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괘대시기가 '거봉' 포도의 과피 특성과 열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gging Periods on Pericarp Characteristics and Berry Cracking in 'Kyoho' Grape (Vitis sp.)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3, 2010년, pp.381 - 386  

손인창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대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립 비대기 동안의 괘대시기가 '거봉' 포도의 열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포도 과립의 생육 및 과피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포도 과립중은 만개후 7-9주간 괘대한 후기 처리구에서 13.4g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기간 괘대구가 12.3g으로 가장 낮았다. 한계팽압에서 포도 과립의 열과율이 무대구에서 53.3% 이상 발생하여 가장 높았던 반면, 처리구에서는 전기간 괘대구(42.7%), 초기 괘대구(37.3%), 중기 괘대구(33.3%), 후기 괘대구(18.7%)의 순으로 열과가 경감되었다. 과피의 조직학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무대 처리에 비해 괘대 처리구에서 과피 표면의 과점의 크기가 작았으며 형태가 건전하였다. 특히 후기 괘대구에서는 기공 주변이 코르크화와 미세균열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과피의 아표피층과 세포벽의 두께가 증가하여 과피가 구조적으로 강화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일조시간이 길고 광도가 높은 변색기 직전에 2주간 괘대처리가 '거봉' 포도의 과피 구조를 강화시켜 열과 겸감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erry growth and pericarp characteristics were characterized to confirm the effects of bagging periods on berry cracking during berry development in 'Kyoho' grape. The berry weight was the highest at 13.4 g in late period of bagging treated at 7 to 9 weeks after full bloom (WAFB) as compared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배상 열과가 문제되는 4배체 ‘거봉’ 포도에서 비대기부터 변색기 전까지 시기별로 과방에 봉지를 씌워줌으로써 괘대가 과피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는 한편, 관행의 방법과 비교하여 열과 경감 및 과실 상품성 향상에 적합한 괘대법을 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과의 원인은 어떻게 알려져 있나? 포도 재배 시 성숙기에 주로 발생하는 열과는 재배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 생리장해이다. 이러한 열과는 뿌리를 통한 수분의 과도한 흡수, 높은 수분효용, 낮은 증발요구조건 등 수체 내 수분함량의 과잉상태가 과립 내 팽압 증가로 이어져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Considine과 Kriedemann, 1972; Lang와 During, 1990; Yamamoto 등, 1990), 최근에는 비교적 낮은 팽압에서도 과피의 발달 정도와(Alleweldt 등, 1981; Yamamura와 Naito, 1985), 과립 표면에 존재하는 주두흔 및 과피 표면의 균열 등 과피의 구조적 약화에 의해서 열과가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Hiratsuka 등, 1989; Son 등, 2007; Yamamura 등 1986; Yu와 Kim, 1989).
본 연구에서 과실 특성조사 시 열과율 조사는 어떤 방법으로 실시하였나? 열과율 조사는 두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제 포도원에서 발생되는 열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포에서 변색기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 열과율을 조사하였으며, 과피의 구조적 결함에 의한 열과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변색 2주 후에 과립을 채취하여 Considine과 Kriedemann(1972)이 제안한 회귀곡선을 응용해 ‘거봉’의 과립에 한계팽압이 가해지는 sucrose 9.5%의 수용액에 과립 20개씩 5반복으로 침지하여 20℃의 항온기에서 3일간 열과율을 조사하였다.
포도 재배 시 재배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 생리장해는? 포도 재배 시 성숙기에 주로 발생하는 열과는 재배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 생리장해이다. 이러한 열과는 뿌리를 통한 수분의 과도한 흡수, 높은 수분효용, 낮은 증발요구조건 등 수체 내 수분함량의 과잉상태가 과립 내 팽압 증가로 이어져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Considine과 Kriedemann, 1972; Lang와 During, 1990; Yamamoto 등, 1990), 최근에는 비교적 낮은 팽압에서도 과피의 발달 정도와(Alleweldt 등, 1981; Yamamura와 Naito, 1985), 과립 표면에 존재하는 주두흔 및 과피 표면의 균열 등 과피의 구조적 약화에 의해서 열과가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Hiratsuka 등, 1989; Son 등, 2007; Yamamura 등 1986; Yu와 Kim,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leweldt, G., M. Engel, and H. Gebbing. 1981. Histological investigations with grapevine berries. Vitis 20:1-7. 

  2. Borve, J. and L. Sekse. 2000. Cuticular fractures promote postharvest fruit rot in sweet cherries. Plant Disease 84:1180-1184. 

  3. Considine, J.A. and K. Brown. 1981. Physical aspects of fruit growth. Theoretical analysis of distribution of surface growth forces in fruit in relation to cracking and splitting. Plant Physiol. 68:371-376. 

  4. Considine, J.A. and P.E. Kriedemann. 1972. Fruit splitting in grapes: Determination of the critical turgor pressure. Austral. J. Agr. Res. 23:17-24. 

  5. Creasy, L.L. 1980. The correlation of weather parameters with russet of 'Golden Delicious' apples under orchard conditions. J. Amer. Soc. Hort. Sci. 105:735-738. 

  6. Creasy, L.L. and H.J. Swartz. 1981. Agents influencing russet on 'Golden Delicious' apple fruit. J. Amer. Soc. Hort. Sci. 106:203-206. 

  7. Han, J.W., H.J. Lee, H.I. Jang, K.H. Hong, J.J. Choi, K.Y. Kim, and J.O. Guh. 1999. Comparison of skin characteristics between non-bagged and bagged Hosui pear (Pyrus pyrifolia Nakai) fruits. J. Kor. Soc. Hort. Sci. 40:439-442. 

  8. Hiratsuka, S., J. Matsushima, T. Kasai, R. Wada, and N. Suzaki. 1989. Histological study on skins of grape cultivar 'Olympia' with respect to berry splitting. J. Jpn. Soc. Hort. Sci. 58:545-550. 

  9. Hong, K.H., J.K. Kim, H.I. Jang, J. H. Choi, J.W. Han, and K.Y. Kim. 1999. Effects of paper sources for bagging on the appearance of fruit skin in Oriental pears (Pyrus pyrifolia Nakai cvs. Gamcheonbae and Yeongsanbae). J. Kor. Soc. Hort. Sci. 40(5): 554-558. 

  10. Hong, K.H., J.K. Kim, J.H. Choi, J.W. Han, and C.J. Yun. 1996. Russet prevention of 'Whangkeumbae' pear by fruit bagging. J. Kor. Soc. Hort. Sci. 37:279-284. 

  11. Kataoka, I., Y. Uchida, and K. Beppu. 1997.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of cracking and berry character of 'Fujiminori' grapes. J. Jpn. Soc. Hort. Sci. 66:59-66. 

  12. Kim, Y.H., S.K. Kim, S.C. Lim, C.H. Lee, C.K. Yoon, H.H. Kim, and K.S. Choi. 2000. Effects of bagging material on coloration, maturity, and quality of peach fruits. J. Kor. Soc. Hort. Sci. 41:395-400. 

  13. Lang, A. and H. During. 1990. Grape berry splitting and som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kin. Vitis 29:61-70. 

  14. Matsui, H., E. Yuda., S. Nakagawa, and K. Yonemori. 1980.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ripening of Delaware grapes II. Effect of light intensity to the cluster on sugar accumulation, and carbon dioxide fixation in the berries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J. Jpn. Soc. Hort. Sci. 48:405-412. 

  15. Miki, Y. and K. Nakasawa. 1935. Pear bagging report 1, 2 [2]. Agr. & Hort. 10:465-471. 

  16. Nakasawa, K. 1936. Physiological studies on bagging of Japanese pear cultivar (1). Effects of bagging materials on development of lenticels cork and on development of chlorophyll. J. Jpn. Soc. Hort. Sci. 7:147-167. 

  17. Son, I.C. and C.H. Lee. 2008. The effects of bags with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 on the berry cracking of grape 'Kyoho'. Hort. Environ. Biotechnol. 49:98-103. 

  18. Son, I.C., S.K. Kim, H.H. Kim, and G.H. Kim. 2007. 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rry cracking in grapes (Vitis spp.). Hort. Environ. Biotechnol. 48:1-7. 

  19. Yamamoto, T., M. Kudo., and S. Watanabe. 1990. Fruit cracking and characteristics of fruit thickening in 'Satonishiki' Cherry. J. Jpn. Soc. Hort. Sci. 59:325-332. 

  20. Yamamura, H. and R. Naito. 1985. Susceptibility to berry splitting in several grape cultivars. J. Jpn. Soc. Hort. Sci. 53:390-395. 

  21. Yamamura, H., R. Naito, and H. Tamura. 1986. Effects of light intensity and humidity around clusters on the formation of surface wax and the resistance to berry splitting in 'Delaware' grapes. J. Jpn Soc. Hort. Sci. 55:138-144. 

  22. Yu, Y.S. and J.B. Kim. 1989. Study on the resistance to berry splitting and development of the dermal system in grapes. J. Kor. Soc. Hort. Sci. 30:38-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