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리창 청소 로봇의 이동 메커니즘 제안
Proposal of Moving Mechanism of Window Cleaning Robot 원문보기

로봇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5 no.1, 2010년, pp.14 - 22  

이동혁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  문형필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  노세곤 (동경공업대학교 기계우주학과) ,  황달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유원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시스템연구팀) ,  최혁렬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researches on the window cleaning robot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Moving mechanismsof these window cleaning robo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towed type and walking type. Towed type is focused on fast cleaning on the flat surface of building and walking type has prior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kyPro의 경우 메커니즘 구조상 벽면과 밀착이 어려워 균일한 청소가 어렵고 바람의 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SkyCleaner는 작업 평면상에서 X, Y축 2자유도 운동만을 허용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불가능해 이동 방향에 오차가 누적되어도 보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kyPro와 SkyCleaner로 대표되는 기존의 견인형 및 보행형 유리창 청소로봇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견인형 및 보행형 이동 메커니즘을 제안한 후 각각의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고 결과를 고찰하였다.
  • 본 절에서 제시하는 두번째 형태의 견인형 로봇은 일반 견인형 청소로봇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나 그 특수한 형태로 인해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적용이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적용 가능한 건물의 높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로봇은 가로 3m 세로 1m 의 크기를 갖고 100kg의 무게를 갖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로봇은 기본 모듈 2개를 연결한 형태로 가로 3m 세로1m의 높이50cm를 가지며 무게는 100kg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봇이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이동할 때의 안정성과 바람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청소 작업의 특성상 로봇이 하단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만 벽면과 직접 밀착되어청소를 수행하고 상단방향으로 움직일 때에는 청소 없이 이동만 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견인형 유리창 청소로봇의 단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견인형은 높은 안전성과 빠른 이동 속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쉽고 로봇을 견인하기 위한 크레인 등의 외부 부수 장치가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보행형은 외부 부수장치가 적고 이동 가능 영역이 넓으나 로봇 자체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동 속도가 느리다는 견인형과는 상반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유리창 청소로봇의 이동 메커니즘은 어떻게 나뉘는가? 유리창 청소로봇의 이동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로봇이 건물 상단에 위치한 크레인에 의해 견인되면서 이동하는 견인형[1-4]과 로봇의 자체적인 흡착 메커니즘을 이용해 벽면에 직접 부착해 이동하는 보행형[5-9]이 그것이다. 견인형 유리창 청소로봇은 평면으로 구성된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건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보행형 유리창 청소로봇은 장애물 극복을 위해 보행을 할 수 있는 다리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좀 더 복잡한 형태의 건물 벽면의 청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SkyCleaner의 특징은 무엇인가? 보행형으로 대표적인 유리창 청소 로봇은 중국Beihang University에서 개발한 SkyCleaner [5-6]이다. SkyCleaner는 로봇의 다리에 부착된 흡착패드를 X, Y, Z축의 3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창틀을 극복하며 유리창의 표면을 보행하듯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발목 부분에 Passive 조인트를 추가하여 제한적으로 곡면 형태의 장애 요소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ohme, T., Schmucker, U., Elkmann, N. and Sack, M., "Service Robots for Facade Cleaning", Proc.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pp.1204-1207, 1998 

  2. Elkmann, N., Felsch, T., Sack, M., Saenz, J. and Hortig, J, "Innovative Service Robot Systems for Facade Cleaning of Difficult-to-Access Area", Proc. IEEE/RSJ Int. Conf.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756-762, 2002. 

  3. Schraft, R. D., Simons, F., Grandi, G. P. and Muscogiuri, D., "Mechanical Design of an Autonomous, Lightweight Robot for Window Cleaning", Proc. Int. Symp. Robotics, 2002. 

  4. Qian, Z., Zhao, Y.and Fu, Z, "Development of Wall-climbing Robots with Sliding Suction Cups", Proc. IEEE Int. Conf.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pp.3417-3422, 2006. 

  5. Zhang, H., Zhang, J., Zong, G., Wang, W. and Liu, R., "Sky Cleaner 3 : A Real Pneumatic Climbing Robot for Glass-Wall Cleaning", IEEE Robotics & Automation Magazine, March, pp.32-41, 2006, 

  6. Zhang, H., Zhang, J. and Zong, G., "Realization of a Service Climbing Robot for Glass-wall Cleaning", Proc. IEEE Int. Conf. Robotics and Biomimetics, pp.395-400, 2004. 

  7. Tocut, P. D., Tripe-Vidican, A. and Tripe-Vidican, C., "Vacuum Robot for Cleaning the Glass Frontage of the Buildings", Fascicle of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Engineering, Volume VII (XVII), pp.1118-1125, 2008. 

  8. Miyake, T. and Ishihara, H., "Mechanisms and Basic Properties of Window Cleaning Robot", Proc. IEEU/ASME lnt. Conf. Advanced Intelligent Mechatronics, pp.1372-1377, 2003. 

  9. Miyake, T., Ishihara, H., Shoji, R. and Yoshida, S., "Development of Small-size Window Cleaning Robot", IEEE Int. Conf. Mechatronics and Automation, pp. 1302-1307, 2006. 

  10. Longo, D. and Muscato, G., "Adhesion Control for the Alicia Climbing Robot", Proc. Int. Conf. Climbing and Walking Robots, pp.1005-1015, 2004,. 

  11. Nagakubo, A and Hirose, S., "Walking and running of the quadruped wall-climbing robot", Proc. IEEE Int. Conf. Robotics and Automation, pp.1005-1012, 1994. 

  12. Hirose, S. and Kawabe, K., "Ceiling Walk of Quadruped Wall Climbing Robot NINJA-II", Proc. Int. Symp. Climbing and Walking Robots, pp.143-14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