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전자자원관리시스템(ERMS)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 a University Libra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4, 2010년, pp.249 - 276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조수경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인쇄매체로 유통되는 정보자원의 형식이 많은 부분 디지털화 되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통 소비되고 있다. 최근 각 대학도서관에서 집행하는 도서구입비에서 전자자원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과 이용자들의 전자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현저히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RMS의 모형 제시와 함께 각 단계별로 ERMS가 갖추어야 하는 요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 ERMS에 있어서 필요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ERMS는 다양한 전자자원에 대한 접근정보, 소장정보, 메타데이터, 이용자서비스 등이 종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도서관에서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메타검색, 링킹시스템, 프록시서비스 시스템들과의 통합적인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ERMS는 전자자원의 통합적인 자료조직과 예산관리를 위하여, 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통합도서관시스템의 수서, 목록시스템과의 안정적인 연계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ERMS는 전자자원이 갖고 있는 라이선스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ERMS는 도서관에 모든 전자자원의 이용과 평가, 접속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전자자원에 있어서 모든 것을 다루는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작동을 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대학도서관에서 ERMS 구축시 인쇄자원관리 위주로 설계된 도서관조직구조 및 사서의 업무분장을 재설계할 필요성과 대학도서관들의 전자자원관리 분야 협력과 표준 마련을 위하여 DLF ERMI 사례와 같은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the amount of information published in electronic formats such as video, audio, digitalized text, etc. and the number of users accessing information online to satisfy their information needs are growing at a tremendou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국국립도서관의 장서개발이 예측한 것은 무엇인가? 영국국립도서관(British Library)의 장서개발 예측에 의하면 2020년까지 도서관 자원의 대부분이 디지털 자원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한다. 2020년까지는 영국 연구 논문의 40% 가량이 전자형태로만 이용 가능할 것이며 50%는 인쇄와 전자 두 가지 형태로 출판될 것이고 새로운 타이틀의 10%만이 인쇄형태로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British Library 2005).
전자자원에 대한 관리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전자자원에 대한 관리와 관련한 국내 연구로는 전자저널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자원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모델, 전자자원 목록 · 검색에서의 기반 기술, 장서개발정책 및 이용통계 활용 전략,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자자원 활용 및 관리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전자저널 라이선스 계약모델에 관한 연구로서 강순희(2004)는 라이선스 계약을 기반으로 이용하는 전자자원의 개념 및 특징, 그리고 라이선스와 저작권법과의 관계, 전자자원의 이용범위를 제한하는 라이선스의 관리적 특성을 고찰한 후, 전자저널 계약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전자저널 이용 권리를 규명하고 전자저널 이용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 과정에서 지침이 될 수 있는 라이선스 계약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자자원의 양적 증가는 수서 담당자에게 어떤 불편함을 가져왔는가? 전자자원의 양적 증가는 도서관 업무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서 담당자는 수많은 개별 타이틀에 대한 정보를 더 이상 수작업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출판사, 인터페이스 제공자, 대행사를 포함한 업체의 비즈니스 모델이 항상 변하고 컨소시엄이나 시범서비스, 구독기간 갱신 혹은 종료, 패키지 간의 타이틀 중복 등으로 전자자원에 대한 수서업무 자체가 복잡해졌다(방준필 2005). 한편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학술정보 장서구성에는 전통적인 정보서비스의 기반인 인쇄매체와 다양한 디지털 매체가 공존하게 되었고, 도서관 사서들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들에 대한 원활한 통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순희. 2004. 전자자원 라이선스 관련 메타데이터 설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Sun-Hee Kang. 200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etadata for Licensed Electronic Resources. Graduate Thesis, Chung-ang University.) 

  2.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 2004. 해외전자정보전문위원회 구성 및 활동. 국립대학도서관보, 24: 248-259. (Council on National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2004. Haeoejeonjajeongbowiwonhoe Guseong Mit Hwaldong. Gukribdaehakdoseogwanbo, 24: 248-259.) 

  3. 국립중앙도서관. 2005.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통합서지용 KSX 6006-0. 서울: 한국표준협회.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5. Hangukmunheonjadonghwamokrokgyeongsik Tonghapseojiyong KSX 6006-0. Seoul: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4. 김성희. 2005. OpenURL을 이용한 전자자원 링킹시스템 비교?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2(4): 221-234. (Seong-Hee Kim. 2005. "The Comparison & Analysis of Linking System Using OpenUR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4): 221-234.) 

  5. 김정은. 2006.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목록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Jung-Eun Kim. 2006. A Study on Electronic Journal Cataloging in University Libraries. Graduat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6. 남영준, 장보성. 2006.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의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3): 241-264. (Nam Young-Joon, & Jang Bo-Seong. 2006. "A Study of the Elements Analysis of Met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3): 241-264.) 

  7. 노지현. 2004.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자료 조직 현황과 실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17-338. (Jee-Hyun Rho. 2004. "A Study on Cataloging Digital Resources in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317-338.) 

  8. 방준필. 2005. 전자자료 관리시스템(ERMS)에 대한 고찰. 국회도서관보, 42(12): 30-39. (Jun-Pil Bang. 2005. Jeonjajaryo Gwanrisysteme Daehan Gochal. Gukhoedoseogwanbo, 42(12):30-39.) 

  9. 사공철 등. 1999.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Chukl Sakong, et al. 1999. Munheonjeongbohakyongeosaje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심원식. 2005. 전자정보 이용통계 활용 전략. 정보관리학회지, 22(2): 5-21. (Won-Sik Shim. 2005. "Strategies for Leveraging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2): 5-21.) 

  11. 이수상. 2006. 디지털도서관의 통합검색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127-144. (Soo-Sang Lee. 2006. "A Study on the Methods of Integrated Search in Digital Libraries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2): 127-144.) 

  12. 장덕현, 최원찬. 2008.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통합관리 유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201-221. (Durk-Hyun Chang, & Won-Chan Choi. 2008. "Trends in Integrnted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201-221.) 

  13. 장보성. 2006.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의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Bo-Seong Jang. 2006. A Study on the Elements Analysis of Med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Graduate Thesis, Chung-ang University.) 

  14. 정은경. 2008. 전자저널 이용통계 표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Eun-Kyung Jung. 2004. A Study on Standardization in Usage Statistics of Electronic Journals. Graduat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5. 정희정. 2006.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전자정보원 통합관리 시스템 적용사례. 정보관리강좌, 2006년 5월 26일. 83-99. (Hee-Jeong Jung. 2006. "Yeonsedaehakgyo Jungangdoseogwanui jeonjajeongbowon Tonghapgwanri System Jeokyongsarye." Jeongbogwanrigangjwa, 26 May 2006. 83-99.) 

  1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2004 대학도서관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 및 수요 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4. 2004 Daehakdoseogwan Haeoejeonjajeongbo Gudok Hyeonhwang Mit Suyo Josa Bogoseo. [Seoul]: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7. Alan, Robert, Lai-Ying Hsiung, Sharon McCaslin. "Web-based tracking systems for electronic resources management." Serials Librarian, 44(3): 293-297. 

  18.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03. "E-Metrics." [online]. [cited 2009. 5. 15]. . 

  19. Blocker, LouAnn. 2006.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oftware: A Brief Overview." Tennessee Libraries, 56(2): 1-5. 

  20. Breeding, Marshall. 2004. "The Many Facets of Managing Electronic Resources." Computers in Libraries, 24(1): 25-33. 

  21. British Library. 2005. "British Library predicts 'switch to digital by 2020'." [online]. [cited 2010. 7. 19]. . 

  22. COUNTER. [online]. [cited 2009. 5. 15]. . 

  23. Cyzyk, Mark, & Robertson, Nathan. 2003. "The Hopkins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2(1): 12-17. 

  24. DLF ERMI Report. [online]. [cited 2009. 5. 15]. . 

  25. Dublin Core Metadata Initiative. [online]. [cited 2009. 5. 15]. . 

  26. E-Matrix NCSU Libraries. [online]. [cited 2009. 5. 15]. . 

  27. Harvard University. 2004. "Announcing Harvard ERM." Library Notes, No.1322. 

  28. Harvard Libraries E-Resource Management & Licensing. [online]. [cited 2009. 5. 15]. . 

  29. International Coalition of Library Consortia. [online]. [cited 2009. 5. 15]. . 

  30. Jewell, Timothy D., & Mitchell., Anne. 2005.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The Quest for Systems and Standards." Serials Librarian, 48(1): 137-163. 

  31.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 Policy Statements: Electronic Resources. [online]. [cited 2009. 5. 15]. . 

  32. Mithchell, Ann M., & Surratt, Brian E. 2004. Cataloging and Organizing Digital Resources: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New York: Neal-Schuman. 

  33. NISO Standardized Usage Statistics Harvesting Initiative. [online]. [cited 2009. 5. 15]. . 

  34. Norm, Medelros, et al. 2003. "Managing Administrative Metadata: The Tri-College Consortium's Electronic Resources Tracking System (ERTS)." Library Resources and Technical Services, 47(1): 28-36. 

  35. Shim, Wonsik, & McClure, Charles R. 2002. "Improving database vendor's usage statistics reporting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libraries and vendor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3(6): 409-514. 

  36. The Tri-College Consortium's. [online]. [cited 2009. 5. 15]. . 

  37. XrML: 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 ContentGuard. [online]. [cited 2009. 5. 15]. 

  38. XrML 2.0 Specification. [online]. [cited 2009. 5. 15].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