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암침법(舍巖鍼法)의 처방구조(處方構造)와 군신좌사(君臣佐使)의 관계에 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Formula Structure of Sa-am Acupuncture and the Theory of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and Courier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7 no.6, 2010년, pp.23 - 30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조성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권정남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내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mposite principles of fomulas through the of Sa-am acupuncture therapy and the theory of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and courier. Methods : We analyzed the formula construction of Sa-am acupuncture therapy, and applied the theo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사암침구법의 모든 처방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까지 중국에서 연구된 침구처방의 君臣佐使에 관한 의미와 사암침구 처방에서 君臣佐使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저자는 사암침법의 서문에도 君臣佐使와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것에 주목해 사암침법의 처방구조와 君臣佐使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암침구처방의 구조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사암침구처방의 구조는 이와 같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君臣佐使의 개념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암침법에서 君臣佐使의 역할을 憑 등6)의 설명에 의한 접근으로 살펴보면 순서상 처음 補하는 天符穴(他經)이 君이 되고, 처음으로 瀉하는 天符穴(他經)이 臣이 되며, 自經의 혈로 補하는 穴과 瀉하는 穴이 佐使로 引經穴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암 침법은 무엇인가? 조선시대 중기에 형성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사암 침법은 음양오행의 원리에 입각하여, 장부의 허실에 따른 鍼灸 補瀉法을 상생관계뿐만 아니라 상극관계까지 결합시키고, 여기에다 自經과 他經, 補瀉法을 결부 시켜 임상에 활용하도록 창시된 우리민족 고유의 독창적인 침구법이다1).
長沙馬王堆漢墓에서 출토된 <足臂十一脈灸經>와 <陰陽十一脈灸經>을 보면, 침구처방의 형성에 대한 기재는 어떠한가? 침구처방의 형성은 長沙馬王堆漢墓에서 출토된 <足臂十一脈灸經>, <陰陽十一脈灸經>을 보면 砭灸法의 使用은 있지만 腧穴處方의 기재는 없었다. ≪史記․扁鵲倉公列傳≫에 기록된 扁鵲과 淳於意의 鍼灸醫案은 모두 6首인데, 비록 取穴部位는 있지만 구체적인 腧穴 의 명칭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달호, 김중한. 사암침법의 저작시기 및 형성배경에 관한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3 ; 7 : 113-60. 

  2. 이인선. 침구대성 표유부와 사암침법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 ; 16(4) : 26. 

  3. 사공희찬, 김병수, 강성수. 사암침법의 화열에 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4) : 131-41. 

  4. 조성우, 남정훈, 김봉현, 이명종, 이인선. 正格의 變形을 위주로 한 舍巖鍼法의 構成原理에 대한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 ; 17(4) : 219- 28. 

  5. 김민수, 이인선. 사암침법과 팔체질침법 처방의 조성 원리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179-80. 

  6. 馮起國, 裴景春, 鄭利巖. 古代鍼灸臨證處方分析. 遼寧中醫雜誌. 1998 ; 25(9) : 429-30. 

  7. 김달호. 도해교감 사암도인침법. 소강출판사. 2001. 

  8. 김달호, 김중한. 사암침법의 변형에 관한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6 ; 2 : 337-80. 

  9. 김달호, 김중한. 사암침법의 교정에 관한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6 ; 10 : 19-149. 

  10. 이인선. 校勘解說 舍巖鍼灸. 대전 : 초락당. 2007 : 3-4. 

  11. 周慶輝, 黃羨明, 吳紹德. 鍼灸處方發展?要. 浙江中醫雜志, 1993 ; 6 : 277-9. 

  12. 이상용, 윤현민, 이인선. A Study on The Basic Forms and Principles of Saam's 5 Phases of Acupuncture Method.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 (1) : 39-40. 

  13. 高武. 鍼灸聚英. 上海 :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61 : 152-3. 

  14. 張世賢. 校訂圖註 難經. 臺北 : 大孚書局. 1976 : 12-3, 17-8. 

  15. 李?. 編註 醫學入門(卷一). 서울 : 大星文化社. 1990 : 516. 

  16. 신동훈, 김재홍, 조명래. 오행침법의 정립과정에 대한 사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4) : 124-31. 

  17. 魏?吳普 述. ??孫星衍, 孫馮翼 輯. 神農本草經. 北京 : 科學技術文獻出版社, 1996 : 1, 53, 88. 

  18. 劉興隆, 鄧中甲, 賈波, 薑冬雲. "君臣佐使" 組方原則質疑. 遼寧中醫雜志. 2008 ; 35(1) : 43-4. 

  19. 漢?許? 撰. ??段玉裁 注. 說文解字注. 鄭州 : 中州古籍出版社. 2006 : 57, 118, 376. 

  20. ??張玉書. 康熙字典. 北京 : 商務印書館. 2004 : 12. 

  21. 이준범, 김기범, 윤종화. >을 통한 침구동원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4) : 31-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