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충국 계통의 특성과 추출방법에 따른 벼멸구,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의 살충활성 검정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of Chrysanthemum sp. Line by Extract Part and Methods against Tetranychus urticae, Nilaparvata lugens, and Aphis gossypii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18 no.4, 2010년, pp.573 - 586  

김도익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소) ,  김선곤 (전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김선국 (전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고숙주 (전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강범용 (전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최덕수 (전남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황인천 ((주)경농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충국 수집 5계통의 특성 및 추출 부위와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 검정을 점박이응애, 벼멸구, 목화진딧물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충국 수집계통 중 0706 계통만 소화성의 폼폰 타입이고 나머지는 모두 아네모네 타입이었으며, 4월 하순부터 7월 초순 까지 개화하였으나, 0721은 개화기간이 11월 하순까지 지속되었다. 수집계통에서 0706을 제외한 모든 계통이 국내 겨울철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0718과 0721 계통은 장마철 고온기에 습해 피해가 높았다. 제충국 계통의 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0718계통이 점박이응애에 대해 5일째에 63.8%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에탄올에 유화제를 혼합하면 에탄올 단독으로 살포한 것 보다는 5일째에 살비율이 더 높아져 69.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물로 추출하면 에탄올이나 에탄올+유화제 추출보다 효과가 떨어져 낮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잎을 용매별로 추출하였을때 꽃 추출물보다 살비율이 낮았다. 제충국 꽃에 대한 벼멸구의 살충율은 에탄올에 유화제를 첨가하면 5일째에 65.4%의 비교적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꽃에 대한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나 진딧물의 산자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살충율은 하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sp. and to bioassay Tetranychus urticae, Nilaparvata lugens, and Aphis gossypii by different extracts part and method. Flower type of Chrysanthemum sp. line was anemone except 0706 line which was pompon. The flowering date wa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농업 육성법 이후 친환경 농가에서 병해충 방제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식물 추출물 중에 효과가 높은 제충국을 국내 종 및 외국종을 수입하여 특성을 검정하였으며 이들 계통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주요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검정하여 합성 화학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농약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추출물에 들어있는 곤충기피제는 어떤 물질인가? 또한 멀구슬은 Meliacea과로 Rutaceae과와 함께 limonoid기의 azadirachtin과 다른 terpenoids를 함유하며 이들은 몇 가지의 곤충 종에 생장억제효과를 보이며, 담배의 주성분인 nicotine과 nornicotine은 살충제로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Schmutterer, 1980). 식물추출물에 들어있는 곤충기피제는 terpenen-4-ol과 같은 휘발성 terpenoid계 물질이며, 그 외 terpenoid계 물질들은 유인제(attractants)로 작용하고 있으며, 일부 terpenoid계 물질은 많은 유용곤충을 유인하는 반면 인간이 원하지 않는 곤충들을 퇴출시키기도 한다(Schmutterer, 1988). 이 외에도 alkaloids, flavonoids, saponin, phenol 등으로 대별되는 화합물에서도 살충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uff, 1980).
식물체로부터 유래하는 유용물질의 장점은 무엇인가? 식물체로부터 유래하는 유용물질은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 기피효과 및, 효소저해 활성물질들로서 부작용이 없고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는 화학합성농약의 개발에 비해 저투입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Georghiou and Saito, 1983). 식물유래 제품을 살충제로 가장 성공적으로 이용한 것은 pyrethroid 화합물이었다.
제충국 수집 5계통의 특성 및 추출 부위와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 검정에 대한 시험결과는 어떠한가? 제충국 수집 5계통의 특성 및 추출 부위와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 검정을 점박이응애, 벼멸구, 목화진딧물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충국 수집계통 중 0706 계통만 소화성의 폼폰 타입이고 나머지는 모두 아네모네 타입이었으며, 4월 하순부터 7월 초순 까지 개화하였으나, 0721은 개화기간이 11월 하순까지 지속되었다. 수집계통에서 0706을 제외한 모든 계통이 국내 겨울철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0718과 0721 계통은 장마철 고온기에 습해 피해가 높았다. 제충국 계통의 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0718계통이 점박이응애에 대해 5일째에 63.8%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에탄올에 유화제를 혼합하면 에탄올 단독으로 살포한 것 보다는 5일째에 살비율이 더 높아져 69.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물로 추출하면 에탄올이나 에탄올+유화제 추출보다 효과가 떨어져 낮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잎을 용매별로 추출하였을때 꽃 추출물보다 살비율이 낮았다. 제충국 꽃에 대한 벼멸구의 살충율은 에탄올에 유화제를 첨가하면 5일째에 65.4%의 비교적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꽃에 대한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나 진딧물의 산자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살충율은 하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박종호 ? 류경열 ? 지형진 ? 이병모 ? 고현관. 2008. 식물추출물의 채소류 주요 해충에 대한 살충력 평가. 한응곤지. 47(1): 59-64. 

  2. 천상욱 ? 김도익 ? 최용수. 2003. 수종의 국화과 식물의 지상부 추출물로부터 살충 및 항균활성 연구. 한국잡초학회. 23(2): 81-91. 

  3. Arnason, J. T., B. J. R. Philogene, P. Morand, K. Imrie, S. Iyengar, F. Duval, C. Soucy- Breau, J. V. Scaiano, N. H. Werstiuk, B. Hasspieler, and A. E. R. Downe. 1989. Naturally occurring and synthetic thiopenes as photoactivated insecticides. Pp. 164-172. In Insecticides of Plant Orgin. (eds. J. T. Arnason, B. J. R. Philogene and P. Morand) ACS symposium series no. 38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4. Chen, Y. I. and J. E. Casida. 1969. Photodecomposition of pyreththrin I, allethrin, phthathrin, and dimethrin. J. Agri. Chem. 17: 208-215. 

  5. Crombie, L. 1995. Chemistry of pyrethrins. In: Casida, J. E., Quistad, G. B.(Eds.), Pyrethrum Flowers: Production, Chemistry, Toxicology and Use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08-122. 

  6. Elliott, M., N. F. James, and C. Potter. 1978. The future pyrethroids in insect control. Ann. Res. Ent. 23: 443-469. 

  7. Georghiou, G. P. and T. Saito. 1983. Pest Resistance to Pesticides, Plenum Pub., New York. 

  8. Head, S. W. 1966. A study of the insecticidial constituents in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Pyrethrum Post. 8: 32-37 

  9. Huff, R. K. 1980. The synthesis of 3-(2,2-dichloro vinyl)-1-methylcyclo- propane-1,2-dicarboxylic acid. Pestici. Sci. 11: 141-147. 

  10. Kasaj, D., A. Rieder, L. Krenn, and B. Kopp. 1999. Seper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atural pyrethri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hromatographia. 50(9/10):607-610. 

  11. Purseglove. J. W. 1982. Tropical crops. Dicotyledons. Longman. New York. 

  12. Saxena, R. C. 1989. Insecticides from neem. In insecticides of plant origin (J. T. Arnason, B. J. R. Philogene and P. Morand, eds.). ACS Symp. Ser. No. 387. Am. Chem. Soc. Washington, D.C. pp. 110-135. 

  13. Schmutterer, H. 1980.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Proc. 1st Int. Neem Conf. pp.33-259. 

  14. Schmutterer, H. 1988. Potential of azadirachtin-containing pesticides for integrated pest control in developing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J. Insect Physiol. 34: 713-719. 

  15. Wandahwa, P., E. Van Ranst, and P. Van Damme. 1996. Pyrethrum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Vis) cultivation in west Kenya: origin, ecological conditions and management.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5: 307-322. 

  16. Wink, M. 1993.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pp. 171-213. In Phytochemistry and Agriculture. (eds. Van T. A. Beek and H. Breteler) Vol. 34. Clarendon, Oxford,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