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사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도슨트의 담화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Docents Who Mediate Visitor's Learning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6, 2010년, pp.815 - 835  

이주연 (서울대학교) ,  이정아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자연사박물관에서 도슨트와 관람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담화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도슨트 1인과 과천과학관의 도슨트 1인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담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학적담화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관람객의 의미있는 참여를 독려하는 담화(EVMP)"와 "관람객의 단순 참여를 독려하는 담화(EVSP)"가 파악되었다. EVMP는 주제 흐름과 정보 흐름 모두에서 구조적 응집성이 나타났다. 도슨트와 관람객은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공유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주제"가 발전되었다. 반면 EVSP는 구조적 응집성이 약했다. 관람객이 담화에 참여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담화는 "주제"를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정보는 도슨트에 의해서 발전되고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슨트는 관람객이 담화 중 보여주는 선지식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담화 주제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슨트 양성 과정에서도 전시물의 내용에 대한 풍부한 지식 뿐 아니라 관람객의 의미 있는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iscourses between docents and visitors in natural history museums. Two doc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worked in Seodaemoon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other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o analyze the charact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슨트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도슨트란 박물관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물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 전시물을 중재하는 언어활동을 통해 관람객과 만남을 갖는다는 점에서 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돕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설양환과 임병로, 2001; Glaser & Zenetou, 1996; Hooper-Greenhill, 1999; Johnson, 2009). 도슨트의 역할에 대한 위와 같은 관점을 받아들인다면‘관람객의 교육적 목적을 충족시켜 줄 도슨트의 교육적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도슨트란? 도슨트란 박물관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물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 전시물을 중재하는 언어활동을 통해 관람객과 만남을 갖는다는 점에서 박물관에서 관람객의 학습을 돕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설양환과 임병로, 2001; Glaser & Zenetou, 1996; Hooper-Greenhill, 1999; Johnson, 2009). 도슨트의 역할에 대한 위와 같은 관점을 받아들인다면‘관람객의 교육적 목적을 충족시켜 줄 도슨트의 교육적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도슨트의 담화 특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교수 학적 담화 분석은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특히 교수학적 담화분석은 담화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흐름과 주제의 흐름을 통해 담화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은 크게‘주제의 흐름(thematic flow)’과‘정보의 흐름(information flow)’을 파악하는 두 가지 과정을 거친다. 주제의 흐름은 담화의 시작부에서‘어떤 주제가 어떤 방식으로 누구에 의해 제시되는가’에 초점을 둠으로써 주제 선택권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정보의 흐름은 담화 중‘새로운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누가 제시하는가’에 대한 분석을 가능케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기상(2008). 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나는 관람객들의 상호작용적 학습-근접발달영역 체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2006).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30-139 

  3. 맹승호(2009).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116-136. 

  4. 박은지(2009). 화석전시관에서 또래 관람객들의 질문카드 활용에 따른 소통의 특징 비교-다중모드 분석을 기반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설양환, 임병로(2001). 박물관의 현장 견학 프로그램. 교육학연구, 39(4), 231-254. 

  6. 이상수(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 /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63-88. 

  7.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32-847 

  8. 이정아(2009). 해석-언어적 접근을 통한 과학수업의 이해와 그 함의.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정원영, 이주연, 박은지, 김찬종, 이선경(2010).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10. 최지은(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15-326. 

  11. 허준영(2009).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매력도 연구-관람객의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Beaugrande, R. de & Dressler, W. (1981). Introduction to textlinguistics. London: Longman. 

  13. Belcher, M. (2006).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신자은, 박윤옥 역.). 서울: 예경. (원저 1991 출판). 

  14. Buty, C., & Mortimer, E. F. (2008). Dialogic/Authoritative discourse and modelling in a high school teaching sequence on op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2), 1635-1660. 

  15. Childs, A., & McNicholl, J. (200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3), 1629-1653. 

  16. Draper, L.(1984). Friendship and the museum experience: The interrelationship of socialities an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17.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Creek. CA: Alta Mira 

  18. Glaser, J. R. & Zenetou, A. A. (1996). Museums: A Place to Work Planning Museum Careers. New York: Routledge. 

  19. Hooper-Greenhill, E. (1999).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2nd ed.). London: Routledge. 

  20. Johnson, A. (2009). The museum Educator's Manual. Lanham: Altamira press 

  21. Leinhardt, G., Crowley, K. & Knutson, K. (2002).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Steffe, L. P. & Gale, J. (Eds). (2005). 교육과 구성주의 : 교육 공학의 인식론적 기반 (이명근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95 출판). 

  23.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4. Vygotsky, L. S. (1981).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 In R. W. Rieber (Ed.)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Vol. 4 (pp. 97-119), New York: Plenum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