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밀 중력측정을 위한 조석 및 계기 보정 모델 분석
The analysis of the tide and drift correction models for precise gravity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8 no.5, 2010년, pp.523 - 530  

이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지, 지구물리, 국방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중력자료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많은 중력자료가 획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획득한 중력자료로부터 절대중력값 및 중력이상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조석보정, 기계고보정, 계기보정 등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여러 조석보정과 계기보정 모델 중 어떤 모델을 사용하여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중력자료 처리에 있어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조석보정 및 계기보정 모델들이 중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모델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ongman과 Tamura가 제안한 천체에 의한 조석보정 모델은 약 0.0001mGal의 차이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델을 선정하여도 무방하였다. 그러나 지구조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계기 보정은 공통점에서의 측정중력값 차이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모든 측점을 이용하여 계기보정값을 결정하는 두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보정 후 잔차의 값이 최대 0.04mGal까지 발생하여, 이론적으로 정확한 모든 점을 이용하는 모텔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ore gravity data is being obtained due to the increased demands from the fields of geodesy, geophysics, and military. In general, the observed gravity values are corrected for the effect of tide, instrument drift, and instrument height to generate the absolute gravity values at a point. 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보다 높은 정 밀도의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통점을 확보하여 공통점에서는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적용한다. 공통점이 많은 경우에도 계기의 계산은 공통점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모든 측정값을 사용하는 경우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방법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즉, 현재의 중력측정 기술을 고려할 때 단순 보정 방법은 더 이상 적용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각 기관별로 이용되고 있는 조석 및 계기 보정 방법 및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되는 중력값을 분석하고, 가장 정확한 방법을 선정하여 향후 보다 일관성있는 중력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모델 차이에 따라 계기 보정량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8년 통합기준점 자료 중 경기지구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단일망에서의 계기 효과와 여러 망을 통합하였을 때의 계기보정 효과가 두 조정계산 모델에서 어떻게 산출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지상중력자료의 처리 단계 중 다양한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조석 보정 및 계기 보정의 모델을 비교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석보정의 경우 현재 조석효과 보정을 위하여 적용되고 있는 Longman과 Tamura의 모델은 우리나라에서 최대 O.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직접적인 계산 방법과 조화함수에 의한 계산 방법이 혼용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조석보정량 계산 방법론이 조석효과를 보정하는데 있어 중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도 32°D°, 경도 123°-132°, 간격 1'의 격자를 생성하여 각 위치에서 두 모델(1 : Longman / 2 : Tamura(1982, 1987))을 적용하여 보정량을 계산하였다 (표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국토해양부 (2010),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완료 보고서, 서울시립대학교. 

  2.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6),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3. Hwang. C., Wang. C., Lee. L. (2002), Adjustment of relative gravity measurements using weighted and datum-free constraints, Journal of Computers and Geosciences, Vol. 28, pp. 1005-1015. 

  4. Agmew. D. C. (2007). Earth Tides, Treatise on Geophysics: Geodesy, T. A. Herring, ed., Elsevier, New York, pp. 163-195. 

  5. Longman. I. M. (1959), Formulas for Computing the Tidal Accelerations Due to the Moon and the Su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pp. 235-12355. 

  6. Forsberg, R., Tscherning C. C., Kundsen P.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Kort & Matrikelstyrelse. 

  7. Pariiskii. N. N., Pertsev. B. P., Kramer. M. V. (1982),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Atmospheric Mass Distribution on the Gravity Acceleration, Repeated Gravity Observations, pp. 12-26. 

  8. Tamura. Y. (1982), A computer program for calculating the tide-generating force, Intl. Latitude Ovservatory of Mizusawa, Vol. 16, pp. 1-20. 

  9. Tamura. Y. (1987), A harmonic Development of the Tide-Generating Potential, Bulletin d'Information des Marees Terrestres, Vol. 99, pp. 6813-6855. 

  10. Torge. W. (2001), Geodesy, Walter de Gruyter, Vol. 3, pp. 84-89 ; pp. 362-3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