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돌발홍수기준
Estimation of Flash Flood Guidance considering Uncertainty of Rainfall-Runoff Model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2 no.3, 2010년, pp.155 - 163  

이건행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 공학부) ,  김수전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발홍수는 짧은 지속기간, 급격한 경사와 불투수층에 대해 강한 강우로 인하여 피해를 유발하는 홍수를 말한다. 돌발홍수는 강우가 돌발홍수기준(Flash Flood Guidance)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돌발홍수기준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돌발홍수예보의 정확성에 크게 기여한다. 즉, 강우-유출관계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최소화 할수록 돌발홍수기준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으며, 강우-유출 모형은 각각 고유의 매개변수와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어떠한 강우-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강우-유출관계를 도출하느냐에 따라 불확실성의 정도가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강우-유출모형(HEC-HMS 모형, 저류함수모형, SSARR 모형, TANK 모형)의 모의값에 Monte Carlo 모의 방법을 적용하여 95%신뢰수준에 대한 신뢰한계를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ash flood is characterized as flood leading to damage by heavy rainfall occurred in steep slope and impervious area with short duration. Flash flood occurs when rainfall exceeds Flash Flood Guidance(FFG). So, the accurate estimation of FFG will be helpful in flash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아직은 돌발홍수에 대한 불확실성 검증은 크게 발전한 상태는 아니며, 현재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유역에 적용 가능한 돌발홍수기준 산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HEC-HMS모형, 저류함수모형, SSARR(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모형, TANK모형을 사용하여 따른 강우-유출 관계를 유도하고, 도출된 유출량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한 후, 이에 대한 신뢰구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 공학분야에 있어서 불확실성은 곧 위험도와 직결되므로 우리는 이를 고려하고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에서 유도된 강우-유출관계를 결합하여 신뢰구간을 제시함으로서 돌발홍수예보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저류함수모형에서는 홍수유출을 Manning 공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표면 유출이라고 가정하여, 유역과 하도구간의 저류량을 유출량의 지수함수로 식 (2)와 같이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기상학회의 기상학 관련 용어집에 돌발홍수를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미국기상학회(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MS)의 기상학 관련 용어집에는 돌발홍수를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에 걸쳐 강한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경고없이 빠르게 발생하는 홍수”로 정의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세계기상학회(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의 UNESCO의 용어 집에서는 돌발홍수를 “상대적으로 높은 첨두유량을 갖는 짧은 지속시간동안 발생하는 홍수”로 언급하고 있다.
홍수는 강우의 지속시간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이러한 홍수는 강우의 지속시간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돌발홍수, 도시홍수, 하천홍수, 해안홍수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홍수 유형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홍수로 인한 피해가 가중된다(건설교통부, 2005).
돌발홍수예보발령의 기준이 되는 돌발홍수기준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미국기상학회에 따르면 이상기후의 결과인 돌발 홍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안은 돌발홍수예보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돌발홍수 발생을 유도하는 많은 구조물을 파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돌발홍수예보를 개선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돌발홍수예보발령의 기준이 되는 돌발홍수기준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범준 (2007). "미호천 유역의 홍수모의예측을 위한 저류함수모형과 SSARR모형의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양수 (2006). "홍수예보현황",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9, No. 7 

  3. 건설교통부 (2000),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4. 건설교통부 (2005). "강우레이더에 의한 돌발홍수 예보시스템 개발 1차년도" 

  5. AMS(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0). "Prediction and mitigation of flash flood",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1, No. 6, pp. 1338-1340 

  6. Boyle, D.B., Gupta, H.V., Sorooshian, S., Koren, V., Zhang, Z., Smith, M., (2001). "Toward improved streamflow forecasts, value of semi-distributed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11, pp. 2749-2759 

  7. Carpenter, T.M., Georgakakos, K.P., Sperfslage, J.A., (2001). "On the parametric and NEXRAD-radar sensitivities of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suitable for operational use". Journal of Hydrology, Vol. 254, pp. 169-193 

  8. Carpenter, T.M., Georgakakos, K.P. (2004). "Impacts of parametric and radar rainfall uncertainty on the ensemble streamflow simulations of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98, pp. 202-221 

  9. Cooke, W.E. (1906), "Forecast and verification in Western Australia", Monthly Weather Review, Vol. 34, No. 1, pp. 23-24 

  10. Ferraris, L, R.Rudari, F. Siccardi (2002), "The uncertainty in the prediction of flash floods in the northern Mediterranean environment",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3, No. 6, pp. 714-727 

  11. Finnerty, B.D., Smith, M.B., Seo, D.-J., Koren, V., Moglen, G.E., (1997). "Space-time sensitivity of the Sacramento model to radar-gage precipitation inputs". Journal of Hydrology, Vol. 203, pp. 21-38 

  12. Georgakakos, K.P. and M.D. Hudlow (1984),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techniques for use in hydrologic forecasting",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65, No. 11, pp. 1196-1200 

  13. Georgakakos, K.P.(1986). "A generalized stochastic hydrometeorological model for flood and flash-flood forecasting, 1 Formulation",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2, No. 13, pp. 2083-2095 

  14. Georgakakos, K.P. (1992), "Advances in Forecasting Flash Floods, Proceedings of the 1992 National Science Foundation", U.S. National Science Council, Taiwan, Joint Seminar on Prediction and Damage Mitigation of Meteorologically Induced Natural Disaster, May 21-24, 1992, National Taiwan University, Taipei, Taiwan, pp. 280-291 

  15. Krzysztofowicz, R. (1999), "Bayesian theory of probabilistic forecasting via deterministic hydrologic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9, pp. 2739-2750 

  16. Michaud, J., Sorooshian, S., (1994). "Comparison of simple versus complex distributed runoff models on a midsized semiarid watershe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3, pp. 593-605 

  17. Refsgaard, J.C., (1997). "Parameterization,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98, pp. 69-97 

  18. Sweeny, T.L.(1992). "Modernized area flash flood guidance", NOAA Technical Report NWS HYDRO 44, Hydrologic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Weather Service 

  19. Wagener, T., Gupta, H., Yatheendradas, S., Goodrich, D., Unkrich, C., Schaffner, M.(2007). "Understanding sources of uncertainty in flash flood forecasting for semi-arid regions", Quantification and Reduction of Predictive Uncertainty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roceedings of Symposium HS2004 at IUGG2007, Perugia, July 2007). IAHS Publ. 313 

  20.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1974). "International Glossary of hydrology", UNESCO panel of termin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