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멥쌀 비율에 따른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with Different Ratios of Non-glutinous Germinated Brown Rice Flou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6, 2010년, pp.853 - 859  

신동선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박혜영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 ,  한귀정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 ,  김명희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아현미 100%인 control에 대한 적합가능성과 control에 멥쌀의 적정 첨가 비율을 찾는 목적으로 발아현미와 멥쌀의 수분흡수율과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고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제품으로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고자하였다. 발아현미 가래떡은 멥쌀 첨가량을 발아현미 중량 대비 0, 20, 40, 60%로 제조하여 실온($25^{\circ}C$)에서 0, 1, 2일 저장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멥쌀 및 발아현미의 수분흡수율과 고형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침전의 수분함량은 멥쌀의 경우 15.68%, 발아현미는 15.05% 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침시간에 따른 멥쌀과 발아현미의 고형분 함량은 2시간 후에는 각각 0.68% 및 0.71%이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10시간 후에는 0.76%와 0.79%로 양이 증가하였다. 발아현미 가래떡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멥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래떡의 수분함량은 1~3%감소하는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기간 동안에는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변화의 경우 L값은 발아현미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가래떡의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으며 모든 시료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a값과 b값의 경우 발아현미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는 40% 및 60%가 높았으며, 탄력성은 control이 좋은 점수를 받았으며, 응집성, 검성씹힘성은 60%가 높은 값을 보였다. 멥쌀 첨가비율에 따른 발아현미 가래떡의 관능적 특성에서 제조 당일 발아현미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향미를 제외한 색, 단단한 정도, 탄력성, 씹힙성, 전반적기호도 등 모든 평가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멥쌀 40%와 60% 첨가군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가래떡 제조 시 발아현미 100%인 control도 제조 가능하고 발아현미에 멥쌀을 첨가할 경우 40~60% 첨가하는 것이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properties of Garaetteok changed with non-glutinous at different ratios germinated brown rice(GBR). Changes in the moisture content of GBR occurred with increasing non-glutinous levels of(1~3%) increase in the level.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쌀 소비확대 및 농가의 부가가치 향상 방안을 검토하고 발아현미를 이용한 건강지향적인 소비자들의 성향에 부합되는 기능성 가래떡을 제조하여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제품으로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 발아현미 100%인 control에 대한 적합가능성과 control 에 멥쌀의 적정 첨가 비율을 찾는 목적으로 발아현미와 멥쌀의 수분흡수율과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고 발아현미 가래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제품으로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고자하였다. 발아현미 가래떡은 멥쌀 첨가량을 발아현미 중량 대비 0, 20, 40, 60%로 제조하여 실온(25℃) 에서 0, 1, 2일 저장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아현미는 무엇인가? 발아현미(germinated brown rice, GBR)는 현미를 발아 시킨 것으로 식이섬유, 칼슘, 철,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보강할 수 있으며 싹이 날 때 γ-aminobutyric acid(GABA)와 γ-oryzanol, inositol 등의 유효성분들이 증진되어 발아 중에 현미의 영양과 기능을 극대화 시키면서 식미는 현미 보다 훨씬 부드러운 쌀이다(Cho KR 2007). 발아현미는 효소 활성화에 의한 연화작용으로 현미의 소화를 방해하는 피틴산(phytic acid)이 인과 inositol로 바뀌어 현미보다 체내 흡수가 잘되는 장점이 있다(Choi JH 2001).
전통음식인 떡 중 친 떡의 일종인 가래떡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전통음식인 떡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드는 음식을 말하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찐 떡, 지진 떡, 친 떡, 삶은 떡으로 구분한다. 친 떡의 일종인 가래떡은 명절 음식인 떡국으로 시중에서 가장 많이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떡볶이 떡으로 이용하기도 한다(Ahn JW 2009). 가래떡을 이용한 떡볶이는 궁중의 정월음식으로 고기와 채소를 넣고 간장으로 양념을 해서 만든 귀한 음식이었다.
발아현미는 어떤 작용에 의하여 현미보다 체내 흡수가 잘되는가? 발아현미(germinated brown rice, GBR)는 현미를 발아 시킨 것으로 식이섬유, 칼슘, 철,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보강할 수 있으며 싹이 날 때 γ-aminobutyric acid(GABA)와 γ-oryzanol, inositol 등의 유효성분들이 증진되어 발아 중에 현미의 영양과 기능을 극대화 시키면서 식미는 현미 보다 훨씬 부드러운 쌀이다(Cho KR 2007). 발아현미는 효소 활성화에 의한 연화작용으로 현미의 소화를 방해하는 피틴산(phytic acid)이 인과 inositol로 바뀌어 현미보다 체내 흡수가 잘되는 장점이 있다(Choi JH 2001). 또한 현미 발아 시 전분분해 효소 작용에 의해 생성된 포도당 등의 유리당과 올리고당에 의한 각종 기능성 미량성분들이 활성화되어 기능성, 편리성 등이 증진 되어 현미가 가지고 있는 콜레스테롤 저하(Chun HS 등 1995) 및 항돌연변이 작용(Madaz G 1983)등의 좋은 생리활성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 D.C. 

  2. Ahn JW. 2009. Properties of rice cakes for topokki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4):467-473 

  3. Cho K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Nutr. 20(2):185-194 

  4. Choi J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17(4):323-328 

  5. Choi YM, Jeon GU, Kong SH, Lee JS. 2009.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Food Engineering Progress 13(2):154-158 

  6. Chun HS, Kim IH, Kim HJ. 1995. Effect of brown rice extract on mitomycin-C induced chromosome aberration in cultured CHL cells. J Korean Food Sci Technol 27(6):1003-1007 

  7. Kim SS, Lee WJ. 1997.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1):101-106 

  8. Kum JS, Choi BK, Lee HY, Park JD, Park HJ.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2):182-188 

  9. Lee J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rice Garaedduk. Sejo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3-14 

  10. Lee MK, Kim JO, Shin MS. 2004.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s with different soaking time and particle siz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268-275 

  11. Lee YS, Kim AJ, Rho JO.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yujacheong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494-500 

  12. Oh SH. 2007. Effects and applica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41-46 

  13. Park JW, Park HJ, Song JC. 2003. Suppression effect of maltitol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Nutr. 32(2):175-180 

  14. Shin WC, Park HJ, Song JC. 2006. Optimization of modified starches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Nutr. 19(3):279-287 

  15.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9(6):1213-1221 

  16. Song YH, Joo NM. 2009. The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brown rice cookies prepared using chungkukjang. Korean J Food Culture. 24(3):321-330 

  17.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Korean J Food Nutr. 32(6):847-854 

  18. Yoo GS. 2001.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black or brown rice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and retrogradationof Julpyu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103-111 

  19. Yu JH, Han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with different soaking and steaming time. Korean J Soc Food Sci. 20(6):630-636 

  20. Woo SM, Jang SY, Jeong YJ. 2005. Quality changes of the Kimchi with addi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concentrat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ation. 12(4):387-394 

  21. Madaz G. 1983. Effect of brown rice and soybean dietary fiber on the control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Am J Clin Nutr. 38:388-3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