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사찰에 있어서 부불전의 건축요소와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rchitectural and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i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5, 2010년, pp.102 - 112  

조정식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전통사찰에 자리잡고 있는 부불전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5개 사찰을 대상으로 건축요소와 의장요소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한 부불전은 명부전, 영산전, 응진전, 약사전, 원통전, 미륵전이며, 이들에 대하여 건축의 규모, 지붕의 형태, 공포구성, 단청, 닫집의 유무 및 형태를 상호비교하여 부불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명부전은 모든 사찰에 조성되어 있지만(25사례)규모나 건축요소(지붕, 공포)등에서 가장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산전(14사례)과 응진전(15사례)도 대부분 3간 규모이며, 맞배지붕과 익공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관음전(12사례)은 팔작지붕의 사례가 8사례이며, 내부의 단청도 금단청을 사용한 사례가 9건, 그리고 닫집이 있는 경우도 6건에 이르는 등, 부불전 중에서 가장 화려한 건축요소가 구사되어 있다. 약사전은 사례수는 적지만(6건) 대부분이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각 사찰의 약사전은 대부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건축적 가치가 높이 평가 받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For this study, a survey of six kinds of secondary shrines (Myemgbujem, Yeongsanjeon, Eungjinjem, Yaksajeoun, Gwaneumjeon, Mireukjeon), according to specified d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전통사찰에 있어서 부불전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각을 구성하는 건축요소 및 의장요소를 통하여 고찰한 것이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산지가람의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많은 부전각을 대상으로 각각의 전각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구성요소(규모, 지붕형태, 공포), 장엄ㆍ의장요소(단청, 닫집), 기타 요소(기단, 마루, 천정, 출목)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부전각의 건축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4건의 사례 중 닫집이 있는 경우는 5사례이며, 모두 화려한 보궁형 또는 운궁형으로 되어 있다. 통도사 영산전은 맞배지붕이며, 내부에 닫집이 없지만 화려한 다포와 금단청으로 건물의 품격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사찰의 부불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전통사찰에 있어서 불보살을 모시는 부불전으로는 미륵전(彌勒殿,미륵불), 약사전(藥師殿,약사불), 석가모니불의 행적을 보여주는 영산전(靈山殿), 석가모니불과 나한들을 모시는 응진전(應眞殿), 원통전(圓通殿,관세음보살), 명부전(冥府殿,지장보살), 대장경을 봉안하는 대장전(大藏殿)등이 있으며, 그 밖에 민간신앙을 흡수하면서 형성된 산신각(山神閣), 삼성각(三聖閣), 독성각(獨聖閣), 칠성각(七星閣)등의 전각이 있고, 사찰의 조사(祖師)들의 영정을 모신 조사전(祖師殿)이 있다.
한국적 산지가람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한국적 산지가람의 가장 큰 특징은 산세와 어우러지는 자연스러운 배치, 그리고 두드러지지 않는 조화미를 추구하면서도 엄격한 위계성을 강조함으로써 종교건축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하였다는 점에 있다. 한편, 이런 조화의 미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사찰을 구성하는 다양한 전각 및 山門, 요사채 등 각각의 건축이 독자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엄격한 주종의 관계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적 산지 가람의 조화미를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한국적 산지가람의 가장 큰 특징은 산세와 어우러지는 자연스러운 배치, 그리고 두드러지지 않는 조화미를 추구하면서도 엄격한 위계성을 강조함으로써 종교건축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하였다는 점에 있다. 한편, 이런 조화의 미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사찰을 구성하는 다양한 전각 및 山門, 요사채 등 각각의 건축이 독자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엄격한 주종의 관계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봉렬(1989)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교리적 해석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2. 김봉열,이광노(1988)極樂淨土信仰과 淨土系寺刹의 伽藍配置.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 김정기(1982)한국의 목조건축. 일지사. 

  4. 김정수(1974) 한국의 종교건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5. 김현준(1998)사찰,그 속에 깃든 의미.대원사. 

  6. 문명대(1977)한국의 불화.열화당. 

  7. 배병선(1986)한국 사찰건축 구성형태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8. 서치상(1983) 승주 松廣寺의 복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9. 孫勝光,林忠伸(1986)通度寺殿閣들의 營造尺度考察.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 안영배(1980)한국건축의 외부공간.보진재. 

  11. 안영배(1981)通度寺伽藍配置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 윤희상(1987)조선 후기 사찰 본당의 형식특성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13. 이규성(1985)整然한 建築體系로서의 通度寺建築.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 장기인(1985)한국건축사전.보성문화사. 

  15. 이재헌(1981)불사의 禮佛空間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16. 田有泰(1984)佛影寺應眞殿修理報告.文化財17호 

  17. 전종인(1983)한국 불사건축의 공간분석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18. 하헌정(1987)觀龍寺伽藍配置및 外部空間구성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 홍윤식(1986) 韓國의 佛敎美術.대원정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