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형실험을 통한 콘크리트 블록 및 시공이음부의 기밀성 측정
Measurement of Air Tightness of Concrete Block and its Construction Joint from a Model Experiment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0 no.6 = no.89, 2010년, pp.434 - 445  

김형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신중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송원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용량 전력에너지저장시설로서의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시설의 기밀시스템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라이닝 및 현장 타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공이음부의 투기특성을 파악하고자 콘크리트 블록시료를 이용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시공이음부의 투과계수는 콘크리트 블록보다 약 $10^1{\sim}10^4$ 배 정도의 투과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어, 현장 타설과정에서 시공이음부의 품질관리가 저장시설의 기밀성능 확보 관점에서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합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타설함으로써 시공이음부의 투과계수를 콘크리트 블록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 블록의 초기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투과계수가 감소하여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ground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CAES) system in a lined rock cavern is considered one of the promising large-scale energy storage technologies. In this study, permeabilities of concrete lining block and its construction joint,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of an air tightness system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용량 전력에너지저장시설로서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시설의 기밀시스템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라이닝 및 현장 타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공이음부의 투기특성을 콘크리트 블록 시료를 이용한 모형실험을 통해 파악하고 향후 실증 및 상용화 시설 건설에 참고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 본 고에서는 압축공기 지하저장공동 시공현장에서의 기밀특성 평가를 목적으로 시추공을 이용한 기밀특성 평가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블록 시료를 이용한 투기 및 투수실험을 실시하고 콘크리트 라이닝 블록 및 시공이음부의 고유투과계수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공이음부의 기밀성능 향상을 위해서 접합면에 콘크리트 보수용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투과계수의 저감효과를 파악하고 초기포화도에 따른 투과계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압축공기 지하저장 공동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압축공기 지하저장기술은 잉여전력 혹은 저품질의 신재생에너지원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에너지를 압축공기로 전환하여 지하저장공동에 저장해 두고 필요시 저장된 압축공기를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압축공기 지하저장 공동은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대표되는 지보재 및 기밀시스템의 설치유무에 따라 무복공식과 복공식으로 구별된다(김형목 외, 2009).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공동의 일차적 기밀성과 이차적 기밀성은 무엇에 의해 달성되는가?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공동에서는 암반 균열을 통한 저장압축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여 기밀성을 담보하고 저장공동의 역학적 안정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복공식 지하저장공동의 일차적 기밀성은 콘크리트 라이닝 표면에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기밀시트에 의해 담보되나 현장 시공과정에서 발생가능한 기밀시트 접합부의 부정합을 통한 누출 및 장기적 관점에서의 기밀시트 파손부를 통한 누출 방지를 위한 이차적 기밀성은 콘크리트 라이닝이 담당하게 된다. 또한, 주변 암반 역시 누출된 압축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연방벽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압축공기 지하저장기술이란 무엇인가? 최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라 대용량 전력에너지저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시스템으로 압축공기 지하저장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압축공기 지하저장기술은 잉여전력 혹은 저품질의 신재생에너지원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에너지를 압축공기로 전환하여 지하저장공동에 저장해 두고 필요시 저장된 압축공기를 전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압축공기 지하저장 공동은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대표되는 지보재 및 기밀시스템의 설치유무에 따라 무복공식과 복공식으로 구별된다(김형목 외,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형목, 류동우, 신중호, 2008, 굴착영향영역 투수특성의 실험적 평가기술, 터널과 지하공간, 18(2), pp. 91-97. 

  2. 김형목, 류동우, 정소걸, 송원경, 2009, 일본의 압축공기 지 하저장 기술, 2009년 한국암반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9-19. 

  3. 김형목, 류동우, 정소걸, 송원경, 2009, 일본의 압축공기 지하저장 기술, 2009년 한국암반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9-19. 

  4. 소형석, 소양섭, 2000, 콘크리트의 투기성과 압축강도 사이의 관련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16(11), pp.107-112 

  5. Abbas, A., Carcasses, M., Ollivier, J.P., 1999, Gas permeability of concrete in relation to its degree of satura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2, pp. 3-8. 

  6. Horne, R.N., Modern well test analysis, Petroway, Jnc., 1995. 

  7. Jones, S.C., 1972, A rapid accurate unsteady-state Klinkenberg parameter, SPE journal, pp. 383-397. 

  8. Neville, A., 1996, Properties of concrete, 4th ed., Wiley, pp. 490-497. 

  9. Mehta, P., Monteiro, P., 2005, Concrete: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3 ed., McGraw-Hill Professional, pp. 125-130. 

  10. Sanjuan, M. A., Munoz-Martialay, R., 1996, Influence of the water/cement ratio on the air permeability of concrete,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1, pp. 2829-2832. 

  11. Tanikawa, W., Shimamoto, T., 2006, Klinkenberg effect for gas permeability and its comparison to water permeability for porous sedimentary rocks, Hydrol. Earth Syst. Sci. Discuss., 3, pp. 1315-1338. 

  12. Tezuka, M., Matsui, I., Henmi, Y., Moriya, A., 2007, Proposal for water-proof testing method of placing joint and cracking parts of concrete under high pressure, AIJ J. Technol. Des. Vol. 13, No. 26, pp. 411-414. 

  13. 氏家?, 菊地一義, 佐藤良一, 長龍重義,1995, 新? コンクリ?トの打?目の透?性?に影響を及ぼす要因 に?する?究, コンクリ?ト工?年次論文報告集, Vol. 17, No. 1, pp. 747-7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