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놀수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이용한 응축성 기체 분리
Condensable Gas Separation using Phenol! Alumina Composite Activated Carbon Hollow Fiber Membran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0 no.4, 2010년, pp.312 - 319  

신경용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박유인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김범석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  구기갑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막고분자막에 비해 높은 선택성과 투과성,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기체 분리,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분리막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활성탄소중공사막은 기공 표면(pore wall)에 형성된 흡착성 미세기공에 의해 선택적으로 응축성 성분이 흡착, 확산되는 흡착-확산 기구에 의해 흡착성-비흡착성 물질이 분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알루미나 중공사막 지지체에 phenolic resin (novolac type)을 코팅한 후 산화, 탄화 및 활성화 등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막 표면과 기공 표변에 흡착성 미세기공이 형성된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열분해 조건에 따른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의 물리적 특성과 기체 투과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조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이 휘발성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phenol/alumina 복합 활성탄소중공 사막은 VOCs의 분리, 농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membrane material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or the gas separation including hydrocarbon mixture of ingredients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because they possess their higher selectivity, perme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than the polymeric membranes. The use of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8~12에는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의 기체투과도 및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Fig. 8은 질소(N2), 에탄©H6), 프로판(C3H8), 부탄(C4H©의 단일기체의 투과압력 변화에 따른 기체투과도의 결과로서 투과 부를 진공상태(76 cmUg)로 고정시키고 공급 부의 압력 을 10 psi (51.8 cmHg), 15 psi (77.7 cmHg) 및 20 psi (103.6 cmHg)로 변화시키면서 기체투과거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투과 도는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체의 공급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막 기공 벽에 형성된 흡착 미세공 (adsorption site)에 흡착되는 기체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24~48시간 동안 분쇄과정을 거친 후 다시 플라스크에 넣어 8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일정량의 바인더 소재로 사용한 PSf을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Fig.
  • DS6200, Column, Porapak Q), 그리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체투과도 및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밖에 지지체로 사용한 알루미나 중공사막의 경우 bubble flow meter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압력 변화에 따른 기체의 투과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 사용한 기체는 Nz와 CA, C3H», C面0 단일기체 및 C2H6/N2, CMvN, C4Hio/N2 각각 5/95 wt%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의 기체 공급부(feed side)로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 와 유량조절기(mass flow controller, MFC)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일정 유량의 기체를 주입하였다. 또한 본 기체투과장치는 교차흐름(cross-flow)방식으로 혼합기체의 경우 모듈의 배출부(retentate side)에서 유량 조절기(mass flow controller, MFC)를 이용하여 배출 기체의 흐름량을 조절하였으며, 투과부(permeate side) 는유량흐름기(mass flow meter, MFM)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 (GC, Donam Instruments Inc.
  • 다양한 조성의 알루미나 전구체를 사용하여 건/습식방사를 통한 상전이 공정에 의해 중공사막을 제조한 다음 소결온도를 1, 350℃와 1, 400℃로 변화시키면서 최종적으로 활성탄소중공사막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Fig.
  •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듈의 기체 공급부(feed side)로 압력조절기(pressure regulator) 와 유량조절기(mass flow controller, MFC)를 이용하여 일정 압력으로 일정 유량의 기체를 주입하였다. 또한 본 기체투과장치는 교차흐름(cross-flow)방식으로 혼합기체의 경우 모듈의 배출부(retentate side)에서 유량 조절기(mass flow controller, MFC)를 이용하여 배출 기체의 흐름량을 조절하였으며, 투과부(permeate side) 는유량흐름기(mass flow meter, MFM)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 (GC, Donam Instruments Inc. DS6200, Column, Porapak Q), 그리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체투과도 및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밖에 지지체로 사용한 알루미나 중공사막의 경우 bubble flow meter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압력 변화에 따른 기체의 투과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 2 pm, 10 pm) 및 방사용액에서의 알루미나 함량 (50%, 70%) 등에 따라 중공사막의 구조를 지상 구조(finger- tepe)와 스펀지 구조(sponge-type)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결온도(1, 350℃, 1, 400℃)를 변화시키며 형성된 기공의 크기 및 형태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나중공사막의 기공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질소(N2), 에탄(C2H6), 프로판(C3H8), 부탄 (C4H10)의 단일 기체에 대해 공급압력 변화에 따른 기체 투과도를 살펴본 결과 Knudsen diffusion과 viscous flow 의 복합 투과 메카니즘에 의해 기체가 투과됨을 알 수 있었다.
  • 제조하였다. 먼저, 다공성 지지체인 binder polymer 로 폴리설폰을 이용하여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전구체로 사용한 알루미나의 입자크기 (0.
  • 다음과 같은 소결과정을 거쳐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먼저, 알루미나/폴리설폰 중공사막을 20 cm 길이로 절단한 다음 내경 1.5 cm의 상용화된 알루미나관(애자관)에 한 가닥씩 넣어 Fig. 2에 나타낸 회전식 튜브형태 fimace를 이용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250℃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직선의 중공사막 (straight hollow Uber)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fijmace의회전속도는 3 rpm을 유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직선의 알루미나/폴리설폰 중공사막을 firoace를 이용하여 각각 1, 350℃및 l, 400℃로 소결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공사막 제조 장치는 방사용액, 내부응고제 탱크 및 이송용 기어펌프 방사노즐(spinneret), 침전조, 응고조 그리고 권취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공사막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기어펌프를 사용하여 방사용액과 내부 응고제를 일정한 유속으로 튜브인 올리피스(tube-in orifice) 형태의 방사노즐(spinneret) 로 이송시켰다. 이때 방사노즐이나 방사용액 및 내부응고제의 온도는 상온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방사 용액 및 내부 응고제 유속, 방사 높이 및 권취속도등의 중공사막 제막 요소들을 고려하여 제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나 중공사 지지체 위에 페놀수지를 코팅한 다음 다양한 열분해 및 활성화 조건을 통해 페놀수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활성탄소중공사막은 N2와 C2H6, C3H8, C4H1o 단일기체 및 C2WN2, C3H8/N2, C4HWN2 각각 5/95 wt%의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분리투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 알루미나 중공사 지지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플라스크에 용매로 DMAc, 1, 4-dioxane과 계면활성제로 BYK-109, BYK-190을 각각 일정 조성으로 넣은 다음 알루미나 (AI2O3, 2 gm, 10 um)를 소량씩 일정량 첨가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볼밀(ball mill)을 이용하여 24~48시간 동안 분쇄과정을 거친 후 다시 플라스크에 넣어 8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일정량의 바인더 소재로 사용한 PSf을 첨가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 위와 같이 제조된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의 기체투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Fig. 3과 같은 진공을 이용한 기체투과장치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기체는 Nz와 CA, C3H», C面0 단일기체 및 C2H6/N2, CMvN, C4Hio/N2 각각 5/95 wt%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였다.
  • 이송시켰다. 이때 방사노즐이나 방사용액 및 내부응고제의 온도는 상온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방사 용액 및 내부 응고제 유속, 방사 높이 및 권취속도등의 중공사막 제막 요소들을 고려하여 제막하였다. 내부 응고제는 초순수를 사용하였으며 침전조액과 응고조액은 수돗물을 단순 필터과정을 통해 사용하였다.
  •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코팅용액은 phenolic resin/NMP = 30/70, 40/60, 50/50 (wt%/wt%)의 비율로, 먼저 용매인 N3P를 플라스크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80℃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미리 dry oveti에서 충분히 건조된 페놀수지를 소량씩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페놀수지 코팅용액은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용액 내에 있는 기포를 제거한 다음 지지체인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코팅용액에 침지 시키는 방법으로 코팅하였다.
  • 흡착을 위한 미세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실시한 활성화 공정은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800~930℃로 활성화시켰으며, 이때 반응시간은 90 min 범위에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산화, 탄화와 활성화조건을 변화시켜 페놀수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 이렇게 제조된 알루미나/폴리설폰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소결과정을 거쳐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먼저, 알루미나/폴리설폰 중공사막을 20 cm 길이로 절단한 다음 내경 1.
  • 2에 나타낸 회전식 튜브형태 fimace를 이용하여 공기 분위기하에서 250℃로 2시간 동안 처리하여 직선의 중공사막 (straight hollow Uber)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fijmace의회전속도는 3 rpm을 유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직선의 알루미나/폴리설폰 중공사막을 firoace를 이용하여 각각 1, 350℃및 l, 400℃로 소결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 이와 함께 알루미나 중공사막 지지체 위에 Phenol (phenol/NMP = 50/50 wM%)을 얇게 코팅한 후 건조 (25℃, 3일), 산화(150℃) 및 탄화(750℃), 그리고 활성화 공정을 통해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의 질소(N, , 에탄(C2H6), 프로판(C3HQ, 부탄(C4Hn))의 단일 기체 및 질소(95%)-탄화수소(5%) 혼합 기체에 대한 투과거동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탄화수소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리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이때 코팅용액은 phenolic resin/NMP = 30/70, 40/60, 50/50 (wt%/wt%)의 비율로, 먼저 용매인 N3P를 플라스크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80℃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미리 dry oveti에서 충분히 건조된 페놀수지를 소량씩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페놀수지 코팅용액은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용액 내에 있는 기포를 제거한 다음 지지체인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코팅용액에 침지 시키는 방법으로 코팅하였다. 페놀수지 용액으로 코팅된 알루미나 중공사막은 상온에서 약 2일 동안 건조한 다음 다시 60℃ dry oven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 즉, 제조된 알루미나 중공사막이 지지체용으로 적합한 미세 기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알루미나 중공사막 지지체 위에 Phenol (phenol/NMP = 50/50 wM%)을 얇게 코팅한 후 건조 (25℃, 3일), 산화(150℃) 및 탄화(750℃), 그리고 활성화 공정을 통해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의 질소(N, , 에탄(C2H6), 프로판(C3HQ, 부탄(C4Hn))의 단일 기체 및 질소(95%)-탄화수소(5%) 혼합 기체에 대한 투과거동을 살펴보았다.
  • 제조된 활성탄소중공사막은 N2와 C2H6, C3H8, C4H1o 단일기체 및 C2WN2, C3H8/N2, C4HWN2 각각 5/95 wt%의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분리투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 페놀수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지지체용 알루미나 중공사막 위에 페놀수지를 얇게 코팅한 후 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fornace를 이용하여 산화, 탄화, 활성화 공정을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코팅용액은 phenolic resin/NMP = 30/70, 40/60, 50/50 (wt%/wt%)의 비율로, 먼저 용매인 N3P를 플라스크에 일정량을 넣은 다음 80℃에서 천천히 교반하면서 미리 dry oveti에서 충분히 건조된 페놀수지를 소량씩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제조된 알루미나 중공사막의 경우 제조조건 범위 하에서 기계적 강도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세 기공 구조 등을 고려하여 알루미나 입자크기가 0.2 pm, 함량 50%, 및 소결온도 1, 400℃의조건에서 제조한 알루미나 중공사막이 활성탄소 중공사막의 지지체로 사용하였다. 알루미나 중공사막의 pore size는 약 0.
  • 본 연구에서는 페놀/알루미나 복합 활성탄소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먼저, 다공성 지지체인 binder polymer 로 폴리설폰을 이용하여 알루미나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 3과 같은 진공을 이용한 기체투과장치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사용한 기체는 Nz와 CA, C3H», C面0 단일기체 및 C2H6/N2, CMvN, C4Hio/N2 각각 5/95 wt%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Fig.
  • 사용하였다. 중공사 지지체 소재로는 aluminum oxide (AI2O3, 2 gm, 6 |im, Aldrich)와 binder 고분자로 폴리 설폰(polysulfbne, PS£ Aldrich), 계면활성제로 BYK-109, BYK-190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dimethylacetamide (DMAc)와 1, 4-dioxane (Junsei)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공사 지지체는 건습식 방사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내, 외부 응고제로는 각각 순수를 사용하였다.
  • 활성탄소중공사막의 코팅층 형성물질의 전구체로 phenolic resin (novolac type, Kolon Industries)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1 -methyl-2-pyrrolidone (NMP, Junsei) 을 사용하였다. 중공사 지지체 소재로는 aluminum oxide (AI2O3, 2 gm, 6 |im, Aldrich)와 binder 고분자로 폴리 설폰(polysulfbne, PS£ Aldrich), 계면활성제로 BYK-109, BYK-190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dimethylacetamide (DMAc)와 1, 4-dioxane (Junsei)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중공사 지지체 소재로는 aluminum oxide (AI2O3, 2 gm, 6 |im, Aldrich)와 binder 고분자로 폴리 설폰(polysulfbne, PS£ Aldrich), 계면활성제로 BYK-109, BYK-190을 사용하였으며, 용매로는 dimethylacetamide (DMAc)와 1, 4-dioxane (Junsei)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공사 지지체는 건습식 방사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내, 외부 응고제로는 각각 순수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Mayer, "Air pollution in cities", Atmos. Environ, 33, 4029 (1999). 

  2. 김정랑, 백세원, 임선기, "저농도 VOC 제거를 위한 여러 분자체들의 흡착/탈착특성 연구", Korean J. Odor. Res. Eng., 5, 139 (2006). 

  3. F. I. Khan and A. Kr. Ghoshal,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polluted air", J. Loss Prev. Process Ind., 13, 527 (2000). 

  4. 추수태, 남창모, "산업체 VOC/악취 저감기술", J. Korean Soc. Ind. Appl., 7, 289 (2004). 

  5. R. J. R. Uhlhorn, K. Keizer, and A. J. Burggraaf, "Gas transport and separation with ceramic membranes. Part I. Multilayer diffusion and capillary condensation", Membrane Journal, 66, 259 (1992). 

  6. P. Huang, N. Xu, J. Shi, and Y. S. Lin, "Recovery of Volatile Organic Solvent Compounds from Air by Ceramic Membranes", Ind. Eng. Chem. Res., 36, 3815 (1997). 

  7. H. H. Funke, A. M. Argo, J. L. Falconer, and R. D. Noble, "Separations of Cyclic, Branched, and Linear Hydrocarbon Mixtures through Silicalite Membranes", Ind. Eng. Chem. Res., 36, 137 (1997). 

  8. 강하성, 박유인, 김범식, 서정권, 신경용, 서동학, "기체분리용 활성탄소중공사막 제조", Theor. Appl. Chem. Eng., 14, 412 (2008). 

  9. T. A. Centeno, J. L. Vilas, and A. B. Fuertes, "Effects of phenolic resin pyrolysis conditions on carbon membrane performance for gas separation", Membrane Journal, 228, 45 (2004). 

  10. J. E. Koresh and A. Soffe, "Mechanism of permeation through molecular seive carbon membrane", Chem. Soc. Faraday Trans. I, 82, 2057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