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진만 패류생산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연구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hellfish-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6, 2010년, pp.614 - 622  

박큰바위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조미라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권지영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손광태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두석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희정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nitary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was assessed through a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water for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The range of the geometric mean (GM) and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for most-probable-number (MPN) values for fecal coliform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남 남해군에 위치한 강진만 해역은 굴과 피조개 양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실시한 위생조사 결과를 근거로 2004년 3월에 조사면적 8,000 ha 중 5,290 ha에 대하여 수출용 패류생산해역 (제7호 해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해역에 위치한 지정해역은 육지와 인접해 있어 육상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최근 인구증가 및 산업 발달로 인하여 오염물질 발생량도 크게 증가하여 패류의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Lipp and Rose, 1997), 또한 낚시 등 여가활동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분변을 비롯한 오염물질이 해역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강진만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와 육상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는 완충해역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재평가하고, 또한 최근 3년간 (2007년~2009년) 실시한 위생조사 결과가 우리나라 및 미국의 패류생산해역 관리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 결과는 향후, 육상에서 발생하는 오염원 (공장 오폐수, 생활하수 및 축산 분뇨 등)에 의한 조사 해역의 위생 안전성 답보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류의 특성은? 6 m로 주로 생산되는 패류는 굴, 피조개 등이다. 패류는 연안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이 활동을 통하여 먹이를 섭취한다. 이러한 패류의 특성 때문에 해수 중에 부유하는 병원성세균 및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위해물질들이 쉽게 체내에 축적이 이루어짐으로 (Cliver, 1988; Grimes, 1991) 오염된 패류의 섭취로 인한 식중독 사고 사례는 오래전부터 많이 보고가 되어 있다 (Feldhusen, 2000; Potasman et al.
남해 강진만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종류는? 남해 강진만은 경상남도의 남서부에 위치한 연안해역으로, 남해군, 사천시, 하동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반폐쇄성 내만이며, 평균수심은 3.6 m로 주로 생산되는 패류는 굴, 피조개 등이다. 패류는 연안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이 활동을 통하여 먹이를 섭취한다.
패류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해 미국에서는 패류생산해역의 위생상태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 , 1998) 패류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서식지의 위생관리가 대단히 중요하여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선진국에서는 패류생산해역의 위생상태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NSSP)에 준하여 해수 중의 분변계대장균 (fecal coliform)의 수에 따라 허가해역 (Approved area), 제한해역 (Restricted area), 금지해역 (Prohibited area) 및 폐쇄해역 (Closed area)등으로 구분하며, 각 등급해역 사이에는 조건부 해역을 두고 있다 (U.S. FDA, 2007). 또 유럽연합에서는 날것으로 섭취할 수 있는 이매패류, 극피류, 피낭류 및 복족류의 미생물 기준으로 대장균 (Escherichia coli) 230 MPN/100 g 이하, Salmonella25 g중 음성으로 규정하고 있다 (European Commissio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l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7. 

  2. Chang DS, Jeong ET, Yu HS, Lee EW and Lim SM. 1998.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1, 77-81. 

  3. Cliver, DO. 1988. Virus transmission via foods. Food Technol 42, 241-248. 

  4.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sation of official controls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 J Eur Communities L155, 206-321. 

  5. European Commission. 2005. Commission Regulation (EC) No 2073/2005 of 15 November 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tuffs. Off J Eur Union L338, 1-23. 

  6. Feldhusen F. 2000. The role of seafood in bacterial foodborne diseases. Microbes Infect 2, 1651-1660. 

  7. Grimes DJ. 1991. Ecology of estuarine bacteria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 A review. Estuaries 14, 345-360. 

  8. Ha KS, Shim HK,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9-455. 

  9. Kim SJ. 1975. Sanitary studies of oysters and growing area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cy 14, 1-79. 

  10.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JH, Park JH, Kim JD and Son KT. 2007.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 J Fish Sci Technol 11, 7-14. 

  11.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5. ISO/TS 16649-3. Microbiology of Food and Animal Feeding Stuffs. Horizontal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Beta-Glucuronidse-positive Escherichia coli. Part 3: Most Probable Number Technique Using 5-Bromo-4-chloro-3-indolyl-beta-D-glucuronide. ISO, 1-8. 

  12. Legnani P, Leoni E, Lev D, Rossi R, Villa GC and Bisbini P. 1998. Distribution of indicator bacteria and bacteriophages in shellfish and shellfish growing waters. J Appl Microbiol 85, 790-798. 

  13. Lipp EK and JB Rose. 1997. The role of seafood in the foodbro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v Sci Technol Off Int Epizoot 16, 620-640. 

  14. MOMAF. 2002. Sanitary criteria of producing?processing facilities and sea water area for fisheries products. The notification of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Article, 2002-74. 

  15. Potasman I, Paz A and Odeh M. 2002. Infectious outbreaks associated with bivalve shellfish consumption: A worldwide perspective. Clin Infect Dis 35, 921-928. 

  16. Shim KB, Ha KS,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Kor J Fish Sci 42, 442-448. 

  17.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 J Fish Aquat Sci 41, 155-162. 

  18.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Product-SpecificInformation/Seafood/FederalStatePrograms/NationalShellfishSanitationProgram/defaultht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