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활용한 Dichloromethane 노출 매트릭스 구축에 대한 연구
Construction of an Exposure Matrix Using a Risk Assessment of Industries and Processes Involving Dichloromethane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6 no.5 = no.116, 2010년, pp.391 - 401  

이재환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홍성철 (부산대학교 지역환경시스템공학과) ,  하권철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duction in risk of occupational exposure to chemical hazards within the workplace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both through industry initiatives and legisl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xposure matrix by industry and process, and to apply this matrix to control the risk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CM을 취급하는 업종 및 공정에 대해 문헌조사를 토대로 2005년 작업환경측정 자료 DB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표준산업분류 체계에 따라 매트릭스를 설정하여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위험성 평가 결과 나타난 고 위험군을 중심으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를 통해서 매트릭스를 통한 위험성 평가 방법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DCM 취급 시 세부 노출군인 노출 매트릭스(Exposure Matrix, EM) 구축을 통해서 근로자의 노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재 법적으로 측정하여 관리되고 있는 작업환경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업종 및 공정별로 노출 매트릭스를 구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CM은 강한 휘발성으로 급성 흡입독성을 나타내는데 체내 흡수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염화탄화수소 계통의 화학물질 중 DCM이 가장 독성이 적지만 강한 휘발성으로 인하여 급성 흡입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4) 체내에 흡수되면 일산화탄소로 물질대사가 되어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키며,5) 흡입에 의한 급성 노출은 시신경 장해와6) 간독성을7) 야기한다. 피부에 반복 노출하는 경우 피부의 지방성분을 녹여 피부 자극이나 화학적 화상이 나타난다.8) 또한 태반을 통과할 수 있어 임산부가 임신기간 중 노출되면 태아독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9) 실험동물의 폐, 간, 췌장 등에 암을 발생시켜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10) 알려져 IARC에서는 2B(인체 발암 예측/추정물질)로,11)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에서는 A3(동물 발암성 물질)로 제안하고 있으며,12)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A2(발암성 물질로 추정)로 제안하고13) 있다.
디클로로메탄이란?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은 메틸렌비클로라이드(Methylene bichloride), 메틸렌디클로라이드(Methylene dichloride, MC)라고도 하며 무색의 강한 휘발성을 가진 액체로 공기 중에서 인화성은 없으며 클로로포름과 비슷한 달콤한 냄새가 나는 유기화합물이다. 공업용의 순도는 보통 80%(v/w)이고 보통 메탄올이 섞여 있다.
DCM의 특성은? 공업용의 순도는 보통 80%(v/w)이고 보통 메탄올이 섞여 있다.1) DCM은 휘발성과 다양한 유기물질을 녹일 수 있는 특성 때문에 페인트 박리제, 탈지제, 에어로졸 분무제, 폴리우레탄의 발포제 등으로 산업장의 화학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 우리나라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에서 과년과 비교하면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나 2007년 기준으로 DCM은 전체 화학물질 중 10위에 해당하는 1,202톤이 배출(대부분이 대기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3) 산업보건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ossberg, M. : "Chlorinated Hydrocarbon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Weinheim, 2006. 

  2.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Dichloromethane", Public Health Goals for Chemicals in Drinking Water,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vailable from (URL): http://www.oehha.ca.gov/water/phg/pdf/dcm.pdf, 2009. 

  3. Ministry of Environment,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Available from (URL) : http://ncis.nier.go.kr/total/triopen/default.jsp?sort4&sub_sort1, 2009. 

  4. Rioux, J. and Myers, R. : Methylene chloride poisoning: a paradigmatic review.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6(3), 227-238, 1988. 

  5. Fagin, J., Bradley, J., Williams, D. : Carbon monoxide poisoning secondary to inhaling methylene chloride. British Medical Jounal 281(6253), 1461, 1980. 

  6. Kobayashi, A., Ando, A., Tagami, N. and Kitagawa, M. : Severe optic neuropathy caused by dichloromethane inhalation, Journal of Ocula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4(6), 607-612, 2008. 

  7. Cordes, D. H., Brown, W. D. and Quinn, K. M. : Chemically induced hepatitis after inhaling organic solvents.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48(4), 458-460, 1988. 

  8. Wells, G. and Waldron, H. : Methylene chloride burn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1(3), 420, 1984. 

  9. Bell, B., Franks, P., Hildreth, N. and Melius, J. : Methylene chloride exposure and birthweight in Monroe County, New York. Environmental Research 55(1), 31-39, 1991. 

  10. USDHH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oxicological Profile for Methylene Chloride, Available from(URL): http://www.atsdr.cdc.gov/toxprofiles/tp14.pdf, Retrieved 2006-09-10, 2006. 

  11.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Lists of IARC Evaluations; Available from (URL): http://www.inchem.org/documents/iarc/vol71/ 004-dichloromethane.html, 2010. 

  12.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2010 TLVs & BEIs, threshold limit values for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ISBN 978-1-882417-79-7, 2010.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for Chemical and Physical Hazar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tandard No. 2010-44, 2010. 

  14.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Standard No. 1910.1052, Available from(URL): http://www.osha.gov/pls/oshaweb/owadisp.show_document?p_tableSTANDARDS&p_id10094, 2010. 

  15. Benke, G., Sim, M., Frinchi, L. and Aldred, G. : Beyond the job exposure matrix (JEM): the task exposure matrix (TEM).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4, 475-482, 2000. 

  16. AIHA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Hallmark Risk Assessment Tool in Guidance for Conducting Control Banding Analysis, AIHA, 2007. 

  17. Statistics Korea,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KSIC), 9th revision, 2001. 

  18. Hass, J. M. : Industrial hygiene ABCs. Professional Safety 50(3), 38-41, 2005. 

  19. Ha, K. C. : A study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i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at indoor office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27(3), 1-112, 2001. 

  2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Application of Matrix and Risk Assessment of Industries, Processes, and Job, Research Report, 2008. 

  21. Pukkla, E., Guo, J., Kyyronen, P., Lindbohm, M. L., Sallmem, M. and Kauppinen, T. : National job-exposure matrix in analysis of census-basedestimates of occupational cancer ris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al Health 31(2), 97-107,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