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슬관절 등척성 수축시 각도와 운동 방향이 마비측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le and Direction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Non-Hemiparetic Knee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Hemiparetic Quadriceps Femoris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2, 2010년, pp.1 - 9  

기경일 (보니파시오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김선엽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오덕원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경환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strengthening a weakened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hemiplegic patient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nonparalyzed knee joint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uscle. An electromyogram (EMG) was us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최근 국내·외에서 교차 운동을 주제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편마비 환자의 양측 하지를 대상으로 적용한 실험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화된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력 강화를 효과적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비마비측 슬관절의 최대 등척성 운동 방법을 각도에 따라 적용하여 마비측 슬관절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위의 연구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하여 하지 기능장애를 가진 편마비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약화된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력 강화 운동 방법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는 교차 운동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비마비측 슬관절의 수의적 최대 등척성 수축이 교차 현상으로 인한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마비측 대퇴직근 내측부의 근활성도가 비마비측 슬관절의 0° 자세와 90° 굴곡 자세에서 수의적 최대 등척성 굴곡 운동이 신전 운동 시보다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비마비측 슬관절의 등척성 수축시 운동 각도에 따라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비마비측 슬관절의 등척성 수축시 운동 방향에 따라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위의 연구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비마비측 슬관절의 등척성 수축시 운동 각도에 따라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비마비측 슬관절의 등척성 수축시 운동 방향에 따라 마비측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편마비 환자의 근력 증가를 위한 간접적인 접근법에는 무엇이 많이 이용되는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근력 증가를 위한 간접적인 접근법으로 최근 교차 운동(cross education)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교차 운동이란 신체 한쪽 부위에서 적용된 근력 강화 운동이 다른 신체 부위의 근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치료적 목적으로 이용한 운동을 말한다(Hortobágyi 등, 1999; Zhou, 2000).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 반응의 장애, 보행 능력의 저하와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운동능력 상실 등과 같은 문제점들은 일상생활 활동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생활방식을 갖게 하여 건강을 악화시키는 주원인이 된다(Carr 등, 1985). 따라서 편마비 환자의 신체 기능 손상 및 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시켜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학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Pomeroy와 Tallis, 2000).
교차 운동을 주제로 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교차 운동은 근력과 관련된 중요한 생리학적 요인이기 때문에 최근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Carroll 등, 2006). 김경환 등(2006)은 2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근전도 연구에서 상지에 적용한 저항운동이 반대측 하지의 근활성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문규 등(2009)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비마비측 하지에 적용한 운동이 마비측 상지의 근활성도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이처럼 최근 국내·외에서 교차 운동을 주제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편마비 환자의 양측 하지를 대상으로 적용한 실험은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경환, 박지원, 배성수. 편측상지에 적용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반대측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2006;4(1):9-18. 

  2. 박형기. 뇌졸중환자에서 슬관절 근력강화운동이 상지의 연합반응에 미치는 영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3. 이문규, 김종만, 김원호. PNF 하지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1):1-7. 

  4. 한상완. 단일관절운동과 복합관절운동시 슬관절 각도에 따른 대퇴사두근의 표면 근전도 비교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3):192-204. 

  5.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Heidelberg, Springer-Verlag, 2008:7-9. 

  6. Bohannon RW, Walsh S. Nature,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ue of muscle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21-725. 

  7. Canning CG, Ada L, O'Dwyer NJ. Abnormal muscle activati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oss of dexterity after stroke. J Neurol Sci. 2000;176(1):45-56. 

  8. Carr JH, Shet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a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180. 

  9. Carr LJ, Harrison LM, Stephens JA. Evidence for bilateral innervation of certain homologous motoneurone pools in man. J Physiol. 1994;475(2):217-227. 

  10. Carroll TJ, Herbert RD, Munn J, et al.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strength training: Evidence and possible mechanisms. J Appl Physiol. 2006;101(5):1514-1522. 

  11. Clark DJ, Condliffe EG, Patten C. Reliability of concentric and eccentric torque during isokinetic knee extension in post-stroke hemiparesi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6;21(4):395-404. 

  12.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Maryland, Aspen, 1998:360-366. 

  13. Damiano DL, Abel MF.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2):119-125. 

  14. Engardt M, Knutsson E, Jonsson M, et al. Dynamic muscle strength training in stroke patients: Effects on knee extension torque,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motor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5;76(5):419-425. 

  15. Enoka RM. Muscle strength and its development. New perspectives. Sports Med. 1988;6(3):146-168. 

  16.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7):974-980. 

  17. Haffajee D, Moritz U, Svantesson G. Isometric knee extension strength as a function of joint angle, muscle length and motor unit activity. Acta Orthop Scand. 1972;43(2):138-147. 

  18. Hammond MC, Kraft GH, Fitts SS. Recruitment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hemiparetic forearm. Arch Phys Med Rehabil. 1988;69(2):106-110. 

  19. Harris SR. Challenging myths in physical therapy. Phys Ther. 2001;81(6):1180-1182. 

  20. Hellebrandt FA. Application of the overload principle to muscle training in man. Am J Phys Med. 1958;37(5):278-283. 

  21. Hellebrandt FA. Cross educatio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effects of unimanual training. J Appl Physiol. 1951;4(2):136-144. 

  22. Hortobagyi T, Scott K, Lambert J, et al. Cross-education of muscle strength is greater with stimulated than voluntary contractions. Motor Control. 1999;3(2):205-219. 

  23. Hung YJ, Gross MT. Effect of foot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during lower-extremity weight-bearing activit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2):93-102. 

  24. Kabat H. Studies on neuromuscular dysfunction. XV. The role of central facilitation in restoration of motor function in paralysis. Arch Phys Med. 1952;33(9):521-533. 

  25. Kang SW, Na YM, Moon JH, et al. Interlimb interaction and stabilization of contralateral leg in isokinetic knee evalu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7;78(5):497-500. 

  26. Kannus P, Alosa D, Cook L, et al. Effect of one-legged exercise on the strength, power and endurance of the contralateral leg.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using isometric and concentric isokinetic training.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2;64(2):117-126. 

  27. Karst GM, Jewett PD.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exercises proposed for differential activation of medial and lateral quadriceps femoris muscle components. Phys Ther. 1993;73(5):286-295. 

  28.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7:167-100. 

  29. Knutsson E, Martensson A. Dynamic motor capacity in spastic paresis and its relation to prime mover dysfunction, spastic reflexes and antagonist co-activation. Scand J Rehabil Med. 1980;12(3):93-106. 

  30. Kristeva R, Cheyne D, Deecke L. Neuromagnetic fields accompanying unilateral and bilateral voluntary movements: Topography and analysis of cortical source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1;81(4):284-298. 

  31. Laprade J, Culham E, Brouwer B. Comparison of five isometric exercises in the recruitment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in person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8;27(3):197-204. 

  32. Masiero S, Avesani R, Armani M,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ambulation in stroke patients in the rehabilitation setting: A multivariate analysis. Clin Neurol Neurosurg. 2007;109(9):763-769. 

  33. McGill SM, Cholewicki J. Biomechanical basis for stability: An explanation to enhance clinical ut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1;31(2);96-100. 

  34. Miller JP, Sedory D, Croce RV. Leg rotation and vastus medialis oblique/vastus lateralis electromyogram activity ratio during closed chain kinetic exercises prescribed for patellofemoral pain. J Athl Train. 1997;32(3):216-220. 

  35. Pisano F, Miscio G, Del Conte C, et al. Quantitative measures of spasticity in post-stroke patients. Clin Neurophysiol. 2000;111(6):1015-1022. 

  36. Pocock GS.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quadriceps during resistive exercise. J Am Phys Ther Assoc. 1963;43:427-434. 

  37. Pomeroy VM, Tallis RC. Need to focus research in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2000;355(9206):836-837. 

  38. Sharp SA, Brouwer BJ. l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1236. 

  39. Shima N, Ishida K, Katayama K, et al. Cross education of muscular strength during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ur J Appl Physiol. 2002;86(4):287-294. 

  40. Signorile JF, Kacsik D, Perry A, et al. The effect of knee and foot position on the electromyographical activity of the superficial quadricep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2(1):2-9. 

  41. Soderberg GL, Cook TM.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setting and straight leg raising. Phys Ther. 1983;63(9)1434-1438. 

  42. Zhou S. Chronic neural adaptations to unilateral exercise: Mechanisms of cross education. Exerc Sport Sci Rev. 2000;28(4):177-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