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담죽엽의 항산화 효과와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Effects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Via Reducing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in RAW 264.7 Cell원문보기
We studied to know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n water extracts of Lophatheri Herba which was growing in every places in our country. We objected free radical scanvenger effect and nitrite eliminate effect of the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nd the cell viabillity, the effects of Lophatheri H...
We studied to know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n water extracts of Lophatheri Herba which was growing in every places in our country. We objected free radical scanvenger effect and nitrite eliminate effect of the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nd the cell viabillity, the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Free radical scavenger effects were $27.91{\pm}0.12%$, $38.96{\pm}0.10%$, $46.22{\pm}0.15%$ depend on 0.5, 1.0, 2.0 mg/ml each dose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Nitrite eliminate effects were $9.86{\pm}0.3%$, $80.61{\pm}0.23%$, $97.62{\pm}0.56%$ in 0.1, 1.0, 2.0 mg/ml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pH 1.2. NO production and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were reduced in RAW 264.7 cell by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s the above results,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have anti-inflammation effects via NO production decrease, iNOS synthesis decrease mechanism. So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will be used as the protection or treatment in chronic inflammation desease like a asthma, stomatitis etc.
We studied to know the anti-inflammation effect on water extracts of Lophatheri Herba which was growing in every places in our country. We objected free radical scanvenger effect and nitrite eliminate effect of the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nd the cell viabillity, the effects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Free radical scavenger effects were $27.91{\pm}0.12%$, $38.96{\pm}0.10%$, $46.22{\pm}0.15%$ depend on 0.5, 1.0, 2.0 mg/ml each dose of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Nitrite eliminate effects were $9.86{\pm}0.3%$, $80.61{\pm}0.23%$, $97.62{\pm}0.56%$ in 0.1, 1.0, 2.0 mg/ml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on pH 1.2. NO production and iNOS synthesis induced by LPS were reduced in RAW 264.7 cell by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As the above results,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have anti-inflammation effects via NO production decrease, iNOS synthesis decrease mechanism. So Lophatheri Herba water extracts will be used as the protection or treatment in chronic inflammation desease like a asthma, stomatitis et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담죽엽의 NO 생성 및 iNOS 발현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어,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 LPS로 NO 생성을 유발하고 담죽엽 열수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 생성에 대한 담죽엽 추출물이 NO 생성의 억제 하는지 알아보았다(Fig. 3). 먼저 염증 유발 물질에 주로 사용되는 LPS는 iNOS에 의한 NO 생성을 증가시킨다.
7세포에서 iNOS발현을 억제하여 NO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기의 연구결과로 보아 항염증 활성 역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결과의 기전은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만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담죽엽이 구강염, 관절염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4 mL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 분간 방치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량을 산출하였다. 대조구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4 mL를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담죽엽 추출물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배양액 100 ㎕와 같은 양의 Griess Reagent를 넣어주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 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결정하였다.
아질산나트륨 용액에 담죽엽 추출물 0.1∼2.0 mg/ml을 첨가하고 pH 조건을 각각 1.2, 3.0 그리고 6.0으로 조정하여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에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일정시간 수 수거하여, ice-cold PBS로 2회 세척한 후 각각의 세포에 세포용해 완충용액(10 mM Tris-HCl pH7.4, 150 mM NaCl, 1 mM EDTA, 1% Triton X, 1mM PMSF, 1㎍/mL aprotinin, 1㎍/mL leupeptin, 1mM DTT)을 첨가하여 30분간 용해 시킨 후 1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막 성분 등을 제거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io-rad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05% Tween-20) buffer 에 2시간 동안 antibody의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 시키고, TBS-T로 세척하였다. iNOS 항체를 TBS-T용액으로 희석하여(1:1,000)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TBS-T로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는 HRP(Horse Radish Peroxidase)이 결합된 anti-rabbit IgG를 1:1,0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후 TBS-T로 3회 세척한후,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Amersham)으로 반응시킨 후 ChemiDoc image 분석기기 (Bio-rad, US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iNOS 항체를 TBS-T용액으로 희석하여(1:1,000)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TBS-T로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는 HRP(Horse Radish Peroxidase)이 결합된 anti-rabbit IgG를 1:1,0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후 TBS-T로 3회 세척한후,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Amersham)으로 반응시킨 후 ChemiDoc image 분석기기 (Bio-rad, US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0으로 조정하여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이들 pH는 인체내 위에서의 pH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각 pH 조건하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담죽엽 추출물을 첨가하여 pH 1.
50 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을 감소시킨 것이, 담죽여 추출물과 LPS의 상호결합의 작용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인한 것인지를 관찰하였다. 담죽엽 추출물을 0.125, 0.25, 0.50 mg/ml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담죽엽 추출물의 0.
담죽엽 추출물에 의한 염증 인자(NO)의 억제와 iNOS 단백질 발현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세포질 내에서의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Fig. 5). LPS 처리에서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 되었으나, LPS 1ug/ml와 담죽엽 0.
본 연구에서 담죽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는 보랏빛의 DPPH radical (DPPH⦁)을 무색의 (DPPH-H) 형태로 전환시키는데, 담죽엽 추출물 2 mg/ml에서 약 50%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Fig.
nNOS와 eNOS에 의한 NO의 생성은 생체 내 항상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iNOS는 lipopolysaccharide (LPS), interferon-γ (IFN-γ), interleukin-lβ(IL-1β) 및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등의 자극에 의해 발현되며, 저농도의 NO는 전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작용을 가지나 생체내 고농도의 NO 생성은 숙주세포의 파괴, 혈관확장, 염증반응 유발에 의한 조직손상을 초래한다30-32)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관찰결과로부터 담죽엽의 생체내 약리적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NO 발생을 유도한 후, 담죽엽추출물을 처리하여 NO 발생정도의 변화유무를 관찰하기로 하였다.
먼저 담죽엽 추출물이 세포독성을 갖고 있는 알아보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 담죽엽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담죽엽 추출물 농도별은 모두 96%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RAW 264.
RAW 264.7 세포에서 담죽엽 추출물의 NO 생성억제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담죽엽 추출물 0.125, 0.25, 0.50 mg/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여 생성되는 NO양을 측정하였다. LPS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NO의 생성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담죽엽 추출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NO의 측정한 결과 NO의 생성량이 유의있게 억제되었다(Fig.
3). 담죽엽 추출물 0.25, 0.50 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담죽엽 추출물과 LPS 상호협력에 의한 세포독성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담죽엽 추출물의 농도별과 LPS 동시처리 후 MTT assay를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RAW264.
NO 생성 억제에 관한 iNOS 단백질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mmuno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세포질 네에서의 iNOS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LPS 처리군에서는 iNOS 단백질량이 유의하게 발현되었으나, LPS 처리와 담죽엽 추출물을 동시 처리에서는 iNOS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우리나라 각지에서 야생하고 있는 담죽엽은 치은염, 구강염 등의 염증성 질환과 만성해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항산화효과와 항염효과에 대하여 약리 작용을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한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는 ATCC(Rockville, MD, US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을 위한 RPMI 1640, Fetal bovine serum(FBS), Penicillin-streptomycin, Trypsin-EDTA dms Gibco BRL(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iNOS 항체는 Santa Cruz(San Diego, CA)에서 구입하였으며, Lipopolysaccride(LPS), 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NaNO2, Griess reagent, pyrogallol 는 Sigma(ST.
7 세포는 ATCC(Rockville, MD, US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을 위한 RPMI 1640, Fetal bovine serum(FBS), Penicillin-streptomycin, Trypsin-EDTA dms Gibco BRL(Grand Island, NY,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iNOS 항체는 Santa Cruz(San Diego, CA)에서 구입하였으며, Lipopolysaccride(LPS), 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NaNO2, Griess reagent, pyrogallol 는 Sigma(ST. Louis, MO, USA)을 구입하였다.
대한민국 서산시 운산면 용현계곡에서 담죽엽(200 g)을 채취(2008. 05. 10)하여 초고속 저온(농축) 추출기(경서, 대한민국)로 진공상태 100℃에서 5시간 열수추출 하였다. 그 후 농축과정과 동결과정을 거쳐 4.
데이터처리
수집된 결과는 Origin 5.0 (USA)를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각 실험군의 평균치간의 유의성은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DPPH r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Blois18)의 방법에 준하여 DPPH(1, 1-diphenyl-2-picryl 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일정농도의 시료 2.
아질산염 소거능은 Kato 등의 방법19)에 따라 일정 농도의 추출물 시료 1 mL에 1 mM NaNO2 용액 1 mL를 가하고, 이 용액에 0.1 N HCl을 가하여 pH 1.2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증류수를 가하여 부피를 10 mL로 정용한 후 37℃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1 mL씩 취하여 2% acetic acid 5mL, Griess 시약(A:B=1:1, A: 1% sulfanilic acid in 30% acetic acid, B: 1% naphthylamine in 30% acetic acid)을 0.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21)하였다. RAW 264.
담죽엽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
7 cells are treated with LPS and LH for 18hr. The protein levels of iNOS was determined using immunoblotting method as describedin Materials and Methods.
성능/효과
RAW 264.7 세포에 담죽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MTT assay로 측정한 결과, 담죽엽 추출물 100∼500 ug/ml에서 세포생존율이 모두 96% 이상으로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Fig. 2)
담죽엽 추출물을 첨가하여 pH 1.2로 조정하여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0.1 mg/ml에서는 9.86±0.3%의 소거능을 보였으나, 1.0, 2.0 mg/ml 첨가에서는 80.61±0.23, 97.62±0.56%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유의성있게 나타났다.
담죽엽 추출물 0.1∼2.0 mg/ml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0.1 mg/ml에서는 10.76 ±0.06%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0.5, 1.0, 2.0 mg/ml 에서는 각각 27.91±0.12, 38.96±0.10, 46.22±0.1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Fig. 1).
RAW 264.7 세포에 LPS 1 ug/ml와 담죽엽 추출물을 0.125, 0.25, 0.50 mg/ml를 동시 처리한 후 24시간 후 Griess reagent 시약을 사용하여 NO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5.33±0.21 uM에 비하여 LPS 단독 처리에서는 10.64±0.53uM로 증가하였으나.
50 mg/ml로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담죽엽 추출물의 0.125, 0.25, 0.50 mg/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 담죽엽 추출물과 LPS의 상호결합에 의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Fig.
5). LPS 처리에서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 되었으나, LPS 1ug/ml와 담죽엽 0.25와 0.50 mg/ml 동시 처리시 iNOS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산화 연구결과, 담죽엽 물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은 0.1 mg/ml에서는 10.76±0.06%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0.5, 1.0, 2.0 mg/ml 에서는 각각 27.91±0.12, 38.96±0.10, 46.22±0.1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고, 아질산염 소거능 결과는 담죽엽 2.0 mg/ml, pH 1.2에서는 97.62±0.56%를 나타내었으나 동일량의 pH 6.0에서는 소거능력을 상실하였다.
또한 세포 실험 결과, 담죽엽 추출물 100∼500 ug/ml에서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LPS로 유도한 NO 유발 실험 결과 대조군 5.33±0.21 uM에 비하여 LPS 단독 처리에서는 10.64±0.53 uM로 증가하였으나.
7 세포에 담죽엽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담죽엽 추출물 농도별은 모두 96%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RAW 264.7 세포에 유의한 독성을 보이지 아니하였다(Fig. 2).
50 mg/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여 생성되는 NO양을 측정하였다. LPS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NO의 생성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담죽엽 추출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NO의 측정한 결과 NO의 생성량이 유의있게 억제되었다(Fig. 3). 담죽엽 추출물 0.
50 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담죽엽 추출물과 LPS 상호협력에 의한 세포독성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담죽엽 추출물의 농도별과 LPS 동시처리 후 MTT assay를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RAW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Fig. 4).
NO 생성 억제에 관한 iNOS 단백질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mmuno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세포질 네에서의 iNOS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LPS 처리군에서는 iNOS 단백질량이 유의하게 발현되었으나, LPS 처리와 담죽엽 추출물을 동시 처리에서는 iNOS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5).
이러한 실험결과들로 보아, 담죽엽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고, 특히 아질산염 소거능이 뛰어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또한 LPS로 활성화된 RAW264.7세포에서 iNOS발현을 억제하여 NO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기의 연구결과로 보아 항염증 활성 역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결과의 기전은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만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담죽엽이 구강염, 관절염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42 uM으로 농도의존적인 NO의 억제를 보였다. 또한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LPS 처리에서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 되었으나, LPS 1ug/ml와 담죽엽 0.25와 0.50 mg/ml 동시 처리시 iNOS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로 보아, 담죽엽 물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고, 또한 LPS로 활성화된 RAW264.7세포에서 iNOS발현을 억제하여 NO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기의 연구결과로 보아 항염증 활성 역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상기 실험결과의 기전은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만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담죽엽이 구강염, 관절염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ukaida, N., Ishikawa, Y., Ikeda, N., Fujioka, N., Watanabe, S., Kuno, K., Matsushima, K. Novel insight into molecular mechanism of endotoxin shock; biochemical analysis of LPS receptor signaling in a cell-free system targeting NF-kapperB and reg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action through beta2 integrin in vivo. J Leukoc Biol 59: 145-151, 1996.
Ryu, J.H., Ahn, H., Kim, J.Y. and Kim, Y.K.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apy Research 17: 485-489, 2003.
Choi, S.Y., Lee, K.C., Jeoung, Y.J. and Lim, B.O. In-vitro anti-inflammatory acitity of rubus coreanus Miq. on nitric oxide, interferon-gamma, cycloxygenase-2,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like cell line raw 264.7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 324-329, 2007.
Yang, J.L., Jang, J.H., Radliakrishnan, V., Kim, Y.H. and Song, Y.S. $\beta$ -Glucan suppresses LPS-stimulated No product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iNOS expression and NF-kappaB transactivtion in raw 264.7 macrophages.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17: 106-113, 2008.
Stuehr, H.H., Kwon, N.S., Weise, M. and Nathan, C. Purification of the cytokine-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and FAD- and FMN- containing flavoprotein. Proceeding og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8: 7773-7777, 1991.
Zhang, H., Huang, J. Preliminary stud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eatment of minimal brain dysfunction; analysis of 100 cases. Ahong Xi Yi Jie He Za Zh 10(5):278-279, 260, 1990.
Lee, M.J., Moon, G.S.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6):1226-1233, 2003.
Park, S.W., Kim, J.H. Cytotoxicity of Sasamorpha purpurascens extract against HL60 cells and L1210 cells with alterations of ROS scavenging enzymes activities. Department of chemistry, College of Natur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112: 1-22, 2003.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ol 38(1):114-121, 2006.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ol 38(1):114-121, 200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Lim, B.O., Jeong, Y.J., Park, M.H., Kim, J.D., Hwang, S.J. and Yu, B.P. Immunoregulatory effects of Saengshik on DS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mouse model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 32-42, 2007.
Wang, S., Chen, Y., He, D., He, L., Yang, Y., Chen, J., Wang, X. Inhibi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by serum from rats treated orally with Gastrodia and Uncaria decoction, a traditional Chinese formulation. J Ethnopharmacol 114(3):458-462, 2007.
Chung, H.Y., Kim, H.J., Shin, K.H., Kim, K.W. Dietary modulation of prostanoid synthesis in the aging process: role of cyclooxygenase-2. Mech Aging Dev 111(2-3):97-106, 1999.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p 3240-3249, 1993.
Bartsh, H., Ohshima, H., Pignatell, B. Inhibition of endogenous nitrosation: Mechanism and implications in human cancer prevention. Nut Res. 202: 307-324, 1998.
Kim, S.B., Ahn, B.W., Yeum, D.M., Lee, D.H., Park, Y.H., Kim, D.S.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2.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seaweed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 469-475, 1987.
Kawamata, H., Ochiai, H., Mantani, N., Terasawa, K.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ivated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 Med 28: 217-226, 200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