비광화대에서 금의 함량에 영향을 받는 요인군에 속하는 원소는 Se, Ag, Cs, Te 등이며 이들은 연구지역 내 비광화대에서 금의 존재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원소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광화대에서는 Mo과 Te 등이 강하게 금광화작용의 여부를 지시해 주며, 금과 함께 수반되는 은광화작용의 여부를 지시해 줄 수 있는 원소는 Sb과 Cu 등으로 해석된다. 군집분석 결과 비광화대에서 Cd-Zn-Pb-S, Bi-Fe-Cu-Mn, Se-Te-Au-Cs-Ag, As-Sb-Ba 등이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원소군으로 나타나는 반면, 광화대에서는 Cd-Zn-Mn-Pb, Fe-S-Se, As-Bi-Cs, Ag-Sb-Cu, Au-Te-Mo 등이 유사한 거동을 보여주는 원소군으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지구화학분석 자료의 다변수 통계처리를 이용하여 금광화대와 비광화대의 산출광물의 거동 및 지구화학적 특성 차이의 비교가 가능하므로 추후 이러한 방법이 이와 유사한 유형의 광상탐사에 유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isan epithermal gold-silver deposit with total 140 samples in Haenam area, Jeollanamdo were studied by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that Ag, Cu, Bi, Te are h...

주제어

참고문헌 (13)

  1. Eun, J.S. (1993) Geochemical stud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the Haenam area, Korea, M.Sc. Thesis, Seoul Nat'l Univ. 

  2. Kim, I.J. (1991)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alteration and clay deposits in the Haenam area, southwest Korea, Ph. D. Thesis, Univ. Tokyo, 169-219. 

  3. Kim, J.H., Koh, S.M., Lee, D.J., Park, J.K., Hong, S.S., Chae, S.C., Lee, H.J., An, G.H. and Seo, H.J. (1993) Studies of volcanogenic epithermal mineralization and modeling (III), KR-92 (T), MOST, 25-49 (in Korean). 

  4. Kinosaki, Y. (1929) Joseon geological map, Haenam and Usuyong 1:50,000 sheet, Geological survey of Jeonnam. 

  5. Koh, S.M. (199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and Bukok hydrothermal deposit in the Haenam volcanic field, Chollanamdo, Korea, M.Sc. Thesis, Seoul Nat'l Univ. 

  6. Koh, S.M. and Chang, H.W. (1997) Ge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kok hydrothermal caly deposits in the Haenam area Korea. Resource Geology, 47, 29-40. 

  7. Koh, S.M. and the others (2009) Technical development on the life cycle of the Haenam epithermal gold mineralized area and hydrothermal clay resources, KIGAM Research Report, GP2009-003-2009(1), 182p. (in Korean). 

  8. Lee, D.S. and Lee, H.Y. (1976)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y on the rock sequences containing oily materials in southwestern coast area of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9, 45-74 (in Korean). 

  9. Lee, S.Y., Yang, K.H., Jeon, B.G., Bak, G., Koh, S.M. and Seo, J.R. (2009) Glass Inclusions in Quartz Phenocrysts of Tuff from Sunshin Au Mining Area, Hanam, Jeonnam, Jour. Petrol. Soc. Korea v.18, n.4, p.337-348 (in Korean). 

  10. Moon, H.S., Kim, Y.H., Kim, J.H. and Yoo, J.H. (1990) K-Ar ages of alunite and sericite in altered rocks and volcanic rocks around the Haenam area, southwest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3, 131-145 (in Korean). 

  11. Moon, H.S. and Song, Y.G. (1992) Mineralogy, distribution and origin of some pyrophyllite-dickite-alunite deposits in the Haenam area, southwest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5, 1, 41-50 (in Korean). 

  12. Park, K.H., Choi, H.I., and A.J. Reedman (1994) Late Cretaceous volcanogenic breccias in the Haenam and Mokpo areas of southwest Korea; peperites in the Haenam and Mokpo areas, MOST, KR-94(B)-2, 1-35 (in Korean). 

  13. Sillitoe, R.H. and Hedenquist, J.W. (2003) Linkage between volcanotectonic settings, ore-fluid compositions, and epithermal precious metal deposits.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special publication 10, 315-3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