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포해역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Numerical Modeling of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Mokpo Coastal Zone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2 no.5, 2010년, pp.333 - 343  

정태성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최종화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목포해역에서 조위와 조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낙조류 우세 조류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낙조류 우세를 발생하는 물리적 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노출한계수심, 바닥마찰응력 산정방법, 해안 매립, 조석의 진폭, 비선형 조석, 와점성계수와 목포해역의 낙조류 우세현상의 관련성에 대해서 2차원 해수유동 모형을 적용하여 자세히 조사하였다. 다양한 조건에 대한 모의결과로부터 노출한계수심과 와점성계수는 모의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바닥마찰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조류의 비선형성이 증가하여 낙조류 우세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사지가 미치는 영향은 간사지가 육지로 바뀌면 낙조류 우세가 심해지고, 간사지가 바다로 바뀌면 낙조류 우세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목포해역에서 진행되어온 해안매립사업은 낙조우세현상을 심화시켜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조석은 비대칭 조류를 생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조류의 비대칭성인 강한 목포해역에서 조류를 모의할 때는 개방경계 조위에 비선형조석을 포함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kpo coastal zone, the characteristics showing ebb-dominant tidal flow was confirmed by analysis of observed tide and tidal currents, Physical factors occurring ebb-dominant flow were reviewed. Influence of critical depth for drying, bottom shear stress, coastal reclamation, tidal amplitude, n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를 살펴보면, M2 분조와 M4 분조의 위상이 변화하여 왔으며, 비선형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2g(M2)-g(M4)가 180 도보다 큰 낙조 우세 특성을 보이고 있다. M2 분조의 배조인 M4 분조는 M2 분조의 비선형작용에 의해 발생되며, 본 연구에서는 M4 분조와 M2 분조의 위상차 변화가 낙조류 우세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2 분조와 M4 분조의 위상차 에 따라 낙조류 우세 또는 창조류 우세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 12)도 FEMOS 모형의 모의결과와 같이 창조류는 관측치와 잘 일치하였으나 낙조류는 관측치보다 작게 계산하였다. 따라서 모델의 적용과정에서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고, 모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의 개방경계조건, 바닥경계조건, 육지경계조건(조간대) 등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하였다.
  • 분조의 진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따라서 진폭의 증가가 낙조류 우세현상 변화에 끼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폭을 감소시키고 모의하였다. 개방경계에서 조석의 진폭을 10% 감소하여 모의한 결과를 보면(Case4, Fig.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수유동모형 FEMOS 모형(정 등, 2002)을 목포해역에 적용하고, 목포해역의 비대칭 조류를 정확하게 모의하기 위해서는 어떤 물리적 요소를 모형에서 정확하게 고려해야 하는 가를 검토하였다. 수치모형의 적용과정에서 노출한계수심, 바닥마찰응력 산정법, 진폭변화, 비선형조석 등이 조류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 특히 낙조류 우세현상과 관련성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 수치모형이 정확하게 낙조류 우세현상을 재현하지 못함에 따라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모델링 매개변수와 경계조건 들이 조류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비선형성이 강한 해역에서는 제한된 영역에 대한 조석모의를 할 경우에 개방경계에서 비선형 조석이 0이 아니므로 비선형 조석성분을 모델 개방경계에서 포함하여 모의하여야 모델영역 내부에서 비선형 조석을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rovost, 1991; Walters and Werner, 1991). M2와 M4분조 위상차 가 목포항과 개방경계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조류 모의결과의 정확도도 M4 분조를 고려한 경우에 개선되어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낙조류의 평균이 12 cm/sec의 오차를 보였으나 오차가 2 cm/sec로 크게 개선되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포해역의 낙조 우세현상은 어떠한가? 조간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복잡한 해안선을 갖고 있는 목포해역은 낙조 우세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넓은 조간대 규모가 낙조시간이 창조시간에 비해 짧은 낙조 우세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 등(1998)은 조간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는 목포해역의 조간대 변화를 조사하고, 방조제 건설과 매립현상으로 인한 조석변화 과정을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바 있다.
2차원 수치모형으로 조류를 모의한 결과에서 목표해역의 낙조 우세현상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26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포해역의 조류를 2차원 수치모형을 사용하여 모의한 결과로부터 낙조류 우세현상은 바닥마찰계수가 커지면 약간 증가하고, 간사지 모의에서 사용하는 노출한계수심의 값과 모의결과를 평활화시키는기능이있는와점성계수와는거의관계가없었다. 간사지 부분을 육지 또는 바다로 전환하여 내부용적 변화 즉 매립에 따른 영향을 살펴본 결과, 그동안 목포 내만해역에서 진행되어온 방조제 건설 등으로 인한 매립으로 인한 내부 용적의 감소는 조류의 비대칭성을 발생시킨 주요 요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포해역의 지형적 특징은? 조간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복잡한 해안선을 갖고 있는 목포해역은 낙조 우세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넓은 조간대 규모가 낙조시간이 창조시간에 비해 짧은 낙조 우세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 등(1998)은 조간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는 목포해역의 조간대 변화를 조사하고, 방조제 건설과 매립현상으로 인한 조석변화 과정을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주환 (1995). 음해조석모형의 목포항 인근해역에의 적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7(4), 321-328. 

  2. 강주환 (1996).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해역의 환경변화.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6(II-6), 611-619. 

  3.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4). 해수유동모형에서 조간대 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4(3B), 259-265. 

  4.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 (2005).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 영역 확대의 영향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7(1). 47-54. 

  5. 강주환, 박선중, 김양선, 소재귀 (2009). 해수유동모형의 조간대모의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57-370. 

  6.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II-2), 185-193. 

  7.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확산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II-6), 613-622. 

  8. 수로국 (1994). 수로기술연보. 

  9. 수로국 (2002). 수로기술연보. 

  10. 오남선, 강주환 (1998). 목포해역에서의 조석모형 적용. 한국항만학회, 12(1), 105-111. 

  11. 정태성, 김성곤, 강시환 (2002). 3차원 흐름모델링시스템(FEMOS)을 이용한 아산만 조류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2), 151-160. 

  12. 정태성, 김창식 (1992). 이동경계를 고려한 유한요소 해수유동 모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4(3), 687-699. 

  13. Aubrey, D.G. and Speer, P.E. (1985).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estuarine systems Part I: Observation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1, 185-205. 

  14. Balzano, A. (1998). Evaluation of methods for numerical simulation of wetting and drying in shallow water flow models. Coastal Engineering, 34, 83-107 

  15. Chung, T.J. (1978). Finite element analysis in fluid dynamics. McGraw-Hill, Inc. 

  16. Easton. A.K. (1977). Selected programs for tidal analysis and prediction. The Flinders Institute for Atmospheric and Marine Sciences, Flinders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South Australia. 

  17.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8, 429-438. 

  18. Moor, R., Wolf, J., Souza, A., and Flint, S. (2009). Morphological evolution of the Dee estuary, Eastern Irish Sea, UK: A tidal asymmetry approach. Geomorphology, 103(4), 588-596. 

  19. Provost, C.L. (1991). Generation of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Tidal Hydrodynamics, edited by B.B. Parker, 269-296. 

  20. Speer, P.E. and Aubrey, D.G. (1985).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I: Theo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1, 207-224. 

  21. Walters, R. A. and Werner, F. (1991). Nonlinear generation of overtides, compound tides, and residuals. Tidal Hydrodynamics, edited by B.B. Parker, 297-320. 

  22. Walton, T.L.Jr. (2002). Tidal velocity asymmetry in inlets. ERDL/ CHL CHETN IV-47, U.S. Army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Vicksburg, MS. 

  23. WES (1996). Users Guide to RMA-2 Version 4.3. USA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