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봉형과 소하성 개체군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바다빙어과)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of Hypomesus nipponensis (Osmer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2 no.4, 2010년, pp.249 - 255  

변화근 (서원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빙어(Hypomesus nipponensis)의 육봉형과 소하성 개체군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소양호와 향호에서 조사하였다. 육봉형인 소양호 개체군과 소하성인 향호 개체군에 있어 두 집단 간에 형태적 차이는 유사하였다. 산란시기는 육봉형인 소양호에서는 3월이었고 소하성 향호에서는 2월말이었다. 성적으로 성숙하여 생식이 가능한 크기는 전장이 60mm 이상되는 개체로 육봉형과 소하성 개체군에 있어서 동일하였다. 생식소 지수는 육봉형 집단(암컷 20.5%, 수컷 3.7%)이 소하성 집단(암컷 17.4%, 수컷 3.3%)에 비해 다소 높았다. 포란수는 육봉형 개체군(평균 4,902개)이 소하성 개체군(평균 7,325개)에 비해 매우 적었고 육봉형 개체군이 소하성 개체군에 비해 전장도 매우 작았었다. 소양호 개체군의 비만도는 평균 0.60(0.49~0.74)이었고 향호의 비만도는 0.70 (0.47~0.76)이었다. 먹이생물은 동물플랑크톤과 수서곤충이었으며 향호에 서식하는 개체군이 소양호 개체군에 비해 먹이의 크기가 큰 것을 주로 섭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of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vestigated from December 2008 to April 2009 in the Soyangho (landlocked population) and Hyangho (anadromous population).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landlocked and anadromous population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산 빙어에 대한 연구는 분류학적 연구와 산란, 발생 등에 관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나 이식 방류되어 적응한 육봉형과 소하성(anadromous type) 개체군에 대한 형태적 및 생태적 차이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겨울철에 식용으로 많이 이용됨으로써 경제성이 매우 높은 육봉형과 소하성 빙어의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육봉형 개체군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겨울철에 식용으로 많이 이용됨으로써 경제성이 매우 높은 육봉형과 소하성 빙어의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육봉형 개체군의 안정적인 서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ypomesus olidus와 한국산 빙어의 차이는 무엇인가? Hypomesu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아종을 포함하여 5종이 분포하며 이들 어류는 부레와 장이 연결되는 관의 위치에 따라 부레의 전단보다 약간 뒤쪽에 장과 연결된 관이 있는 종은 Hypomesus olidus에 해당된다(McAllister, 1963). 한국산 빙어는 대부분 부레의 전단에서 장으로 연결되어 H. olidus와 차이를 보이며 척추골수는 집단별로 큰 차이 없이 대부분 56~59개로 확인되었다(김, 1997). 윤 등(1999)과 김 등(2005)은 한국산 빙어의 학명을 H.
빙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 어종인가? 빙어(Hypomesus nipponensis)는 바다빙어과(Osmeridae) 바다빙어목(Osmeriformes)에 속하는 어종이다. Hypomesu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아종을 포함하여 5종이 분포하며 이들 어류는 부레와 장이 연결되는 관의 위치에 따라 부레의 전단보다 약간 뒤쪽에 장과 연결된 관이 있는 종은 Hypomesus olidus에 해당된다(McAllister, 1963).
Hypomesus 속의 어류 중 부레의 전단보다 약간 뒤쪽에 장과 연결된 관이 있는 종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빙어(Hypomesus nipponensis)는 바다빙어과(Osmeridae) 바다빙어목(Osmeriformes)에 속하는 어종이다. Hypomesu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아종을 포함하여 5종이 분포하며 이들 어류는 부레와 장이 연결되는 관의 위치에 따라 부레의 전단보다 약간 뒤쪽에 장과 연결된 관이 있는 종은 Hypomesus olidus에 해당된다(McAllister, 1963). 한국산 빙어는 대부분 부레의 전단에서 장으로 연결되어 H.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p. 339-341. 

  2.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 국어류도감. (주)교학사, pp. 149-151. 

  3. 변화근. 2007. 동해안 석호의 생태계교란 야생동.식물퇴치방안. 강원도, pp. 73-89. 

  4. 유봉석. 1974. 운암저수지산 빙어의 생태연구. 한국육수학회지, 7: 1-6. 

  5. 유봉석.이경로. 1981. 한국산 빙어의 지리적 형태변이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4: 179-188. 

  6.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교육부, pp. 95-551. 

  7.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pp. 7-218. 

  8. 윤창호.김익수.이완옥. 1999. 한국산 빙어속(Genus Hypomesus)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어류학회지, 11: 149-154. 

  9. 정문기. 1961. 한국동물도감 어류. 문교부, pp. 159-160. 

  10. 조규송. 1993. 한국담수동물플랑크톤도감. 아카데미서적, pp. 436. 

  11.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2002. 개정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pp. 143-144. 

  12. 최기철.최신석.홍영표. 1990. 일차담수어(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미세분포에 관하여. 한국어류학회지, 2: 63-76. 

  13.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 95-104. 

  14. 한경호.이승주.김용억.명정구. 1996. 빙어의 난발생과 자어의 형태 발생. 한국수산학회지, 29: 497-502. 

  15.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Murphy B.R. and D.W. Willis (eds.), Fisheries Techniques, 2nd ed., American, pp. 447-482. 

  16.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17. Hubbs, C.L. and K.F. Lagler. 1964. Fish of the Great Lake region. Univ. Michigan Press, Ann Arbor, pp. 19-26. 

  18. McAllister, D.E. 1963. A revision of the smelt family Osmeridae. Nat. Mus. Canada Bull., 191: 1-53. 

  19. Mizuno, T. 1977.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plankton of Japan. Hoikusha, Osaka, pp. 82-231. 

  20.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Tokyo, p. 1162. 

  21.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1pp. 

  22. 內田惠太郞. 1939. 朝鮮魚類誌.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6: 1-460. 

  23. 川那部浩哉.水野信彦. 1989. 日本の淡水魚. 山と溪谷社, pp. 60-65. 

  24. 藤本政男. 1928. わかさぎ移殖實驗. 朝鮮總督府水試. p. 472. 

  25. 白石芳一.德永英松. 1958. 相模湖におけるワカサギの産卵環境について淡水硏究. p. 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