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약물은 경구투여를 우선으로 한다. 그것은 환자에게 투여하기가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구투여를 하는 경우 인체에서 약물이 분해 및 흡수되면서 거치는 과정 중에 상당수가 없어지고 약효를 발휘하는 부분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다 보니 적절한 혈중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제 필요한 약물의 양보다 많은 양을 투여하게 되므로, 부수적으로 따라다니는 약의 부작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피부질환의 경우에는 약물의 흡수를 돕도록 하는 많은 첨가물과 함께 개발된 외용제가 있다. 대부분 크림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약효를 내는 용량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전신으로 흡수되는 양은 많지 않아 부작용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구강점막은 자연적인 barrier가 많은 피부와 달리 혈관까지 도달하는 길이가 짧고, 도포가 어려운 장점막과 달리 접근성이 용이하다. 따라서 도포용 약물의 개발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나 타액에 의해 많은 부분이 세척되어 없어지거나 타액속의 물질들로 인하여 변질이 일어나고 있어 피부와 같은 크림형 제제의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구강내 외용제는 그 수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도포용 약물을 개발하여 오래 구강점막에 부착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임상가들이 약물을 용액 형태로 사용하여 환자에게 도포하고 있다. 이러한 용액을 머금고 있다가 뱉어내게 하는 가글형태의 약물도포 또한 그 약효가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임상에서 도포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약물의 종류와 효과, 그리고 일반적인 경구투여 약물을 적절한 용해제를 선택하여 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기대할 만한 약효를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mon method for treating oral mucosal diseases is taking medication by oral administration. The oral administration is the method of least resistance. Because large part of drugs is degraded by liver, it is necessary to take more drugs getting to appropriate level in blood stream. And there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현재 임상에서 도포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약물의 종류와 효과, 그리고 일반적인 경구투여 약물을 적절한 용해제를 선택하여 용액으로 사용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기대할 만한 약효를 발휘할 수있을지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 mg을 하루 세번 국소적으로 도포했을 때 약 4주정도 지나면 통증조절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30) 이때 특별한 용매는 사용하지 않으며 구강내에서 침에 의해 녹게 하는데 약물의 적용후에 추가적인 부작용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약물이 구강내에서 작용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조직의 특징은? 구강조직은 혈관이 많이 발달되어 있고 점막의 투과도가 높으므로 약물을 국소적용 하기에는 아주 좋은 환경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구강점막으로 약물이 침투하기 용이한 조건을 찾아서 약물을 적용한다면 전신적인 부작용 없이 약물의 효능만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약물의 경구투여시 문제점은? 이는 손쉽게 투여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이 없어도 약물을 투약할 수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하지만 약물의 경구투여시에는 대사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약물용량보다 많은 약물을 투여하게 되며, 각 약물의 대사 경로에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부작용 또한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구강점막질환을 주로 호소하는 환자군은 그 연령층이 다소 높고, 전신적인 기저질환에 대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기가 가장 쉬운 방법은? 일반적으로 약물은 경구투여를 우선으로 한다. 그것은 환자에게 투여하기가 가장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ertam G., Katzung. Katzung's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2002, 대한의학서적, pp. 1-34. 

  2. Torres V, Lopes JC, Silva M, Soares AP. Transdermal contact dermatitis from nitroglycerin. Contact Derm 1990;23:265-265. 

  3. Tennstedt D, Lachapelle J. Allergic contact dermatitis from colophony in a nitroglyceri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ct Derm 1990;23:254-255. 

  4. Madhav NV, Shakya AK, Shakya P, Singh K. Orotransmucosal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J Control Release 2009;140:2-11. 

  5. 오승열. 경피약물전달. 한국피부장벽학회지 2006;8:76-82. 

  6. Hadgraft J. Passive enhancement strategies in topic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Int J Pharm 1999; 184:1-6. 

  7. Guy R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Pharm Res 1996;13:1765-1769. 

  8. Prausnitz MR, Bose VG, Langer R, Weaver JC. Electroporation of mammalian skin: A mechanism to enhance transdermal drug delivery. Proc Natl Acad Sci U S A 1993;90:10504-10508. 

  9. Chang SL, Hofmann GA, Zhang L, Deftos LJ, Banga AK. The effect of electroporation on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of calcium regulating hormones. J Control Release 2000;66:127-133. 

  10. Henry S, McAllister DV, Allen MG, Prausnitz MR. Microfabricated microneedles: A novel approach to transdermal drug delivery. J Pharm Sci 1999;88:948. 

  11. Gupta H, Bhandari D, Sharma A. Recent trends in oral drug delivery: A review. Recent Pat Drug Deliv Formul 2009;3:162-173. 

  12. Naik A, Kalia YN, Guy RH. Transdermal drug delivery: Overcoming the skin's barrier function. Pharm Sci Technolo Today 2000;3:318-326. 

  13. Kligman AM. Skin permeability: Dermatologic aspects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Am Heart J 1984;108:200-206. 

  14. Lee J, Lee SK, Choi YW.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permeability of porcine buccal mucosa. Arch Pharm Res 2002;25:546-549. 

  15. Shojaei AH. Buccal mucosa as a route for systemic drug delivery: A review. J Pharm Pharm Sci 1998; 1:15-30. 

  16. Squier CA. The permeability of oral mucosa. Crit Rev Oral Biol Med 1991;2:13-32. 

  17. Wertz PW, Squier CA. Cellular and molecular basis of barrier function in oral epithelium. Crit Rev Ther Drug Carrier Syst 1991;8:237-269. 

  18. Squier CA, Kremer MJ, Bruskin A, Rose A, Haley JD. Oral mucosal permeability and stability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3 in vitro. Pharm Res 1999;16:1557-1563. 

  19. Ganem-Quintanar A, Falson-Rieg F, Buri P. Con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to the permeability barrier of oral mucosa. Eur J Pharm Biopharm 1997;44:107-120. 

  20. Slomiany BL, Murty VL, Piotrowski J, Slomiany A. Salivary mucins in oral mucosal defense. Gen Pharmacol 1996;27:761-771. 

  21. Rathbone MJ, Drummond BK, Tucker IG. The oral cavity as a site for systemic drug delivery. Adv Drug Deliv Rev 1994;13:1-22. 

  22. Gandhi RB, Robinson JR. Oral cavity as a site for bioadhesive drug delivery. Adv Drug Deliv Rev 1994;13:43-74. 

  23. Gandhi RB, Robinson JR. Oral cavity as a site for bioadhesive drug delivery. Adv Drug Deliv Rev 1994;13:43-74. 

  24. Zhang H, Zhang J, Streisand JB. Oral mucosal drug delivery: Clinical pharmacokinetic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Clin Pharmacokinet 2002;41:661-680. 

  25. Harris D, Robinson JR. Drug delivery via the mucous membranes of the oral cavity. J Pharm Sci 1992;81: 1-10. 

  26. Motlekar NA, Youan BB. The quest for non-invasive delivery of bioactive macromolecules: A focus on heparins. J Control Release 2006;113:91-101. 

  27. Aksungur P, Sungur A, Unal S, Iskit AB, Squier CA, Senel S. Chitosan delivery systems for the treatment of oral mucositi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J Control Release 2004;98:269-279. 

  28. Gonzalez-Mariscal L, Hernandez S, Vega J. Inventions designed to enhance drug delivery across epithelial and endothelial cells through the paracellular pathway. Recent Pat Drug Deliv Formul 2008;2:145-176. 

  29. Gremeau-Richard C, Woda A, Navez ML et al. Topical clonazepam in stomatodynia: A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study. Pain 2004;108:51-57. 

  30. 심영주, 최종훈, 안형준, 권정승. 구강작열감 증후군에서 클로나제팜의 국소적 적용.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9; 34:429-433. 

  31. Audet MC, Moreau M, Koltun WD et al. Evaluation of contraceptive efficacy and cycle control of a transdermal contraceptive patch vs an oral contraceptiv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1;285:2347-2354. 

  32. Nangia A. Science and technology of bioadhesivebased targeted oral delivery systems. Pharm Technol 2008;32:100-121. 

  33. Shiboski CH, Hodgson TA, Ship JA, Schiodt M. Management of salivary hypofunction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 Suppl:S66.e1-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