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생장에 따른 영양염과 CO2 흡수율 변화
Variations in Nutrients and CO2 Uptake with Growth of Undaria pinnatifida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6, 2010년, pp.679 - 686  

심정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황재란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재성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종현 (국립수산과학원 양식관리과) ,  김성수 (해양환경관리공단 기후수질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macroalgae to biogeochemical nutrients and carbon cycles, we measured the uptake rates of nutrients and $CO_2$ by Undaria pinnatifida using an incubation method in an acrylic chamber. From January to March 2010, U. pinnatifida was sampled at Ilkwang, 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산시 기장군 일광해역에서 생산되는 미역을 대상으로 영양염과 탄소 흡수율을 자연조건과 유사한 환경에서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해역 환경평가 및 적지 선정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 탄소순환에 해조류가 기여하는 바를 추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한편 인류의 화석연료 사용으로 말미암은 대기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수온상승과 해양산성화와 같은 해양환경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나아가 해양환경에 의존하는 해조류의 성장및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측면에서 미역의 탄소 흡수율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미역에 의해 흡수되는 총 탄소량을 추정하기 위해 몇 가지 가정을 하였다; 1) 미역의 총생산량은 2008년 38만톤을 기준으로 함, 2) 탄소의 순흡수는 하루 중 12시간만 고려함, 3) 미역의 평균 생장 기간을 150일이라 하고, 그 기간 평균 현존량은 최종 생산량의 약 30∼50%로 계상함. 이때 세 번째 가정은 Lee and Sohn (1993)이 측정한 생장에 따른 중량 증가에 근거하여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를 용존산소 발생율로부터 간접 계산하는 방법의 특징은? 그동안 해조류에 의한 이산화탄소흡수는 직접 측정하기가 쉽지 않아, 용존산소 발생율로 부터 간접 계산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해조류의 종류별로 또는 환경특성에 따라 용존산소 발생 대 이산화탄소흡수 동화율이 다르므로, 직접 측정을 통해 정확한 흡수율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질산염을 비롯한 영양염은 해양환경에서 해역에 따라, 시기에 따라 결핍될 수 있는 성분이며, 이에 의한 해조류의 생장 및 흡수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수 보고되었다 (Ozaki et al.
미역의 분류학적 위치는? 미역 (Undaria pinnatifida)은 갈조식물문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며, 일본과 우리나라 연안의 조하대에 분포하고 이형 세대교번으로 번식하는 단년생으로, 주된 수확 시기는 겨울부터 초여름에 이른다. 우리나라 해조류 생산 중 최대량을 차지 하는 미역은 2008년 기준 약 38만 톤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해조류 총생산의 41.
해조류 생산량 증가의 원인은?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해조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이와 마찬가지로 2008년 생산량이 2000년 대비 약 150% 증가하였다. 이 같은 해조류 생산량 증가의 원인으로는 식량 및 사료로 이용, 생리활성물질 추출 등의 용도와 함께 바이오 연료 (biofuel)의 재료, 즉 바이오매스로 생산하고자 하는 연구와 산업 활동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된다.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 산업은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사안이 있지만, 기존의 옥수수, 밀 등의 식량을 재료로 하는 바이오연료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일본 등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엄청난 연구비를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Shi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O, Petrell RJ and Harrison PJ. 1998. Ammonium and nitrate uptake by Laminaria saccharina and Nereocystis luetkeana originating from a salmon sea cage farm. Applied Phycology 10, 333-340. 

  2. Ale MT, Mikkelsen JD and Meyer AS. 2010. Differential growth response of Ulva lactuca to ammonium and nitrate assimilation. J Appl Phycol DOI 10.1007/s10811-010-9546-2. 

  3. APHA, AWWA, WEF. 2005. Preparing organisms for toxicity tests. I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 wastewater. Eaton AD, Clesceri LS, Rice EW and Greenberg AE, eds. Port City Press, Baltimore, Maryland, U.S.A., 8-14 

  4. Choi C-G, Kim H-G and Jun B-O. 1994. On the nitrate uptake in Ulva pertusa Kjellman. Korean J Phycology 9, 247-253. 

  5. DeBaer JA 1981. Nutrients. In The Biology of Seaweeds, CS Lobban and MJ Wynne (eds). Blackwell, Oxford, England, 356-391 

  6. Haines KC and Wheeler PA. 1978. Ammonium and nitrate uptake by the marine macrophyte Hypnea musciformis (Rhodophyta) and Macrocystis pyrifera (Phaeophyta). J Phycol 14, 319-324. 

  7. Jun B-O, Lee S-W and Kwon YM. 1996. On Ammonium uptake in Ulva pertusa Kjellam. Algae 11, 317-323. 

  8. Klenell M, Snoeijs P and Pedersen M. 2004. Active carbon uptake in Laminaria digitata and L. saccharina (Phaeophyta) is driven by a proton pump in the plasma membrane. Hydrobiologia 514, 41-53. 

  9. Kim JK, Kraemer GP, Neefus CH, Chung IK and Yarish C. 2007. Effect of temperature and ammonium on growth, pigment production and nitrogen uptake by four species of Porphyra (Bangiales, Rhodophyta) native to the New England coast. J Appl Phycol 19, 431-440. 

  10. Kim YH. 1996. The biology of marine plants. Hyungseol Press, Seoul, Korea, 93-127. 

  11. Korb RE and Gerard VA. 2000. Nitrogen assimilation characteristics of polar seaweeds from differing nutrient environment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98, 83-92. 

  12. KORDI. 2010. Guide to best practices for Ocean $CO_2$ measurements. Bumsin Press, Ansan, Korea, 73-90. 

  13. Lee KY and Sohn CH. 1993.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two forms of sea mstard, Undaria pinnatifida f. distans and U. pinnatifida f. typica. Aquaculture 6, 71-87. 

  14. Lewis E and Wallace DWR. 1998. Program Developed for $CO_2$ System Calculations. ORNL/CDIAC-105. Carbon Dioxide Information Analysis Center,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US Department of Energy, Oak Ridge, TN, http://cdiac.esd.ornl.gov /oceans/co2rprt.html. 

  15. Martiez-Arago JF, Hernadez I, Peez-Llores JL, Vaquez R and Vergara JJ. 2002. Biofiltering efficiency in removal of dissolved nutrients by three species of estuarine macroalgae cultivated with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waste waters 1. Phosphate. Applied phycology 14, 365-374. 

  16. MLTM and NFRDI. 2010. Annual monitoring report of Korean marine environment 2009. 14, 53-306. 

  17. NFRDI. 2009. A report on development of technics for biomass and mass production of macroalgae. 573-580. 

  18. Neori A, Msuya FE, Shauli L, Schuenhoff A, Kopel F and Shpigel M. 2003. A novel three-stage swaweed (Ulva lactuca) biofilter design for integrated mariculture. Applied Phycology 15, 543-553. 

  19. Ozaki A, Mizuta H and Yamamoto H. 2001.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nutrient uptakes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and Laminaria japonica (Phaeophyceae). Fisheries Science 67, 415-419. 

  20. Parsons TR, Maita Y and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England, 173. 

  21. Rees TAV. 2007. Metabolic and ecological constraints imposed by similar rates of ammonium and nitrate uptake per unit surface area at low substrate concentrations in marine phytoplankton and macroalgae. J Phycol 43, 197-207. 

  22. Shin YT. 2010. Problems for using macroalgae biomass. Marine Industry Trend KMI e-journal 12, 1-5. 

  23. Takahashi et al. 2009. Climatological mean and decadal change in surface ocean $pCO_2$ , and net sea-air $CO_2$ flux over the global oceans. Deep Sea Research II 56, 554-577. 

  24. Taylor RB, Peek JTA and Rees TAV. 1998. Scaling of ammonium uptake by seaweeds to surface area:volume ratio:geographical variation and the role of uptake by passive diffusion.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69, 143-148. 

  25. Tyler AC and McGlathery KJ. 2006. Uptake and release of nitrogen by the macroalgae Gracilaria vermiculophylla (Rhodophyta). J Phycol 42, 515-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