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
Introduced Molluscan species to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6 no.1, 2010년, pp.45 - 49  

이준상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용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민덕기 (민 패류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 until now, we have identified 17 exotic species of Mollusca in Korea. These include Achatina (Lissachatina) fulica, Limax flavus, Limax marginatus, Deroceras reticulatum, Hawaiia minuscula, Zonitoides yessoensis, Zonitoides arboreus, Physa acuta,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Crepid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유입된 외래 연체동물의 총 목록을 점검하여 국내 자생종과 외래종을 구분하고, 이들 유입 외래 연체동물의 국내 서식과 분포를 조사함과 동시에 국내 정착과 비정착 단계를 규명하여 유입 외래 연체동물의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자생 연체동물의 기록은 1848년 처음으로 몇 종이 알려졌는가? Adams와 L. Reeve에 의하여 처음으로 19종이 알려진 이래, A. Adams (1860, 1861, 1870) 와 E.
연체동물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2008년의 잠재적 외래종 목록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기록되어 있고, 또한 한국 해양생물다양성 정보시스템에는 20종의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이 기록되어 있으나 국내 자생종이 외래종으로 구분되는 등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에 대한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 되지 않고 있다. 더군다나 연체동물은 육산종과 담수산종, 해산종으로 구분되어 각 관계부처에서 외래 연체동물의 통합적인 현황 파악과 실태 조사에 한계성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 중 비의도적 외래종에서 담수산종은 무엇인가? 이중 비의도적 유입 종은 11종으로 전체 유입종의 64%로 의도적 보다 비의도적 유입종의 비율이 높았다. 비의도적 외래종에서 육산종은 6종 (Limax flavus, Limax marginatus, Deroceras reticulatum, Hawaiia minuscula, Zonitoides yessoensis, Zonitoides arboreus) 이고 담수산은 Physa acuta 1종이다. 해산종은 4종 (Crepidula onyx, Mytilus galloprovincialis, Xenotrobus securis, Perna viridis)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토해양부 (2009)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관리방안 연구, pp 1-421 

  2. 국토해양부. (2008)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관리방안. pp 1-219 

  3. 환경부 (2006) 국내도입 외래동물 현황 파악 및 생태계위해성 등급 분류 연구, pp 1-145 

  4. Adams, A. (1860) Mollusca Japanica: New species of Aclis, Ebala, Dunkewria etc. Ann. Mag. Nat. Hist., ser. 3., 6: 118-121. 

  5. Adams, A. (1861) On some new specirs of Mollusca from the north of China and Japan. Ann. Mag. Nat. Hist., ser., 3. 8: 135-142. 

  6. Adams, A. (1870) On some species of proboscidiferous gastropods which inhabit the sea of Japan. Ann. Mag. Nat. Hist., ser. 4. 5(30): 418-430. 

  7. Adams, A., and Reeve, L. (1848) Molluscs. In: A. Adams(ed.), The zoology of the voyage of H. M. S. Samarang; under the command of Captain Sir Edward Belcher, C. B., F. R. A. S., F. G. S. During the tears 1843-1846. London, x+87: 24. 

  8.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Mollusca (II). Ministry of Education, Seoul, pp 860 

  9. Iwasaki, K. (2007) Non-indigenous organisms introduced into Japanese waters and their impacts on native ecosystems and industries. Nippon Suisan Gakkaishi., 73(6): 1121-1124. 

  10. Je, J.G. (1989) Korean names of Mollusc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Suppl. 1: 1-90. 

  11. Joo, I.Y., Kwon, O.K., and Habe, T. (1979) The Land Snails in Island Chejudo.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2(1-2): 35-40. 

  12. Kang, Y.S. (1971) Nomina Animalium Koreanorum (3). Hyang Moon Co., Seoul, pp 180 

  13. Kwon, O.K. and .Habe, T. (1979) A list of non-marine molluscks in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2(1-2): 25-33. 

  14. Lee, B.D. (1956) The catalogue of Molluscan Shell of Korea. Bulletin of Pusan Fisheries College, 1(1): 53-100. 

  15. Lee, J.S., and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2): 93-217. 

  16. Min, D.K., Lee, J.S., Koh, D.B., and Je, J.K. (2004) Mollusks in Korea. Min Molluscan Research Institutte, Seoul 

  17. Mito, T., and Uesugi, T. (2004)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The status quo and the new regulation for prevention of their adverse effect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8(2): 171-191. 

  18. Okada, K. (1967) Ne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II). Hokuryukan Co., LTD, Tokyo, pp 1-803 

  19. Shiba, N. (1934) A catalogue of the mollusca in Chosen (Corea). Journal of the Chosen Natural History, 18: 6-31. 

  20. Smith, E. A. (1879) On a collection of mollusca from Japan. Proc. Zool. Soc., London, pp 181-218, pl. 19-20. 

  21. Yang, H.C. (1957) The List of the Shells Dialect in Korea. The Central Fisheries Research Station Pusan Korea. : 1-107. 

  22. http://bioinvasion.fio.org.cn 

  23. http://www.nf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