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봄 정책의 가족주의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ialism of Care Polic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4 no.3, 2010년, pp.123 - 141  

김윤정 (고려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문순영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recent changes in care policie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familia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tate in Korea might differ from those of the past.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familialism, this study focused on care policies for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가족화의 개념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나? 그러나 그 의미는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되고 있어서 명확하게 정의를 내리는 것은 쉽지 않다. 두 개념 가운데 먼저 탄생한 것이 탈가족화라는 개념인데, 탈가족화는 젠더관점에 입각하여 복지국가를 연구한 여성주의 학자들이 주류 복지국가 연구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논쟁을 시작하면서 등장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복지국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0년대 초 에스핑 엔더슨(Esping-Andersen, 1991)은 ‘노동 시장 참여와는 무관하게 개인과 가족이 적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탈상품화를 제시하였다.
네 가지 가족주의 유형은 무엇인가?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한계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영유아 뿐 아니라 노인 돌봄과 관련된 최근의 정책적 변화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복지국가를 특징짓는 가족주의가 어떤 방향으로 변모해가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족주의간의 차이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 주는 라이트너(Leitner, 2003)의 네 가지 가족주의 유형 ‒ 묵시적 가족주의, 명시적 가족주의, 선택적 가족주의, 탈가족주의 ‒ 을 적용하여 돌봄 정책의 가족주의 성격을 분석한다. 영유아나 노인 외에, 장애나 질병으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도 돌봄 정책의 범주에 속하나 여기에서는 대부분의 가족이 생애주기 가운데서 보편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영유아와 노인 돌봄 문제에 국한하여 연구의 범위를 설정한다.
우리나라가 가족주의적 (familialistic) 성격을 가진 나라로 분류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복지국가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대개 남부 유럽 및 동아시아의 국가들과 함께 가족주의적 (familialistic) 성격을 가진 나라로 분류된다(EspingAndersen, 1999; 박광준, 2001, 2007). 이는 다시 말해 복지공급에 있어서 가족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복지공급이란 경제적 필요뿐만 아니라 돌봄 욕구에 대한 총족을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인해 ‘돌봄의 수급 불균형’이라는 위기가 초래되었으며, 이에 따라 그동안 사적 영역의 문제로 간주되었던 ‘돌봄’은 복지국가의 개입이 필요한 정책적 대상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국민건강보험공단(2008). 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2. 김은지(2009). 영유아 가족지원 정책의 두가지 방향성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 사회복지연구 겨울호, 73-100. 

  3. 대한민국정부(2008).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보완판). 1차 2006-2010. 

  4. 류연규(2007).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탈가족화 수준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0, 259-286. 

  5. 박광준(2001). 동아시아 노인복지정책 비교 연구. 한국사회정책 8(2), 1-38. 

  6. 박광준(2007). 동아시아 가족주의와 한국의 저출산 고령사회대책. 일본학 26, 121-149. 

  7. 보건복지가족부(2009a).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1년의 주요 통계현황. 

  8. 보건복지가족부(2009b). 2008 보육통계. 

  9. 보건복지가족부(2009c). 2009년도 아이돌보미 지원 사업 안내. 

  10. 보건복지가족부(2009d). 2010 노인돌보미 사업안내. 

  11. 보건복지부(각년도). 노인복지시설현황. 

  12. 보건복지부 고령사회정책과(2010). 2010년 중앙부처시행계획: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13. 보건복지부 요양보험과(2010). 노인요양장기보험제도의 현재와 미래 (내부자료). 

  14.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stat.mw.go.kr. 

  15.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 gsis.kwdi.re.kr. 

  16. 여성가족부(2010). 2010년 제1차 가족정책분과위원회 회의자료 (내부자료). 

  17. 윤홍식(2005).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 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4), 291-319. 

  18. 윤홍식(2006).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341-370. 

  19. 윤홍식, 송다영, 김인숙(2010). 가족정책: 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 서울 : 공동체. 

  20. e-나라지표. www.index.go.kr. 

  21. 통계청(2006). 장래추계인구. 

  22. 한국여성개발원(2005). 여성통계연보. 

  23. Daly, M.(2000). The gender division of welfare: the impact of the British and German welfare state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Daly, M.(2002). Care as a good for social policy. Journal of Social Policy 31(2), 251-287. 

  25. Esping-Andersen, Gosta(1991).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GB : Polity Press. 

  26. Esping-Andersen, Gosta(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27. Leitner S.(2003). Varieties of familism: The caring function of the family in comparative perspective. European Societies 5(4), 353-375. 

  28. Leria, A.(2002). Working parents and the welfare state : Family change and policy reform in Scandinavia.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Lewis, J.(1997). Gender and welfare regimes, In G. Lewis, S. Gewirtz and J. Clarke (eds). Rethinking Social Policy. London : Sage, 37-51. 

  30. Lister, R.(1994). She has other duties: Women, citizenship, and social security, In S. Baldwin & J. Falkingham (eds), Social security and social change: New challenges to the Beveridge model. New York : Harvester Wheatsheaf, 31-44. 

  31. Minchon, P. (2008) Familisation and defamilisation policy. 22 European Poznan University of Economics Review 8(1), 34-54. 

  32. O'Conner, J. S.(1993). Gender class and citizenship in comparative analysis of welfare state regime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4(3), 501-518. 

  33. Orloff, A.S.(1993).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8, 303-328. 

  34. Sainsbury, D.(1996). Gender, equality, and welfare state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