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의 관능적 품질과 객관적 품질인자 상호간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Sensory Quality and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 'Campbell Early' Grap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4, 2010년, pp.691 - 695  

조순덕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민선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만 (한국식품연구원)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의 저장 중 소비자 관능평가와 실험에 의한 객관적 품질인자간의 상관성을 통하여 포도 생산의 객관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도를 3부위로 나누어 동일부위 절반은 관능검사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품질요소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장 기간 중 포도의 이 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보면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에서 더 많은 증가를 보였고, pH 및 적정산도는 저장 중 약간 감소하였으나 처리구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포도의 객관적 품질평가인자 상호간에는 낮은 상관성을 보여 pH-가용성 고형물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을, 적정산도-가용성 고형물함량 및 pH- 적정산도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포도에 대한 관능평가 항목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신맛과 신맛을 포함한 단맛의 상관성이 0.933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외관과 단맛과의 상관성이 0.619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조직감($r^2$=0.890)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이 신맛을 포함한 단맛($r^2$=0.860)이었다. 또한, 관능적인 품질평가 인자와 객관적인 품질인자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으나 그 중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가용성 고형물함량의 상관성이 다소 높게 나타나, 소비자 관능평가 지표로써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in 'Campbell Early' grape, grap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ne-half parts were used for the sensory evaluation and the other half were used as samples for instrumental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재배 품종인 ‘Campbell Early’ 포도의 저장 중 가용성 고형물함량과 산도 등 이화학적 품질평가 결과와 관능평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포도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소비자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하고 유통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포도 재배 지역은 어디인가?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 중의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철의 중요한 과일이다(Kim과 Kang, 2008). 우리나라의 포도 재배 지역은 최저 온도가 15℃ 이상 되는 지역으로 경산, 영동, 영천, 천안, 안성 등에 분포되어 있다(Lee 등, 2004). 포도 품종은 Neo Muscat, Niagara, Seibell 9110, Muscat Bailey A(MBA), Sheridan, Kyoho, Campbell Early 등 여러 품종이 있으며, 이 중 ‘Campbell Early’ 품종이 주품종을 이루고 있다(Choi 등, 2008).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포도의 가용성 고형물함량 변화를 조사한 이유는 무엇인가? 포도의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관능적 특성뿐만 아니라 저장수명에도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Yun 등, 2008). 따라서,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포도의 가용성 고형물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4℃와 20℃ 처리구 모두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과일의 품질은 무엇을 통해 평가될 수 있는가? 과일의 품질은 사람의 감각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는 관능평가와 가용성 고형물함량, 적정산도 및 경도 등 이화학적 품질분석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Harker 등, 2003; Park과 Choi, 1999; Park과 Yoon, 2005). Crisosto와 Crisosto (2002)는 ‘Redglobe’ table grapes에 대한 미국과 중국 소비자 인식 연구 결과 과일의 저장한계기간은 소비자가 판단하는 종합식미 혹은 종합식미를 반영하는 품질인자의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Y.J., J.E. Kim, H.S. Chun, C.T. Kim, S.S. Kim, and C.J. Kim. 2003.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06-308. 

  2. Choi, J.E., S.S. Kang, S.H. Park, M.K. Park, T.J. Park, and H.W. Kang. 2008. Ecology of crown gall disease and population of Agrobacterium spp. in vineyard soil. Res. Plant Dis. 14:90-94. 

  3. Crisosto, C.H. and G.M. Crisosto. 2002. Understanding American and Chinese consumer acceptance of 'Redglobe' table grape. Postharvest Biol. Technol. 24:155-162. 

  4. Ha, S.Y., Y.S. Hwang, Y.J. Yang, and Y.M. Park. 2007.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and consumers' sensory evaluation in refrigerated-stored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 Kor. J. Hort. Sci. Technol. 25:125-132. 

  5. Ha, S.Y., Y.S. Hwang, Y.J. Yang, and Y.M. Park. 2008. Analysis of quality changes and losses to indicate storability of 'Campbell Early' grape as related to marketing conditions. Kor. J. Hort. Sci. Technol. 26:277-283. 

  6. Harker, F.G., A.F. Gunson, and S.R. Jaeger. 2003. The case for fruit quality: an interview of consumer attitudes, and preferences for apples. Postharvest Biol. Technol. 28:333-347. 

  7. Joe, A.K., H. Liu, M. Suzui, M.E. Vural, D. Xiao, and I.B. Weinstein. 2002. Resveratrol induces growth inhibition, S-phase arrest, poptosis, and changes in biomarker expression i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Clin. Cancer Res. 8:893-903. 

  8. Kim, D.H. and B.S. Kang. 2008.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white wine using imported Chilean grape. Korean J. Food Preserv. 15:150-154. 

  9. Kim, K.P., P.C. Jung, and S.R. Yang. 2002. A Hedonic Price Analysis of Fruit Products. Korean J. Agri. Economics 43:33-56. 

  10. Kim, K.P. and M.H. Park. 2007. The consumer's preference on packaging of fruits and the implications. Kor. J. Food Mktg. Econ. 24:101-118. 

  11. Lee, B.S. and T.S. Wi. 2004. Consumers' awareness for fruit brand and some strategies. Kor. J. Food Mktg. Econ. 21: 103-119. 

  12. Lee, H.R., B.R. Jung, J.Y. Park, I.W. Hwang, S.K. Kim, J.U. Choi, S.H. Lee, and S. Chung.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 J. Food Preserv. 15:445-449. 

  13. Lee, J.K. and J.S. Kim.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 J. Food Sci. Technol. 38:408-413. 

  14. Lee, S.J., J.E. Lee, and S.S. Kim.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 J. Food Sci. Technol. 36:911-918. 

  15. Martinez, J. and J.J. Moreno. 2000. Effect of resveratrol, a natural polyphenolic compound, 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rostaglandin production. Biochem. Pharmacol. 59:865-870. 

  16. Park, S. 2003. Storage enhancement of grape through precooling process. Kor. J. Food Sci. Technol. 35:1093-1097. 

  17. Park, Y.M. and J.S. Choi. 1999. Instrumental and sensory analysis of fruit quality in relation to storability of 'Niitaka' pear fruit. Kor. J. Hort. Sci. Technol. 17:341-343. 

  18. Park, Y.M., T.M. Yoon, and M.G. Hwang. 2005. Analysis of storage method and marketing temperature effects on the storage potential of mid-season apple cultivar 'Hongwol'. Kor. J. Hort. Sci. Technol. 23:49-55. 

  19. Park, Y.M. and T.M. Yoon. 2005. Storage potential of 'Tsugaru' apples based on consumer acceptance after marketing simulation. J. Kor. Soc. Hort. Sci. 46:176-182. 

  20. Rice-Evans, C.A., N.J. Muller, and G. Paganga.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 Free Radic. Biol. Med. 20:933-956. 

  21. Valero, D., J.M. Velverde, D. Martinez-Romero, F. Guillen, S. Castillo, and M. Serrano. 1996. The combination of modified atmosphere packing with eugenol or thymol to maintain quality, safe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able grapes. Postharvest Biol. Technol. 41:317-327. 

  22. Yun, H.J., M.H. Joe, J.H. Kwon, B.L. Lim, and D.H. Ki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s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 J. Food Preserv. 15:648-6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