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는 2006년 10월에 출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방문자 수 등의 수치적인 성장과 함께 마이크로 블로깅(micro blogging)이라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의 양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me2day 등 '토종' 서비스가 등장했을 뿐 아니라,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접근성이 마이크로 블로그의 확산을 자극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마이크로 블로그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예비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내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트위터 사용자 로그를 수집, 분석했다. 특히, 트위터라는 '외산' 서비스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단적으로 활발하게 이용하는 "익스트림 헤비 유저"에 주목하여, 이들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어떤 방식으로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는지 검토했다. 먼저,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을 수집하여 팔로우와 메시지 작성 활동의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표본 가운데에는 총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가 있었고, 이들의 2010년 1월 중 일주일치의 실제 트위터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에 접근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과 유사한 패턴으로 이용하되, 생활 속에서 "촘촘한(micro)" 시간 간격으로 꾸준히 많은 양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중요한 정보, 특별한 이벤트나 감정을 다룰 뿐 아니라, 습관적으로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이들은 마치 SMS나 인터넷 메신저처럼 일종의 '대화의 도구'로써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수집기간 중 이들이 작성한 트윗의 68%가 대화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머지 중 24%는 리트윗으로, 가상적으로(virtually) 연결된 '사람' 및 '관계'가 발화의 지배적인 동인(trigger)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트위터는 2006년 10월에 출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방문자 수 등의 수치적인 성장과 함께 마이크로 블로깅(micro blogging)이라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의 양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도 me2day 등 '토종' 서비스가 등장했을 뿐 아니라, 향상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접근성이 마이크로 블로그의 확산을 자극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마이크로 블로그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예비 연구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국내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트위터 사용자 로그를 수집, 분석했다. 특히, 트위터라는 '외산' 서비스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단적으로 활발하게 이용하는 "익스트림 헤비 유저"에 주목하여, 이들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어떤 방식으로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는지 검토했다. 먼저,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을 수집하여 팔로우와 메시지 작성 활동의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표본 가운데에는 총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가 있었고, 이들의 2010년 1월 중 일주일치의 실제 트위터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에 접근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과 유사한 패턴으로 이용하되, 생활 속에서 "촘촘한(micro)" 시간 간격으로 꾸준히 많은 양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중요한 정보, 특별한 이벤트나 감정을 다룰 뿐 아니라, 습관적으로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이들은 마치 SMS나 인터넷 메신저처럼 일종의 '대화의 도구'로써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수집기간 중 이들이 작성한 트윗의 68%가 대화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머지 중 24%는 리트윗으로, 가상적으로(virtually) 연결된 '사람' 및 '관계'가 발화의 지배적인 동인(trigger)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witter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since October, 2006. Especially, not only the users and the number of messages have been increasing but also a new concept in social networking called 'micro blogging' has diffused. Within Korea, service such as 'me2day'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nd the impro...
Twitter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since October, 2006. Especially, not only the users and the number of messages have been increasing but also a new concept in social networking called 'micro blogging' has diffused. Within Korea, service such as 'me2day'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nd the improvement of internet accessibility within mobile devices is expected to expand the 'micro blog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is executed to study the new medium, 'micro blog'. To do so, we collected and analyzed Twitter logs of Korean users. Especially, we were curious about the extreme heavy users using Twitter, despite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 of the foreign service. Who they are, why and how they use the 'micro blog'. First, we reviewed the general aspect of followers and messages by collecting a certain number of random samples. Using the Lorenz curve we found out that there was the imbalance within the users and based on this phenomenon we deducted an extreme heavy user group. In order to perform further analysis, log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xtreme heavy users. As the result, the users used multiple mobile and desktop 'Twitter' clients. The usage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internet usage time but was used during their "micro" time. The users using 'Twitter' not only to spread messages about important information, special events and emotions, but also as a habitual 'chatting tool' to express ordinary personal chats similar to SMS and IM services. In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at 68% of the total messages were ordinary personal chats. Also, with 24% of the total messages were retweet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virtually connected 'people' and 'relationships' acted as the dominant trigger of their articulation.
Twitter has been continuously growing since October, 2006. Especially, not only the users and the number of messages have been increasing but also a new concept in social networking called 'micro blogging' has diffused. Within Korea, service such as 'me2day' has already been introduced and the improvement of internet accessibility within mobile devices is expected to expand the 'micro blog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is executed to study the new medium, 'micro blog'. To do so, we collected and analyzed Twitter logs of Korean users. Especially, we were curious about the extreme heavy users using Twitter, despite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 of the foreign service. Who they are, why and how they use the 'micro blog'. First, we reviewed the general aspect of followers and messages by collecting a certain number of random samples. Using the Lorenz curve we found out that there was the imbalance within the users and based on this phenomenon we deducted an extreme heavy user group. In order to perform further analysis, log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xtreme heavy users. As the result, the users used multiple mobile and desktop 'Twitter' clients. The usage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internet usage time but was used during their "micro" time. The users using 'Twitter' not only to spread messages about important information, special events and emotions, but also as a habitual 'chatting tool' to express ordinary personal chats similar to SMS and IM services. In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at 68% of the total messages were ordinary personal chats. Also, with 24% of the total messages were retweet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virtually connected 'people' and 'relationships' acted as the dominant trigger of their articula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국내에서도 iPhone의 도입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었고 이로 인해 모바일을 통한 웹 접근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는 이처럼 웹과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크로스-플랫폼이 이슈인 지금(now), 가벼움(light-weight), 간결함(micro)을 내세운 마이크로 블로그를 사용자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2006년에서 2007년 사이에 Jaiku, Twitter, Tumblr, Pownce 등 다양한 마이크로 블로그 서비스들이 등장했는데, 여기에서는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 성장하고 있는 트위터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 방식을 통해 강참여자 그룹을 도출했다. 이용자의 팔로잉 리스트로부터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고 이 단계를 두 번 반복함으로써, 확률적 무작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최초의 시드(seed)가 되는 이용자는 트위터 사용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사이트인 Twittercounter.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윗 작성의 정도, 구체적으로는 일평균 작성 트윗 수를 기준으로 헤비 유저 그룹을 선정하고자 했다. 그림 3.
특히, 트위터라는 ‘외산’ 서비스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단적으로 활발하게 이용하는 “익스트림 헤비 유저”에 주목하여, 이들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어떤 방식으로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는지 검토하고자 했다.
제안 방법
이를 위해 먼저,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을 수집하여 팔로우와 메시지 작성 활동의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표본 가운데에는 총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가 있었고, 이들의 2010년 1월 중 일주일치의 실제 트위터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 방식을 통해 강참여자 그룹을 도출했다. 이용자의 팔로잉 리스트로부터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고 이 단계를 두 번 반복함으로써, 확률적 무작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트위터는 본래의 웹 인터페이스 외에도, 오픈 API를 활용해서 만들어진 Seesmic, TweetDeck, Twitpic 등의 별도의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설문을 통해 익스트림 헤비 유저들이 트위터에 접근하는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확인한 뒤에, 수집한 일주일간의 트윗 로그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했다. 그 결과 데스크탑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활용하되, 상대적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들의 2010년 1월 16일부터 1월 22일에 걸친 일주일간의 트윗 로그를 수집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했다. 개별 트윗이 업로드되는 시점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x축 위에 표시하여 트위터 이용패턴을 살펴보았다.
동시에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들의 2010년 1월 16일부터 1월 22일에 걸친 일주일간의 트윗 로그를 수집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했다. 개별 트윗이 업로드되는 시점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x축 위에 표시하여 트위터 이용패턴을 살펴보았다. 시계열 분석은 과거에 발생한 사건 혹은 과거의 패턴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한 자료의 수집 기간과 그 기간 내의 자료가 지니는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마이크로 블로그와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트위터의 특징 및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국내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트위터 사용자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해 보았다. 특히, 트위터라는 ‘외산’ 서비스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단적으로 활발하게 이용하는 “익스트림 헤비 유저”에 주목하여, 이들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어떤 방식으로 마이크로 블로그를 이용하는지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작위 추출 방식으로 일정 수준의 표본을 수집하여 팔로우와 메시지 작성 활동의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여기서 로렌츠 커브를 적용하여 활동의 쏠림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 곡선을 토대로 국내 트위터 강참여자 집단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보한 표본 가운데에는 총 6명의 익스트림 헤비 유저가 있었고, 이들의 2010년 1월 중 일주일치의 실제 트위터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용자의 팔로잉 리스트로부터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고 이 단계를 두 번 반복함으로써, 확률적 무작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최초의 시드(seed)가 되는 이용자는 트위터 사용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는 사이트인 Twittercounter.com에서 표준시간대 설정이 서울로 되어 있는 상위 100명의 사용자 가운데서 무작위로 선정했다. 그림 1.
com에서 표준시간대 설정이 서울로 되어 있는 상위 100명의 사용자 가운데서 무작위로 선정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시드를 팔로우하는 유저 목록에서 열 명에 한 명씩 총 10명의 유저를 1단계 샘플로 표집하고, 이들 10명의 팔로잉 리스트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각 10명, 총 100명의 유저를 2단계 샘플로 표집하였다. 그림 1.
다음으로 트위터 API를 이용하여 이렇게 확보된 83명의 트위터 기본 프로필, 즉 팔로잉 및 팔로워 수와 업로드한 트윗의 수, 트위터 가입일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문 아래의 4.
1에서 상술하고 있는데, 이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헤비 유저의 수준을 넘어서 “익스트림 헤비 유저(extreme heavy user)”로 볼 수 있는 일련의 이용자 그룹을 확인했다. 여기서 본 연구는 다음 과정에서 이러한 국내 트위터 익스트림 헤비 유저의 트위터 이용 양상을 검토하기로 하고 표본 내에서 이들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 총 6명의 일주일치 트윗 로그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트위터를 통해 접촉하여 기초적인 인구통계정보를 제공받았다.
성능/효과
결과적으로 이들은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트위터에 접근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이용 시간과 유사한 패턴으로 이용하되, 생활 속에서 “촘촘한(micro)” 시간 간격으로 꾸준히 많은 양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Haewoon Kwak 등[4]의 연구에서는 약 4,170만 명의 유저 프로필과 1억 6백만 개의 트윗을 수집, 분석하여 트위터 유저의 팔로워 수와 PageRank 수, 리트윗(Retweet) 의 개수가 트위터 내에서의 영향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혀내었다. 그 결과 팔로워 수, PageRank의 순위는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리트윗(Retweet)은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요소와는 다른 결과를 보이며 트위터 내의 영향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밖에도 커뮤니티 안에서 트위터가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5].
무작위 추출된 통해 수집한 표본 83명을 트위터 활동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팔로잉, 팔로워, 일평균 트윗 작성 수에 따라 그래프의 x축 위에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본 결과 그림 2.와 같이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의 형태로 나타났다.1) 경제학에서 소득분포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진 본래의 로렌츠 곡선에서는 소득이 적은 하위계층에서부터 소득 순위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것이었다.
와 같이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의 형태로 나타났다.1) 경제학에서 소득분포의 불평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진 본래의 로렌츠 곡선에서는 소득이 적은 하위계층에서부터 소득 순위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것이었다. 여기에서는 트위터 이용 정도가 활발한 상위권으로부터 하위권으로 늘어놓았다는 점에서 원래 로렌츠 곡선을 좌우로 뒤집어 놓은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업로드한 트윗의 수는 하나의 표본을 제외하고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표본들의 트위터 가입날짜가 다르기 때문에 트윗의 절대적인 숫자는 큰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트위터 가입날짜를 기준으로 일평균 트윗의 수를 보면 평균 139개의 트윗을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6명의 표본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간단한 설문을 통해 익스트림 헤비 유저들이 트위터에 접근하는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확인한 뒤에, 수집한 일주일간의 트윗 로그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분석했다. 그 결과 데스크탑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활용하되, 상대적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3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트윗을 작성하고 있었다.
또한, 평균 3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트윗을 작성하고 있었다. 즉 플랫폼, 디바이스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적극적으로 시험 사용해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계열 분석은 과거에 발생한 사건 혹은 과거의 패턴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가정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수집한 자료의 수집 기간과 그 기간 내의 자료가 지니는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Tweetstats.com에서 제공하는 가입일자로부터 자료 요청 당일까지 트위터 유저의 요일별 이용량 평균값과 비교함으로써, 이렇게 도출된 평균값과 수집기간동안 표집한 로그 데이터의 요일별 패턴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아래의 그림 4.
의 검은색 곡선은 2009년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시행한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중 직장인의 평일 인터넷 이용시간을 나타낸 그래프[10]이다. 두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인터넷 이용시간과 트윗 작성 빈도의 밀도 사이에 약하지만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 이용시간이 감소하는 B블록은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퇴근시간으로 다른 시간대에 비해 트윗 작성 빈도가 줄어들었고 인터넷 이용시간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C지점(오후 10시부터 오전 12시)에 트윗 업로드도 함께 증가했다.
두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인터넷 이용시간과 트윗 작성 빈도의 밀도 사이에 약하지만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 이용시간이 감소하는 B블록은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퇴근시간으로 다른 시간대에 비해 트윗 작성 빈도가 줄어들었고 인터넷 이용시간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C지점(오후 10시부터 오전 12시)에 트윗 업로드도 함께 증가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트위터 이용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사실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익스트림 헤비 유저의 일주일간 트윗 로그를 작성 시간, 이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메타정보외에 트윗 메시지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해 본 결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독백형(mono-tweet), 대화형(dialog), 리트윗(RT, retweet)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독백형 트윗은 특정인을 향하지 않는 메시지로 트위터에서 초기부터 제공하던 기본 형태를 지니고 있다.
본 실험에서 표집한 익스트림 헤비 유저는 남자 3명, 여자 3명으로 두 그룹 모두 독백형 트윗보다 대화형 트윗을 훨씬 많이 작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나머지 중 24%는 리트윗으로, 이 둘을 합친 것이 90%가 넘는다는 점에서 가상적으로(virtually) 연결된 ‘사람’ 및 ‘관계’가 트위터 상에서 발화의 지배적인 동인(trigger)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이들 ‘헤비 유저’들의 트위터 사용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본격적인 마이크로 블로그의 사용자 연구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만으로는 실제 사용자의 이용 행태나 미디어의 심층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어렵다. 본 연구 또한 이용자의 로그 데이터와 그 통계만으로 이용자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여기서 비교적 심층적으로 살펴 본 “익스트림 헤비 유저” 그룹의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과소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며, 그 이용패턴 또한 극단적임을 감안할 때 국내 트위터 유저의 특징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트위터에 대한 담론 및 연구가 거의 없는 시점에서, 앞서 이 매체를 활발히 사용하는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마이크로 블로그에 접근하는 연구의 가능성을 일부 시사하고 있다.2) 앞으로 트위터를 비롯한 마이크로 블로그 사용이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기존의 정량적 분석과 내용 분석 등 을 병행하여 보다 총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 블로그는 무엇을 말하는가?
마이크로 블로그는 문자 그대로 ‘간결한(brief)’ 형태의 블로그를 말한다. 보통의 블로그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사진, 오디오 클립, 비디오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글을 작성할 수 있지만, 개별 포스트의 데이터 크기는 기존 블로그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트위터는 언제 출시 되었는가?
트위터는 2006년 10월에 출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방문자 수 등의 수치적인 성장과 함께 마이크로 블로깅(micro blogging)이라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의 양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마이크로 블로그의 간결함의 특징으로 주목할 만한 일차적 양상은?
이러한 ‘간결함’이라는 특징은 두 가지 주목할 만한 양상으로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블로그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사용자 부담을 줄여주어 보다 신속하고 빈번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마이크로 블로그가 기존의 다양한 형태 및 층위의 매체에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