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아종은 느린 성장을 나타내는 양성종양으로 치성종양의 약 22%를 차지한다. 대부분 치아발생 과정 중 치배증식기에 시작되며, 성장이 제한적이고 특별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자각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치아 맹출 장애를 주소로 이를 확인하는 과정 중에 흔히 진단되며, 10대에 가장 많이 발견된다. 치아종은 주로 방사선 사진을 통해 진단되는데, 발생 초기 및 초기 석회화 단계에서는 방사선 사진에서 확인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석회화되지 않은 치아종도 치아의 맹출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치아종에 의해 맹출 장애가 발생한 경우 매복치의 발육정도와 매복위치에 따라 치아종을 제거한 후 자발적 맹출을 기대해 보거나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교정적인 견인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특별한 원인 없이 맹출 장애를 보여 정기검사 또는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위한 치료도중, 치아종이 석회화된 후에 방사선사진 상에 관찰되어, 맹출 장애 원인이 발육중인 치아종에 의해 야기되었음을 확인하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dontoma represents 22% of all odontogenic tumors, which is characterized by slow growth pattern. Most of the odontomas usually develop during dental follicle proliferation. The growth of odontoma is limited and lesion is generally asymptomatic. It is frequently diagnosed during assessments for d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에서는 영구치의 맹출 지연을 나타낸 환아에서 맹출유도 치료 중 석회화 중인 치아종을 발견하여 발육중인 치아종도 맹출을 방해한다는 것을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종이란 무엇인가? 치아종은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성 세포의 과성장으로 형성되는 혼합 종양으로 법랑질, 상아질, 치수, 백악질 등의 치아 구성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악골 내 발생하는 치성종양 중 가장 흔하며, 신생물 보다는 형태와 조직분화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과오종성 기형이라고 알려져 있다1,2).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치아종은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특징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분류된다. 복합 치아종은 치아의 구성조직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정상치아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 반면에, 복잡 치아종은 불규칙한 배열양상을 보여 치아와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3). 발생빈도는 복합 치아종이 복잡 치아종 보다 2배 정도 높게 나타난다3,4). 복합 치아종은 상악 전치부에서, 복잡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4).
치아종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치아종은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특징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분류된다. 복합 치아종은 치아의 구성조직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정상치아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 반면에, 복잡 치아종은 불규칙한 배열양상을 보여 치아와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대한소아치과학회 : 소아.청소년 치과학. 신흥인터내셔날, 제4판, 서울: 107-108, 556-557, 2007. 

  2. Shafer WG, Hine MK, Levy BM : A text book of oral pathology. WB Saunders, 4th edition, Philadelphia: 308-311, 1983. 

  3. Kramer IR, Pindborg JJ, Shear M : WHO international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umors: Histological typing of odontogenic tumors. Springer VerlaG, 1:21-22, 1992. 

  4. Hisatomi M, Aasumi JI, Konouchi H, et al. : A case of complex odontoma associated with an impacted lower deciduous second molar and analysis of the 107 odontomas. Oral Dis, 8;100-105, 2002. 

  5. Owens BM, Schuman NJ, Mincer HH, et al. : Dental Odont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104 cases. J Clin Pediatr Dent, 21:261-264, 1997. 

  6. Piattelli A, Pergetti G, Carraro A : Complex odontoma as a periapical and interradicular radopacity in a deciduous molar. J Endod, 22:561-563, 1996. 

  7. Cuesta SA, Albio JG, Aytes LB, et al. : Review of 61 cases of odontoma. Presentaion of an erupted complex odontoma. Med Oral, 8:366-373, 2003. 

  8. Cabov T , Krmpotic M, Grgurevic J, et al.: Large complex odontoma of the left maxillary sinus. Wien Klin Wochenschr, 117:780-783, 2005. 

  9. Delbem AC, Cunha RF, Bianco KG, et al. : Odontomas in pediatric dentistry : report of two cases. J Clin Pediatr Dent, 30:157-160, 2005. 

  10. Cildir SK, Sencift K, Olgac V, et al. : Delayed eruption of a mandibular primary cuspid associated with compound odontoma. J Contemp Dent Prat, 6:152-159, 2005. 

  11. Karugars EG, Miller EM, Abbey ML, et al. : Odontoma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7:172-176, 1989. 

  12. Tomizawa M, Otcuka Y, Noda T : Clinical observations of odontomas in Japanese children : 39 cases including one recurrent case. Int J Pediatr Dent, 15:37-43, 2005. 

  13. Ledesma-Montes C, Perez-Bache A, Garces-Ortiz M : Gingival compound odontoma. Int J Oral Maxillofac Surg, 25:296-297, 1996. 

  14. Oliveira BH, Campos V, Marcal S :Compound odontoma- diagnosis and treatment : three case reports. Pediat Dent, 23:151-157, 2001. 

  15. 백승준, 이광수 :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치료 증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7:394-399, 2000. 

  16. Selahattin, Yucetas S : Compound and complex odontoma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6:596-559, 1987. 

  17. Glunta JL, Kaplan MA : Peripheral soft tissue odontoma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9:406-411, 1990. 

  18. 송지현, 이광희, 라지영 등: 작은 치아종으로 인한 맹출 장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490-497, 2007. 

  19. Thwaites MS, Camacho JL : Complex odontoma : report of case. ASDC J Dent Child, 54(4):286-288, 1987. 

  20. Rotberg S, Kopel HM. : Early versus late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in the premaxilla : a radiographic study. Compendium Continuing Educ, 5:115-119, 1984. 

  21. Stermer Beyer-Olsen EM, Hurlen B, Humerfelt D. : Changing positions of supernumerary teeth in the premaxilla : A radiographic study. J Dent child, 52:428-30, 1985. 

  22. Bullen C, Saravia ME, Steinberg B : Conservative management of an impacted inciso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1:564-567, 1986. 

  23. Vanarsdall RL, Corn H : Soft-tissue management of labially positioned unerupted teeth. Am J orthod, 72:53-64, 1997. 

  24. Witsenburg B, Boering G : Eruption of impacted permanent upper incisors after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Int J Oral Surg, 10:423-431, 1981. 

  25. Hitchin AD: The radiology of the calcified composite odontomas. Dent Pract Dent Rec, 12:223-230, 1962. 

  26. Ashkenazi M, Chodik G, Greenberg BP, et al. : Postoperative prognosis of unerupted teeth after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or odontomas. Am J Othod Dentofac Orthp, 131:614-61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