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resents a fashion adoption process model based on collective selection theory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consumer adoption process of merchandising types at each stage of the fashion cycle. A questionnaire survey of 472 adult women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a...

주제어

참고문헌 (58)

  1. 권영애. (1987). 의복의 유행단계에 따른 지각반응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다울. (2008). 혁신특성과 개인특성이 혁신저항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미영, 한명숙. (1997). Sproles 모델에 의한 소비자의 의류상품 구매과정에 대한 연구. 가정문화연구, 11, 51-71. 

  4. 김선숙. (1994). 유행스타일의 결정과 확산에 대한 설명모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찬주. (1991).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에 관한연구(I)-위험의 유형분류 및 소비자 인구변인과 관련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4), 405-416. 

  6. 김한나. (2000). 유행혁신성과 동조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및 준거대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한나, 이은영. (2005). 신규 패션브랜드 평가속성에 대한소비자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5), 727-736. 

  8. 박경애. (1987). 패션확산전략에 개성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개성, 패션혁신성, 의견선도력간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성은. (2006). 의류제품의 속성에 대한 인지적 복잡성에 관한 연구-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4),497-506. 

  10. 박성은, 임숙자. (1999). 의복의 속성지각이 의류제품의 선호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여대생의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929-940. 

  11. 박윤서, 이승인. (2007). 신상품에 대한 수용과 저항의 통합모형. 경영학연구, 36(7), 1811-1841. 

  12. 성희원, 전양진. (2005). 국내 골퍼들의 햇빛차단 행동 및 자외선차단 의복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29(1),189-197. 

  13. 손정한. (2003). 채널혁신으로서의 인터넷 쇼핑과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옥선경. (1985). 의복구매시 인지되는 위험유형과 정보원 활용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유재미, 김상훈, 이유재. (2006). 제품혁신성 지각의 결정요인과 제품수용의향과의 관계: 소비자 관점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1(2), 27-52. 

  16. 이유리. (2004). 의류상품화 과정에서 패션제품과 베이직 제품의 차이 (제1보)-패션과 베이직 제품의 개념. 한국의류학회지, 28(2), 280-291. 

  17. 이원준. (2005). 신상품의 유비쿼터스 상호작용속성이 수용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19. 전대근. (2007). 의류상품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이 유행혁신성과 유행채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정찬진. (1986). 의복의 유행 스타일 수용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최선형. (1993). 의류제품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최은영. (2001). 소비자의 생활한복 채택과정에 관한 연구-Rogers의 혁신채택모델을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탁혜령. (2005). 웰빙 의류제품채택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패션유통 바이어가 뽑은 최고 브랜드. (2007, 11. 26). 텍스헤럴드, pp. 20-23. 

  25. 홍경희, 이윤정. (2006). 혁신제품으로서의 기능성 소재 유아복의 채택단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제품특성, 소비자특성,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30(1), 146-156. 

  26. 07/08 Best of the Best Brnads. (2007, 12). 패션비즈, pp.233-234. 

  27. 2007년 패션비즈니스 총결산. (2007, 12). 패션채널, pp. 48-49. 

  28. Abernathy, F. H., Dunlop, J. T., Hammond, J. H., & Weil, D. (1999). A stich in time: Lean retail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manufacturing-Lessons from the apparel and textile industr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9. Blumberg, P. (1974). The decline and fall of status symbol: Some thoughts on status in a post-industrial society. Social Ploblems, 21, 480-498. 

  30. Blumer, H. H. (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The Sociological Quarterly, 10(3), 275-291. 

  31. Cholachatpinyo, A., Padgett, I., Crocker, M., & Fletcher, B. (2002a). A conceptual model of the fashion processpart1: The fashion transformation process model.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1), 11-23. 

  32. Cholachatpinyo, A., Padgett, I., Crocker, M., & Fletcher, B. (2002b). A conceptual model of the fashion processpart2: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icro-subject level.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1), 24-34. 

  33. Davis, F. (1992). Fashion, culture, and identit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td. 

  34. Field, G. A. (1970). The status float phenomenon: The upward diffusion of innovation. Business Horizon, 13(4), 45-52. 

  35. Gatignon, H., & Robertson, T. S. (1989). Technology diffusion: An empirical test of competitive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53(1), 35-49. 

  36. Glock, R. E., & Kunz, G. I. (1995). Apparel manufacturing: Sewn product analysis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37. Hair, J. F. Jr., Black ,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38. Hamilton, J. A. (1997). The macro-micro interface in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fashion forms and meaning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3), 165-171. 

  39. Johnson-Hill, B. (1978). Fashion your future. London: Kurt Salmon Associates, The Clothing Institute. 

  40. Kaiser, S.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cmillan Publishing Company. 

  41. Kaiser, S. B., Nagasawa, R. H., & Hutton, S. S. (1995). Construction of an SI theory of fashion: Part1. Ambivalence and chang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3), 172-183. 

  42. Kean, R. C. (1997). The role of the fashion system in fashion change: A response to the Kaiser, Nagasawa and Hutton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15(3), 172-177. 

  43. King, C. W. (1963). Fashion adoption: A rebuttal to the trickledown theory. In G. B. Sproles (Ed.), Perspectives of fashion (pp. 31-39).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mpany. 

  44. Law, K. M., Zhang, Z. M., & Leung, C. S. (2004). Fashion change and fashion consumption: The chaotic perspective.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8(4), 362-374. 

  45. Minshall, B., Winakor, G., & Swinney, J. L. (1982). Fashion pre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risks perceived, and temporal quality of styles. Family and Consumer Science Research Journal, 10(4), 369-379. 

  46. Ostlund, L. E. (1974).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innova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3-29. 

  47. Prasad, V. K. (1975). Socioeconomic product risk and patronage preferences of retail shoppers. Journal of Marketing, 39(3), 42-47. 

  48. Ram, S. (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1), 208-212. 

  49.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4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50. Sethi, R., Smith, D. C., & Park, C. W. (2001). Cross func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creativity, and the innovativeness of new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8(1), 78-85. 

  51. Simmel, G. (1904). Fashion. International Quarterly, 10, 130-155. 

  52. Simmel, G. (1957). Fashion.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2(6), 541-558. 

  53.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Burgess Publishing Co. 

  54. Sproles, G. B., & Burns, L. S. (1994). Changing appearances: Understanding dress in contemporary society.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55. Turnbaugh, S. P. (1979). The seriation of fashio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Research Journal, 7(4), 241-248. 

  56. Winakor, G., Canton, B., & Wolins, L. (1980). Perceived fashion risk and self-esteem of males and females. Home Economic Research Journal, 9(1), 45-56. 

  57. Workman, J. E. (1987). Fashionable versus out of date clothing and interpersonal dist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5(3), 31-35. 

  58. Zaltman, G., & Wallendorf, M. (1983).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