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헴프섬유의 최근 기술개발 동향 원문보기

염색가공 = Dyeing and finishing, v.5, 2010년, pp.62 - 70  

지동선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황민수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이정진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술논고에서는 친환경 섬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신성장동력산 업으로 거듭나고자 새로운 인체친화적인 Cool & Warm 천연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헴프소재의 특성에 대한 고찰과 최근 기술개발 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세계 의류시장에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세계 의류시장은 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한 환경 규제, 세계 패션 트렌드 및 소비자 선호에 부응한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 웰빙 시대에 적합한 기능성 및 고감성 제품개발을 통한 차별화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의 섬유산업의 동향도 기존의 화학섬유에 대한 유해성 및 거부감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천연적인 섬유소재에 많은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웰빙을 뛰어넘어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사회의 지속적 성장과 환경을 생각하는 생활패턴인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가 이슈화되면서 그에 따른 인체친화적인 친환경섬유의 개발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헴프와 관련된 대략적인 국내외 지식재산권의 주요 현황은 어떻게 되는가? ○ 대마를 주원료로 하는 대마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 (출원번호 : 2008-0059904). ○ 마사 또는 혼방사 등을 이용하여 마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출원번호 : 2003-0057828). ○ 대마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합성세라믹스의 배합분체를 접착제로 코팅한 대마사 및 대마직물에 관한 것 (출원번호 : 1999-0005152). ○ 대마재봉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 (출원번호 : 2004-0059447). ○ 천연 섬유인 대마사 제조에 관한 것 (출원번호 : 1998-0049785). ○ 삼베를 포함하는 인조솜 및 그 제조 방법 (특허실용, 출원번호 : 1020000044699). ○ 인피섬유를 원료로하는 연초용 필터의 제조방법 (특허실용, 출원번호 : 1019640000689). ○ Skein(타래실) 상태의 대마사에 대한 액체암모니아 가공처리한 것 (CN 1487141A). ○ NaOH 또는 KOH 용액에서 30~60분간 처리에 따른 마사의 물성개선 방법 (JP 2001-131861A). ○ 물 또는 유기용제에 비누, 전분, 왁스, 폴리알칼린 수지 등을 포함하는 복합액을 사용해 섬유 또는 실을 처리한 것 (USP 2002/0142162A). ○ Hank 상태의 cellulose섬유에 대한 액체암모니아 가공처리한 것(EP 1 057 919 A3).
최근의 섬유산업의 동향과 관련하여 인체친화적인 친환경섬유의 개발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세계 의류시장은 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한 환경 규제, 세계 패션 트렌드 및 소비자 선호에 부응한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 웰빙 시대에 적합한 기능성 및 고감성 제품개발을 통한 차별화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의 섬유산업의 동향도 기존의 화학섬유에 대한 유해성 및 거부감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천연적인 섬유소재에 많은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웰빙을 뛰어넘어 개인의 건강 뿐만 아니라 사회의 지속적 성장과 환경을 생각하는 생활패턴인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가 이슈화되면서 그에 따른 인체친화적인 친환경섬유의 개발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K.Mohanty, M.Misra, and L.T.Drzal, "Natural Fibers, Biopolymers, and Biocomposites", Taylor&Francis, Boca Raton, 2005. 

  2. Jorg Mussig, "Industrial Application of Natural Fibres : Structure, Properties, and Technical Applications", Wiley, New Jersey, 2010. 

  3. C.Garcia-Jaldon, D.Dupeyre, M.R.Vignon, Biomass Bioenerg, 14(3), 251(1998). 

  4. 2009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수산식품부, 2010. 

  5. Z.Jinqiu, Z.Jianchun, Text. Res. J., 80(8), 744(2010). 

  6. B.J.Koh, Res. J. Costume Culture, 12(1), 168(2004). 

  7. H.Choi, R.Kim, S.H.Hong, J. Kor. Soc. Cloth. Ind., 6(2), 229(2004). 

  8. M.S.Hwang, J.J.Lee, D.S.Ji, Proc. Korean Text. Conf., 42(1), 308(2009). 

  9. M.S.Hwang, J.J.Lee, D.S.Ji, Proc. Korean Text. Conf., 42(1), 183(2009). 

  10. M.S.Hwang, J.J.Lee, D.S.Ji, Proc. Korean Text. Conf., 42(2), 244(2009). 

  11. M.S.Hwang, D.S.Ji, Proc. Korean Text. Conf., 43(2), 179(2010). 

  12. M.M.Kostic, B.M.Pejic, K.A.Asanovic, V.M.Aleksic and P.D.Skundric, Ind. Crops and Prod., 32(2), 169(2010). 

  13. D.Nilsson, B.Svennerstedt, C.Wretfors, Biosystem Eng., 91(1), 35(2005). 

  14. M.Kostic, B.Pejic, P.Skundric, Bioresour. Technol., 99(1), 94(2008). 

  15. D.H.Jo, Fiber Technol. Ind., 13(3), 3(2009). 

  16. S.E.Lee, "UVB Blocking Effect of Natural Hemp Fabrics", M.S Dissertation, Konkuk Univ., 2007. 

  17. H.M.Wang, R.Postle, R.W.Kessler, W.Kessler, Text. Res. J., 73(8), 664(2003). 

  18. H.M.Wang, R.Postle, Text. Res. J., 74(9), 781(2004). 

  19. N.Reddy, Y.Yang, Carbohydrate Polymers, 77(4), 898(2009). 

  20. P.Linger, J.Mussig, H.Fischer, J.Kobert, Ind. Crops Prod., 16(1), 33(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