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두 발효물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두피케어에 관한 최신 동향
Current Trend of Scalp Care Technology of Microneedle Using Fermented Soybea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6 no.4, 2010년, pp.241 - 251  

김은주 ((주)인투메디 생명과학연구소) ,  정현기 ((주)인투메디 생명과학연구소) ,  김성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몇 년 동안 탈모로 인해 우울증을 경험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탈모 관련 치료법도 임상의학이나 외과적인 수술법과 같이 전문화되고 있다. 탈모 방지와 발모를 촉진하기 위한 시술법과 소재들이 있으나 그 효능, 효과가 뛰어나지 못하고 일부는 부작용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총설의 마이크로니들 시술법은 약물의 흡수를 촉진시켜주는 매우 작고 섬세한 니들을 이용한 시술법이다. 이 시술을 하는 동안 마이크로니들이 두피 내부로 약물의 흡수를 도와주는 마이크로 홀을 만들어 준다. 마이크로니들 시술 약물의 주요성분으로 대두 발효물질을 분석하였으며 대두 발효 소재는 탈모증에 항산화, 항안드로겐, 항혈전의 기능을 가진다. 대두 발효물의 흡수를 증가시켜주는 마이크로니들의 우수한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인하여 대두 발효물이 마이크로니들과 함께 사용될 때 복잡한 탈모기전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 시술법은 탈모증을 방지하고 관리하며 개선시켜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두피케어법이며 일반적인 두피관리법 보다 더 빠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차별화된다. 대두 발효물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시술법은 두피케어를 위한 진일보한 기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due to hair loss has been increasing. The treatment methods such as clinical pathology and vanity surgery have been developed. There are therapies and materials for hair growth promotion and hair loss prevention. But the effectivenes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마이크로니들 시술에 적합한 전문적인 소재, 마이크로니들의 적용법 등의 기술 부재로 활용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과 대부분 얼굴이나 바디에 한정되어 있어서 두피에 적합한 관련 연구개발이 필요한 시점이었다. 본 총설에서는 이 시술법과 병행하여 사용되는 소재로 탈모 방지 질환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두를 분석하였다. 대두는 isoflavone과 각종 항산화(antioxidant) 물질, 모발의 케라틴(keratin) 조직과 유사한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6].

가설 설정

  • b: Amino acid composition of fermented soybean by lactic acid bacteri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증이 나타나는 연령이 낮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외형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탈모는 외적 표현에 가장 큰 장애요소이며 질병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다방면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서구화된 식생활과 내․외적 원인에 의해 탈모 연령이 중년 이후의 남성이나 갱년기 이후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에서 20 ∼ 30대 연령까지 낮아지고 있다. 탈모로 인해 우울증을 경험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clinical pathology와 vanity surgery의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치료법도 전문화되고 있다.
효능이 입증된 탈모증 치료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부 효능이 입증된 탈모증 치료제는 FDA에서 공인 받은 minoxidil과 finasteride가 있으며 Upjohn사에서 개발한 minoxidil은 말초혈관 확장 및 모낭 상피 세포의 성장을 돕고 발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두피 건조, 소양감, 홍반과 같은 두피 자극 증상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 보고되고 있다[2,3]. Merck Sharp & Dohme사의 finasteride는 남성호르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임부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사용이 제한되며 복용을 중단할 경우 치료 효과는 사라질 수 있다[2].
현재 국내 탈모 인구수는? 국내 탈모 인구는 2007년에 800만 명에서 2008년에는 900만 명까지 증가하고 현재는 1,000만 명까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탈모 방지 및 발모제 관련 시장 규모는 2005년 약 5천억 원대였으며, 2006년에는 1조원대로 성장하였고 2010년에는 2조원대의 거대 시장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L. Lee and E. J. Im, Analysis and forecast of domestic market for hair loss, KOSAC, 7(1), 153 (2009). 

  2. B. J. Ha, Studies on the cause of alopecia and its research trends, J. Beau. Tricho., 2(3), 5 (2006). 

  3. C. V. Fiedler-Weiss, D. P. West, C. M. Buys, and J. A. Rumsfield, Topical minoxidil dose-response effect in alopecia areata, Arch. Dermatol., 122(2), 180 (1986). 

  4. J. P. Bureau, P. Ginouves, J. Guilbaud, and M. Roux, Essential oils and low-intensity electromagnetic pulses in the treatment of androgen- dependent alopecia, Advances in therapy, 20(4), 220 (2003). 

  5. S. Henry, D. V. McAllister, M. G. Allen, and M. R. Prausnitz, Microfabricated microneedle: a novel approach to transdermal drug deliverry, J. Pharm. Sci., 87, 922 (1998). 

  6. C. S. Lee and H. H. Kim, A study on the soybean effects for scalp hair treatment, J. Beau. Trich., 1(1), 77 (2005). 

  7. S. I. Kang and J. O. Lee, Research on patent trends of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regrowth, J. Beauty Art Society, 3(2), 127 (2009). 

  8. G. S. Oh and M. W. Kim, A study on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of hair loss treatment, J. Beauty Art Society, 2(2), 5 (2008). 

  9. E. Y. Choi, S. N. Park, S. U. Park, S. Choi, B. I. Ro, and M. H. Chung, Promoting effect of a mixture of 8 herbal extracts (SPELA 707) on hair growth, J. Physiol. Pharmacol., 7(2), 91 (2003). 

  10. S. Liao, J. Lin, M. T. Dang, H. Zhang, Y. H. Kao, J. Fukuchi, and R. A. Hiipakka, Growth suppression of hamster flank organs by topical application of catechins, alizarin, curcumin, and myristoleic acid, Arch. Dermatol. Res., 293(4), 200 (2001). 

  11. H. S. Cho,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elderly in the last 6 month of life, Ph. D. Dissertation, Yonsei Univ., Seoul, Korea (2002). 

  12. E. M. Lee, The effect of microneedle therapy system on the hair loss alleviation for men in their 20s to 30s, Ph. M.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2009). 

  13. E. J. Im and J. Y. Lee, Hair mineral analysis of male and female pattern alopecia, J. Soc. Cosm., 13(3), 1206 (2007). 

  14. B. S. Atiyeh, A. E. Ibrahim, and S. A. Dibo, Cosmetic mesotherapy: between scientific evidence, science fiction, and lucrative business, Aesth. plast. surg., 32(6), 842 (2008). 

  15. O. S. Gwon, The effect of microneedle mesotherapy and carboxy therapy for collagen rejuvenation and skin scar, Ph. M. Dissertation, Korea Univ., Seoul, Korea (2009). 

  16. G. S. Khang, W. Y. Jang, M. S. Kim, H. B. Lee, and H. G. Lee, Microneedle system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Polymer Sci. Tech., 16(4), 486 (2005). 

  17. H. N. Song and G. S. Chu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s soybean by lactic acid bacteria, J. Food. Sci. Technol., 38(4), 475 (2006). 

  18. A. Wiewiora and E. Buszman, Amino acid composition of human hair melanoproteins, Acta Biochim. Pol., 39(1), 81 (1992). 

  19. H. P. Lundgrn and W. H. Ward, Ultrastructure of protein fibre, 39, Academic press, New York (1963). 

  20. T. Izumi, M. K. Piskula, S. Osawa, A. Obata, K. Tobe, M. Saito, S. Kataoka, Y. Kubota, and M. Kikuchi, Soy isoflavone aglycones are absorbed faster and in higher amounts than their glucosides in humans, J. Nutr., 130, 1695 (2000). 

  21. N. Nakajima, N. Nozaki, K. Ishihara, A. Ishikawa, and H. Tsuji, Analysis of isoflavone content in tempeh, a fermented soybean, and preparation of a new isoflavone-enriched tempeh, J. Biosci. Bioeng., 100(6), 685 (2005). 

  22. H. Loffler and R. Happle, Profile of irritant patch testing with detergents: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laureth sulfate and alkyl polyglucoside, Contact Dermatitis, 48(1), 26 (2003). 

  23. T. Fujimoto, New introduction to surface active agents, 32,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ress, Kyoto (1981). 

  24. W. S. Choi, J. H. Lee, S. H. Moon, G. W. Kim, N. Y. Go, J. D. Kim, D. G. Kim, H. Song, H. J. Park, E. H. Jeong, S. Y. Chae, S. G. Choe, J. H. Ji, H. R. Kim, E. G. Shin, and S. E. Cha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materials and atopic dermatitis in animal model, KFDA, Seoul, Korea (2007). 

  25. H. Kim, A study on skin irritation of surfactant. J. Appl. Chem. Eng., 3, 201 (1993). 

  26. J. S. Koh, S. S. An, and J. H. Park, In vitro test using chorioallantoic membrane vascular assay to assess the irritancy potential of surfacta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1(1), 67 (1995). 

  27. W. S. Lee, Scalp managing apparatus using for micro needle, Kor. Patent 2004391060000 (2007). 

  28. S. R. Oh, Transdermal drug delivery, JSBR, 8(1), 7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