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석분을 활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Containing Lightweight Aggregate Using Crushed Stone-powder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2 no.2, 2010년, pp.255 - 262  

이대혁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윤상천 (경주대학교 건축학부) ,  정용 ((주)삼표 기술연구소) ,  신재경 ((주)삼표 기술연구소) ,  지남용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콘크리트의 골재를 부순골재(CG), 폐석분을 활용한 단일 입도의 비조립형 경량골재(SLG), 연속 입도의 비조립형 경량 골재(CLG), 물결합재비 0.4, 0.5, 0.6, 결합재 FA, BFS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염화물 확산 계수는 NT BUILD 492준하여 시험 후 산출하였으며 SLG와 CLG콘크리트의 확산계수는 CG콘크리트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염화물 확산계수는 물결합재비에 의한 영향이 크며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혼화재 치환은 FA15%의 경우 물결합재비 0.4에서만 감소를 나타내는데 비해 FA10 + BFS20% 모든 수준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더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을 분석한 결과,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가 CG콘크리트에 비하여 염화물 확산 계수가 크지만 큰 차이는 없으며 물결합재비 및 혼화재 치환으로 저항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골재에 대해 강도에 따른 염화물 확산 계수를 추정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chloride diffusion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crushed stone-powder. Accordingly, the study performed experiments using concrete aggregates of Crushed Aggregate (CG), Single-sized Lightweight Aggregate (SLG), Continuous 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높은 흡수율에 의해 부순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염화물 침투 저항성이 낮아 이로 인한 문제가 심화될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실용화를 위한 단계로,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를 도출하여 철근콘크리트의 성능저하 인자인 염화물 확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부순골재와 현재 중국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용 경량골재를 비교기준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폐석분을 활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에 대한 물결합재비, 골재 및 혼화재 치환율의 영향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단위수량을 175 kg/m3로 고정하고 Table 2와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석분의 발생량은 어떠한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부순골재는 생산시 생산량의 20~30% 정도 발생되는 폐석분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처리비용 및 방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폐석분의 발생량은 부순골재 생산량의 약 20%, 부순모래 생산량의 약 30%가 발생된다. 그러나 폐석분의 적절한 재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여 단순히 매립 및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자원 낭비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에서 염소 이온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철근콘크리트에서 염소 이온은 높은 알칼리 상태에서도 철근의 부동태 피막을 파괴하여 철근이 부식하기 쉬운 상태를 만드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용성 철-염소 복합물의 생성으로 발생되며, 이는 다공성 녹의 침전을 유발하고 염소 이온을 다시 활성화 시켜 성능저하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폐석분을 활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소 이온 확산 실험을 통해 부순골재 사용 콘크리트와 폐석분을 활용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비교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물결합재비, 혼화재치환율 및 골재별 비교한 결과 압축강도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혼화재 치환은 높은 물결합재비보다 낮은 물결합재비에서 강도의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나 물결합재비의 영향을 가장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흡수율은 CLG > SLG 순으로 CLG의 높은 흡수율에 영향으로 사료된다. 2) 기건단위질량은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SLG콘크리트가 1,917~1,992 kg/m3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2006)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3)의 경량골재콘크리트 1종의 기건단위질량 범위 1,700~2,000 kg/m3에 만족하였고 CG콘크리트 대비 10~15%의 단위 질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염화물 확산계수는 SLG콘크리트 및 CLG콘크리트가 CG콘크리트보다 크게 나타났다. 염화물 확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결합재비 > 혼화재치환율 > 골재 순으로 나타났다. 염화물 확산계수가 작은 순으로 혼화재치환율에서는 FA10 + BFS20 > OPC > FA15이며, 경량골재는 CLG > SLG 순으로 나타났다. 4) 회귀분석을 실시 압축강도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 추정식을 도출하여 재령 28일 강도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추정할 수 있다. 5)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을 분석한 결과, 동일한 콘크리트 메트릭스에서 부순 골재 콘크리트에 비하여 폐석분 활용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는 큰 차이가 없으며, 물결합재비 및 치환으로 저항성을 향상 할 수 있기에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Yoon, S. C., Jee, N. Y., Roh, S. Y., and Cho, H. B., “The Comparison on Code of Light-weight Aggregate in the Inside and Outside Country,”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Vol. 2, 2008, pp. 924-929. 

  2. Mehta, K. K. and Monteiro, P. J. M., Concrete : 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Thir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2006, pp. 450-456. 

  3. Mindess, S., Young, J. F., and Darwin, D., Concrete Second Edition, Pearson Education, 2003, pp. 493-499. 

  4. Nordtest Method, NT BUILD 492, Concrete, Mortar and Cement-Based Repair Materials: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from Non-steady-state Migration Experiments, Nordtest, Finland, 1999. 

  5.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혼화재료, 기문당, 1997, pp. 201-205. 

  6. Leng, F., Naiqian, F., and Lu, X.,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sistance to Diffusion of Chloride Ions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0, Issue 6, 2000, pp. 989-992. 

  7. Chandra, S. and Berntsson, 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Sci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Noyes Publications, 2003, pp. 168-190. 

  8. Lo, T. Y., Tang, W. C., and Cui, H. Z., “The Effects of Aggregate Properties on Lightweight Concrete,”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2, Issue 8, 2007, pp. 3025-30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