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 문화와 생명윤리, 그리고 생명공학자 윤리
Two Culture and Bioethics, Professionalism and Ethics of Bio Technology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4 no.4, 2010년, pp.307 - 316  

이경희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대한 가치체계의 근간을 스노우(C. P. Snow)의 '두 문화' 문제 - 과학문화와 인문문화 - 개념을 모티브로,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전통우생학과 자유주의 우생학 등 가치선택의 다양한 갈래가 공존하고 있음을 논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과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잘못된 신화'-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신화, 과학과 과학자의 독립성과 자율성, 생명공학 기술의 세계기아 해결 - 를 지적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적확한 판단을 모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 기술의 생산주체인 생명공학자에게 연구윤리와 사회적 책임은 물론 개방성,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 성찰과 품성의 윤리학을 요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ttempts to describe the basis and value system respectively selected by opinions pro and against bio engineering technology and to induce discussions on the basis of the concept called 'two culture' issue by C. P. Snow - science culture, human culture, a teleological ethical theory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본 논문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대한 가치체계의 근간을 스노우(C. P. Snow)의 ‘두 문화’ 문제 - 과학문화와 인문문화 - 개념을 모티브로,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전통우생학과 자유주의 우생학 등 가치선택의 다양한 갈래가 공존하고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 생명공학 기술에 찬성하는 집단과 반대하는 집단이 그 윤리적 쟁점에 있어서 서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유를 윤리학의 대표적 가치판단 기준인 목적론과 의무론에서 찾고자 한다. 두 기준은 가치판단의 대상, 생존권의 범위, 가치판단의 시기와 책임의 범위, 가치판단에 대한 결정 시스템 · 기본 단 위 · 인지적 필요조건에 따라 대별된다(가토 히사다케, 1993).
  • 이 사례는 과학자와 생명공학자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소양과 윤리적 품성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 크다.

가설 설정

  • 이 두 그룹(two culture, 인문 문화와 과학 문화)에 속하는 사람들은 지식수준이 비슷하고 같은 인종, 출신성분도 크게 다를 바 없고, 거의 같은 수입을 가지지만 교양, 도덕, 심리적인 경향에 있어서 거의 공통점이 없다. 그래서 피차간 서로 접촉을 끊은 채 사우스 켄싱턴에서 첼시(런던 문학인 주거지)로 가는 대신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가고자 한다. ····· 두 그룹은 서로 몰이해, 때로는 적의와 혐오, 왜곡된 이미지로 크게 갈라지고 도무지 서로를 이해하려 들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와이오밍대학교의 윤리학자 레스닉가 제시한 과학윤리 원칙 12가지는 무엇인가? 이외에도, 미국 와이오밍대학교의 윤리학자 레스닉(D. Resnik)은 과학윤리 원칙 12가지를 정립하여 제시한 바 있는데, 정직성, 조심성, 개방성, 자유, 명성, 교육, 사회적 책임, 합법성, 기회, 상호존중, 효율성, 실험 대상에 대한 존중 등이 그것이다(김환석, 2001a:66-69 재인용).
생명공학 기술이란 무엇인가? 그 중에서, 생명공학 기술은 생명과학의 과학적 발견에 기반한 응용기술을 창출하여 산업에 적용하는 분야를 말한다. 생명공학 기술은 정보처리, 통신, 컴퓨터, 반도체, 로봇, 기계, 재료, 광 · 생물 공학의 복합화, 융합화1)의 산물로서 생물학은 물론 의학, 농업, 생명산업, 약학에 이르기까지 전체 산업구조 및 인간 생활양식과 가치의식의 변화를 수반하는 메가트랜드로 부상하였다.
과학자와 생명공학자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소양과 윤리적 품성은 무엇인가? 첫째, 의식의 개방성이 요구된다. 과학자는 기계적인 단순한 학습을 통해 습득 가능한 ‘기술지’의 차원을 넘어서는 끊임없는 자기해석이 요구되며, 지식의 완결성, 고정성을 지향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운 경험과 지식에 대해 의식이 열려 있어야 한다. 둘째,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상상력이 요구된다. 이제 과학자들과 생명공학자들은 자신이 개발하는 기술이 단순히 과학 기술의 개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의 적용이 가져오는 윤리적 · 법적 · 사회적 함의에 대해 숙고할 수 있어야 한다. 그 기술이 가져올 혜택뿐만 아니라 위험까지도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단순히 행위규칙으로서 연구윤리를 준수하는 것이 아닌 성찰과 품성의 윤리학이 요구된다. 즉, ‘나는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가 아닌 ‘나는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에 관심을 갖는 과학자가 되어야 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과학철학교육위원회 편 (2003) 과학 기술의 철학적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p 298-300. 

  2. 김환석 (2001a) 과학 기술시대의 연구윤리: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생명윤리 2:2 58-72. 

  3. 김환석 (2001b) 생명과학과 두 문화 문제. 과학 기술학연구. 통권 제2집. 311-342. 

  4. 데자르뎅 JR (1999) 환경윤리 -환경윤리의 이론과 쟁점- 자작나무. 21-39, 159-227. 

  5. 루미스 WF (2008) 생명전쟁. 글항아리. 19-21. 

  6. 머피 TF (2008) 생명의학연구윤리의 사례연구. 서광사. 14-18. 

  7. 박이문 (1992)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사회비평 제7호 223-234 

  8. 브라이언트 J, 벨 L, 설 J (2005) 생명과학의 윤리. 아카넷. 46-78. 

  9. 삼성경제연구소 (2006) 과학분야의 연구윤리. 삼성경제연구소. 5-16. 

  10. 샌들 M (2010)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동녘. 25-32, 81-95, 103-128. 

  11. 손화철, 송성수 (2006)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 철학 91집 305-331. 

  12. 송성수 (2005). 과학 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논거 및 쟁점. 한국과학 기술학회 전기학술대회 자료집 13-26. 

  13. 스노우 CP (1996) 두 문화 -과학과 인문학의 조화로운 만남을 위하여 -. 사이언스북. 11-34. 

  14. 시바 B (2003) 누가 세계를 약탈하는가. 울력. 15-34, 115-133, 139-168. 

  15. 언스트 & 영 인터네셔널 (2002) 세계 생명공학 리포트. 김영사. 32-34. 

  16. 이경희 (2003) 생명공학 기술에 있어서 차별과 윤리적 쟁점. 사회이론 23호 209-237. 

  17. 이경희 (2010) 두 문화와 생명윤리. 2010 가을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한국발생생물학회 11-15. 

  18. 이초식 (2001) 윤리는 과학 기술 발전의 적인가. 과학 기술학 연구 통권 1호 291-309. 

  19. 지글러 J (2007)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갈라파고스 154-269. 

  20. 최형록 (2001) 생명공학과 윤리. 진보평론 제7호 218-233. 

  21. 쿤 T (1981) 과학혁명의 구조. 정음사. 38-76. 

  22. 펜스 GE (2001) 누가 인간복제를 두려워하는가. 양문. 173-215. 

  23. 프라이드슨 E (2007)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과 전망-. 아카넷. 259-316. 

  24. 홍성욱 (2005) 왜 과학에 윤리를 묻지 않는가?. 당대비평 2005 신년특별호 147-155. 

  25. 히사다케 가토 (1993) 환경이란 무엇인가. 중문 출판사. 90-98. 

  26. Allen AL, Mark Rothstein A, Ed. (1997) Genetic Privacy: Emerging Concept and Values in Genetic Secrets. Yale Press 69-81. 

  27. Bertalanffy L (1968) General Systems Theory: Foundation. Development. Application. New York: George Braziller. 45-47 & 75-80. 

  28. Beurton PJ, Falk R, Rheinberger HJ (2000) The Concept of the Gene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Historical and Epistemology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23. 

  29. Fukuyama F (2002) Our Post-Human Future. New York : Eric Yang Agency, 23-59. 

  30. Keller EF (2000) The Century of the Gene. Harvard University Press, 215-268. 

  31. Merton R (1973) The Sociology of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3-125. 

  32. Snow CP (1959) The Two Cult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6. 

  33. Ulrich W (1987) Critical heuristics of social systems desig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31:278-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