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분리한 벼 키다리병균(Fusarium fujikuroi)의 살균제 저항성
Fungicide Resistance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s Isolated In Kore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4 no.4, 2010년, pp.427 - 432  

이용환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소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명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나동수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인선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 ,  박진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세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부터 2009년 까지 우리나라의 벼 재배지역에서 키다리 증상을 보이는 시료를 채집하여 벼 키다리병균 118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후 공시된 균주는 한전희석법을 이용하여 prochloraz, tebuconazole, 및 benomyl의 세 약제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검정 하였고, 각 균주의 균사 생장율을 조사하여 살균제별 $EC_{50}$ 값을 구한 결과, prochloraz 에서 0.207, tebuconazole에서 2.508, 그리고 benomyl에서 $2.752{\mu}g{\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을 토대로 각 약제에 대한 F. fujikuroi 분리균의 저항성 판단 기준 농도는 prochloraz와 benomyl의 경우 각 각 0.5와 $2.5{\mu}g{\cdot}mL^{-1}$의 낮은 농도 값이 지정된 반면, tebuconazole에 대한 저항성 기준 농도는 $5.0{\mu}g{\cdot}mL^{-1}$으로 다소 높은 값이 지정되었다. 설정한 저항성 기준농도를 적용하여 저항성 균주를 조사한 결과 prochloraz와 tebuconazole 약제에 대해 17개와 19개 균주로 조사되었고,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benomyl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43개로 더 많이 나타났다. Prochloraz와 tebuconazole, proch1oraz와 benomyl, 및 tebuconazole과 benomyl 별로 접종원의 $EC_{50}$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이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각각 4, 11, 6균주였으며, 이 3가지 약제에 모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CF366 와 LF3 35 2균주로 이들은 모두 경북 지역에서 분리된 균주였다. 각각의 약제에 저항성인 균주들과 이중저항성을 보인 균주, 그리고 세 가지 약제에 대해 모두 저항성인 균주와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여 균사 생장 억제율을 비교해본 결과 해당 약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다른 균주에 비해 약제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억제 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bakanae disease caused by Fusarium fujikuroi is one of the most serious rice diseases in Korea. From 2006 to 2009, 118 F. fujikuroi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regions of rice fields in Korea. Resistance assay of 118 F. fujikuroi isolates to prochloraz, tebuconazole, and benomyl,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키다리병 방제 약제로 선호되어온 prochloraz, benomyl과 최근 키다리병 방제약제로 등록된 tebuconazole에 대해 전국에서 분리한 키다리병균(Fusarium fujikuroi)의 저항성을 조사하고 이들의 다중저항성 여부를 분석하여 키다리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 선택 방법 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8%까지 증가하였고(Han, 2007), 친환경 농법으로 미흡해진 종자 소독으로 발생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김, 2008). 벼 키다리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전 종자를 사용해야 하며,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고 살균제를 사용하여 종자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키다리병균에 대해서 저항성인 벼 품종이 육종되어 있지 못하고, 키다리병균은 포장에서 병원성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저항성인 벼 품종이 있다고 하더라도 저항성 체계가 쉽게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Sunder and Satyavir, 1998).
벼 종자 내부에 종자감염이 심한 경우 prochloraz를 이용한 침지소독 효과가 떨어져서 키다리병이 격발할 수 있는데 prochloraz는 어떻게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가? 키다리병 방제를 위해서는 주로 종자소독을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침종 전 살균제로 prochloraz 액제가 1983년 등록되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 prochloraz 약제는 향균 범위가 넓으며 침투 이행성이 강하여 종자 전염성 병해 및 저장 병해의 예방과 치료효과가 있고 진균의 ergosterol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과 박, 1990). 하지만 박 등(2008)은 벼 종자 내부에 종자감염이 심한 경우 prochloraz를 이용한 침지소독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 키다리병이 격발한 한가지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벼 키다리병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벼 키다리병은 대표적인 종자 전염균인 Giberella fujikuroi(무성세대: Fusarium fujikuroi)에 의해 발생하며, 전국 못자리에서의 키다리병 발생이 늘어남에 따라 2006년에는 28.8%까지 증가하였고(Han, 2007), 친환경 농법으로 미흡해진 종자 소독으로 발생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김,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kallel, R., D. Debieu, C. Lanen, M. Daboussi, R. Fritz, C. Malosse, J. Bach, and P. Leroux (1998) Inheritance and mechanisms of resistance to tebuconazole, a sterol C14- demethylation inhibitor, in Nectria haematococca. Pesticid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60:147-166. 

  2. Delp, C. J. (1988) Fungicides resistance in North America.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inn. 133p. 

  3. Griffin, M. J. and N. Fisher (1985) Laboratory studies on benzimidazole resistance in Septoria tritici. EPPO Bulletin 15:505-511. 

  4. Han, S. (2007) Review of disease occurrence of major crops in Korea in 2007. Proceedings of Annual Falling Meeting & Symposium of KSPP. pp. 19-20. 

  5. Katan, T. (1982) Resistance to 3,5-dichlorophenyl-N-cyclic imide ('dicarboximide') fungicides in the grey mould pathogen Botrytis cinerea on protected crops. Plant Pathol. 31:133-141. 

  6. Leslie, J. F., and B. A. Summerell. (2006)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UK. Blackwell Publishing Ltd. 

  7. Nirenberg, H. I., and K. O'Donnell. (1998) New Fusarium species and combinations within the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Mycologia 90:434-458. 

  8. Omatsu, N., S. Izumi, and I. Shinyashiki (1990) Occurrence of benomyl resistant strains of Gibberella fujikuroi in Kagoshima Prefecture and control of Bakanae disease of rice seed by seed disinfection.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Plant Protection of Kyushu 36:5-7. 

  9. Robbertse, B., M. van der Rijst, I. M. R. van Aarde, C. Lennox, P. W. Crous. (2001) DMI sensitivity and cross-resistance patterns of Rhynchosporium secalis isolates from South Africa. Crop protection 20:97-102. 

  10. Schuepp, H. and M. Kueng. (1981) Stability of tolerance to MBC in populations of Botrytis cinerea in vineyards of northern and eastern Switzerland. Can. J. Plant Pathol. 3: 180-181. 

  11. Sunder, S. and S. Satyavir (1998) Vegetative compatibility, biosynthesis of GA3 and virulence of Fusarium moniliforme isolates from bakanae disease of rice. Plant Pathol. 47:767-772. 

  12. Yamashita, T., N. Eguchi, and Y. Saito (1995) Straightforward methods for monitoring benomyl resistant strains of Fusarium moniliforme, the causal fungus of "Bakanae" disease. Proceedings of the Kanto-Tosan Plant Protection Society 42:23-25. 

  13. 강광륜, 서전규 (1986) 약제내성 잿빛곰팡이병균의 발생 조사. 원예 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채소분야) pp. 388-390. 

  14. 김세종, 원종건, 안덕종, 박소득, 최충돈 (2008) 소독 방법에 따른 벼키다리병 발생 및 생육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53(4):417-420. 

  15. 박우식, 예완해, 이세원, 한성숙, 이준성, 임춘근, 이용환 (2008) 온탕소독과 prochloraz 침지소독이 벼 종자에 감염된 Fusarium fujikuroi의 포자와 균사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식물병연구. 14:176-181. 

  16. 박우식, 최효원, 한성숙, 신동범, 심형권, 정은선, 이세원, 임춘근, 이용환 (2009) Prochloraz와 Fludioxonil 혼용침지소독에 의한 벼키다리병 방제. 식물병연구 15:94-100. 

  17. 신명욱, 강효중, 이용환, 김흥태 (2008) 벼 종자에서 분리한 Fusarium 속 균주들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검정 및 교차 저항성 조사. 농약과학회지 12(3):227-282. 

  18. 정영호, 박영선 (1990) 농약학. 전국농업기술자협회 pp. 214-2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